#!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T1/리그 오브 레전드|T1/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2012d><tablebgcolor=#e2012d> | [[T1/리그 오브 레전드|T1]] 역대 시즌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통합 이전 | |||||||||
SK telecom T1 S | 2013 | 2014 ☆ | ||||||||
SK telecom T1 K | 2013 ★★ | 2014 ★★★☆ | ||||||||
통합 이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SK telecom T1 | 2015 ★★★☆ | 2016 ★★★★ | 2017 ★★☆☆☆ | 2018 ☆ | 2019 ★★★ | ||||
T1 | 2020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
2025 | }}} |
T1 역대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개요
T1의 2025 시즌을 다룬 문서로, T1의 두번째 황금기인 제오페구케 체제가 해체되고 2022 시즌 이후로 처음으로 주전 로스터 교체가 진행된 시즌.2. LCK 스토브리그/2024
올해는 제우스, 오너, 구마유시, 케리아, 임재현 코치와 김강희 코치의 계약이 만료된다. 안웅기 T1 COO가 저번 시즌 성적에 걸맞은 대우로 로스터 유지에 최선을 다한다고 한 만큼 로스터를 그대로 가져갈 수도 있는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 #썰에 따르면 아예 T1 선수들에겐 어떠한 계약 오퍼조차 오지 않을 정도로 잔류를 정배로 보고 있다고 한다.
11월 14일, 케리아의 2년 재계약을 발표했다. 그리고 김강희 코치가 사회복무요원 수행을 위해 T1과의 계약을 종료하게 되었다.
11월 15일, 오너도 2년 재계약을 알리며 제오페구케 유지에 청신호를 켰다. 그리고 17일 구마유시 또한 재계약을 알렸다. 다만 케리아, 오너와 달리 계약기간은 1년이다. 19일 한화가 제우스 영입을 노린다는 소식이 들리나 이때까진 재계약 확률이 매우 높아보였다.
그러나 23시 22분에 X를 통해 제우스의 FA소식이 공식화되면서 제오페구케는 결국 3년이란 롱 런 끝에 끝났다. 제우스의 FA 소식 직후 한화생명에서 뛰었던 도란의 영입이 발표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도오페구케[1] 라인업이 확정되었다. #
11월 21일 임재현 코치와 2년 재계약에 성공했다.# LPL 팀에서 거액의 연봉 제안이 들어와 고민했지만, 본인이 T1에 대한 애정이 높아 잔류했다고 한다.
그리고 22일 젠지와 계약이 끝난 조세형 코치를 2년 계약으로 영입했다.#
2025 T1 |
이미 마린이라는 기량이 우수한 탑 라이너를 잃었음에도 유지된 주전 로스터에 듀크를 영입한 로스터로 스프링, MSI 우승과 월즈 리핏을 달성했던 2016년의 사례도 있을뿐더러 도란의 국제전 약세도 국제전에서 강한 T1 선수들의 케어를 받는다면 개선될 여지도 충분하기 때문에 선수 구성에 부정적인 전망은 딱히 없다.
감코진도 김정균 감독에 임재현 코치, 조세형 코치라는 역대 T1 감코진 중 이름값으로는 최고로 화려하다. 특히 조세형 코치의 경우 꾸준히 T1의 약점으로 지목받던 시야 장악 문제의 해결과 이번 월즈 비하인드에서 보여준 멘탈 관리 능력이 선수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3. 2024 LoL KeSPA Cup
4. Red Bull League of Its Own
Red Bull League of Its Own 2024 2024년 12월 15일 일요일 23:00 (KST) | ||||
<rowcolor=#FFF> 아코르 아레나 (파리, 프랑스) | ||||
| | | | |
<rowcolor=#FFF> 1경기 vs No Need Orga | 2경기 vs [[Gentle Mates/리그 오브 레전드| Gentle Mates ]] | 3경기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 G2 Esports ]] vs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Karmine Corp ]] | ||
| | | ||
<rowcolor=#FFF> 4경기 vs [[Los Ratones| Los Ratones ]] | 5경기 vs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 G2 Esports ]] | 6경기 vs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 Karmine Corp ]] | ||
공식 홈페이지 | 영문 중계(Youtube) |
T1 | |
<colbgcolor=#e2012d><colcolor=#fff> 감독 | [[김정균|김정균 kkOma ]] |
로스터 | |
TOP | Doran ]] |
JGL | Oner ]] |
MID | Faker ]] |
BOT | Gumayusi ]] |
SPT | Untara ]] |
2024년 12월 6일, 케리아가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뒤 휴식을 하기 위해 불참을 선언했고, 서폿으로 운타라가 대신 참가하는 것으로 밝혔다. #
- 1경기 vs No Need Orga
규칙: 라인 스왑(T1 한정), 네메시스 드래프트[2]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1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NNO, bresult=WIN, rteam=T1, rresult=LOSS, time=35:57
, bkill=40, bdeath=30, bassist=69, rkill=30, rdeath=40, rassist=56
, bgold=73.9, rgold=76.6)]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No Need Orga, redteam=T1
, d_blueban1=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오른, d_blueban3=누누와 윌럼프, d_blueban4=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우르곳
, p_blueban1=darius, p_blueban2=ornn, p_blueban3=nunuWillump, p_blueban4=gnar, p_blueban5=urgot
, d_redban1=다이애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우디르, d_redban3=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가렌, d_redban5=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diana, p_redban2=udyr, p_redban3=fiora, p_redban4=garen, p_redban5=orianna
, d_bluepic1=카밀, d_bluepic2=마스터 이, d_bluepic3=하이머딩거, d_bluepic4=세라핀, d_bluepic5=라칸
, p_bluepic1=camille, p_bluepic2=masterYi, p_bluepic3=heimerdinger, p_bluepic4=seraphine, p_bluepic5=rakan
, d_redpic1=리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티모, d_redpic3=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제라스
, p_redpic1=riven, p_redpic2=teemo, p_redpic3=katarina, p_redpic4=draven, p_redpic5=xerat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Infernal, bluesoul=
, reddragon1=Infernal,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 redsoul=)]
T1은 탑에 페이커, 정글에 운타라, 미드에 구마유시, 바텀에 오너, 서포터로 도란이 출전한다.
- 2경기 vs Gentle Mates
규칙: 라인 스왑(T1 한정)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2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G8, bresult=WIN, rteam=T1, rresult=LOSS, time=35:21
, bkill=35, bdeath=21, bassist=74, rkill=21, rdeath=35, rassist=33
, bgold=73.0, rgold=69.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entle Mates, redteam=T1
, d_blueban1=그라가스,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사일러스, d_blueban4=자르반 4세, d_blueban5=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gragas, p_blueban2=poppy, p_blueban3=sylas, p_blueban4=jarvanIV, p_blueban5=vi
, d_redban1=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암베사, d_redban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레넥톤, d_redban5=바루스
, p_redban1=ashe, p_redban2=ambessa, p_redban3=viktor1, p_redban4=renekton, p_redban5=varus
, d_blue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스카너, d_bluepic3=코르키, d_bluepic4=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x, p_bluepic2=skarner, p_bluepic3=corki, p_bluepic4=lux,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리 신, d_redpic3=트위스티드 페이트, d_red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gnar, p_redpic2=leeSin, p_redpic3=twistedFate, p_redpic4=caitlyn,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Hextech, redsoul=)]
T1은 탑에 오너, 정글에 페이커, 미드에 운타라, 바텀에 도란, 서포터로 구마유시가 출전한다.
- 3경기 G2 Esports vs Karmine Corp
규칙: 없음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3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G2, bresult=LOSS, rteam=KC, rresult=WIN, time=33:55
, bkill=4, bdeath=14, bassist=9, rkill=14, rdeath=4, rassist=37
, bgold=53.8, rgold=60.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2 Esports, redteam=Karmine Corp
, d_blueban1=직스, d_blueban2=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레넥톤, d_blueban4=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ziggs, p_blueban2=ashe, p_blueban3=renekton, p_blueban4=karma, p_blueban5=rakan
, d_redban1=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스카너, d_redban3=암베사, d_redban4=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럭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aurora, p_redban2=skarner, p_redban3=ambessa, p_redban4=neeko, p_redban5=lux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비에고, d_bluepic3=탈리아(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maokai, p_bluepic2=viego, p_bluepic3=taliyah, p_bluepic4=caitlyn, p_bluepic5=bard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바루스,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ksante, p_redpic2=vi, p_redpic3=sylas, p_redpic4=varus,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Ocean,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Cloud, redsoul=Cloud)]
- 4경기 vs Los Ratones
규칙: 라인 스왑(T1 한정)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4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LR, bresult=WIN, rteam=T1, rresult=LOSS, time=36:12
, bkill=35, bdeath=20, bassist=58, rkill=20, rdeath=35, rassist=27
, bgold=77.6, rgold=69.6)]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Los Ratones, redteam=T1
, d_blueban1=직스, d_blueban2=요네, d_blueban3=암베사, d_blueban4=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블리츠크랭크
, p_blueban1=ziggs, p_blueban2=yone, p_blueban3=ambessa, p_blueban4=pyke, p_blueban5=blitzcrank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ban1=skarner, p_redban2=viktor1, p_redban3=ashe, p_redban4=nautilus, p_redban5=renataGlasc
, d_bluepic1=사이온, d_bluepic2=비에고, d_bluepic3=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바루스, d_bluepic5=잔나
, p_bluepic1=sion, p_bluepic2=viego, p_bluepic3=morgana, p_bluepic4=varus, p_bluepic5=janna
, d_redpic1=티모, d_redpic2=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아크샨,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제라스
, p_redpic1=teemo, p_redpic2=kayn, p_redpic3=akshan, p_redpic4=ezreal, p_redpic5=xerat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Hextech, bluesoul=Hextech
, reddragon1=Cloud,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 redsoul=)]
T1은 탑에 운타라, 정글에 구마유시, 미드에 도란, 바텀에 페이커, 서포터로 오너가 출전한다.
- 5경기 vs G2 Esports
규칙: 라인 스왑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5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T1, bresult=WIN, rteam=G2, rresult=LOSS, time=36:28
, bkill=35, bdeath=19, bassist=82, rkill=18, rdeath=35, rassist=28
, bgold=77.4, rgold=67.9)]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redteam=G2 Esports
, d_blueban1=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알리스타, d_blueban3=티모, d_blue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크산테
, p_blueban1=viktor1, p_blueban2=alistar, p_blueban3=teemo, p_blueban4=rakan, p_blueban5=ksante
, d_red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레넥톤, d_redban3=스카너, d_redban4=렐, d_redban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poppy, p_redban2=renekton, p_redban3=skarner, p_redban4=rell, p_redban5=pyke
, d_bluepic1=암베사,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요네,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ambessa, p_bluepic2=sejuani, p_bluepic3=yone, p_bluepic4=sivir, p_bluepic5=bard
, d_redpic1=트런들, d_redpic2=다이애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야스오, d_redpic4=직스, d_redpic5=갈리오
, p_redpic1=trundle, p_redpic2=diana, p_redpic3=yasuo, p_redpic4=ziggs, p_redpic5=galio)]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Chemtech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 redsoul=)]
T1은 운타라 대신 레클레스가 출전하며, 탑에 구마유시, 정글에 도란, 미드에 오너, 바텀에 레클레스, 서포터로 페이커가 출전한다.
G2는 탑에 캡스, 정글에 브로큰 블레이드, 미드에 스큐몬드, 바텀에 라브로프, 서포터로 한스 사마가 출전한다.
- 6경기 vs Karmine Corp
규칙: 없음
, match=Red Bull League of Its Own 6경기, year=2024, month=12, day=16
, bteam=T1, bresult=WIN, rteam=KC, rresult=LOSS, time=26:28
, bkill=20, bdeath=16, bassist=54, rkill=16, rdeath=21, rassist=30
, bgold=55.0, rgold=46.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redteam=Karmine Corp
, d_blueban1=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 d_blueban5=럭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she, p_blueban2=viktor1, p_blueban3=pyke, p_blueban4=, p_blueban5=lux
, d_redban1=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스카너, d_redban3=코르키, d_redban4=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aurora, p_redban2=skarner, p_redban3=corki, p_redban4=karma, p_redban5=vi
, d_bluepic1=암베사,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ambessa, p_bluepic2=leeSin, p_bluepic3=ahri, p_bluepic4=jhin, p_bluepic5=rakan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사일러스, d_red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렐
, p_redpic1=renekton, p_redpic2=viego, p_redpic3=sylas, p_redpic4=caitlyn, p_redpic5=rel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Ocean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Infernal,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 redsoul=)]
T1은 이전 경기와 같이 레클레스가 출전하였다. 포지션 스왑이 없었기에 구마유시가 레클레스와 듀오를 이루는 진귀한 장면을 볼 수 있었다.
이벤트의 마지막 경기로 T1에게도 핸디캡이 사라진 진심모드 게임이었다. 그 때문인지, 이전 경기들과 다르게 26분대라는 빠른 시간에 경기가 끝났다.
5.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colcolor=#fff> | |||||||||
<colbgcolor=#555169> 라운드 | VS GROUP ELDER | <colbgcolor=#898696> 그 룹 배 틀 최 종 성 적 | P.I 2R | PO 1R | |||||
팀 | | | | | | | | ||
세트 | <colbgcolor=#555169><colcolor=#fff> 승 | 1 | 2 | 2 | 2 | 2 | 2 | 2 | |
패 | 2 | 0 | 1 | 0 | 1 | 0 | 3 | ||
<rowcolor=#000> 결과 | 패 | 승 | 승 | 승 | 승 | 플 레 이 오 프 진 출 | 6 위 | ||
전적 | 승 | 0 | 1 | 2 | 3 | 4 | 4 | ||
패 | 1 | 1 | 1 | 1 | 1 | 1 | |||
득실 | -1 | +1 | +2 | +4 | +5 | +5 | |||
<rowcolor=#000> 순위 | 2 | 1 | 1 | 1 | 1 | 1 |
시즌 시작 전, 아니나 다를까 작년부터 시작된 디도스 공격이 올해에도 계속되어 방송을 또다시 무기한 중단하게 되었다.
사전에 진행된 드래프트에서 한화생명이 T1을 지목했고, T1은 피어엑스를 지목했다. 피어엑스가 10팀 중에서 가장 좋지 못한 스토브리그를 보냈다는 평가를 받았기에 의외라는 평.
5.1. 그룹 배틀
- 1경기: vs DK
Dplus KIA | 2 | 1 | T1 | ||||
○ | × | ○ | × | ○ | × | ||
1승 | 결과 | 1패 |
- 1세트
오너가 자이라, 페이커가 요네, 케리아가 렐을 픽하며 다른 스타일의 티원을 예고했다.
초반 T1의 좋은 설계로 애쉬가 퍼블을 획득하며 기분 좋은 출발을 했지만, 애쉬가 이즈리얼과 제이스에게 각각 솔킬을 따이며 T1 전라인이 라인전 단계에서 밀리게 되었다. 그러자 자연스레 한타 구도도 망가지게 되어 무력하게 패배했다. - 2세트
빅토르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는 가운데 페이커가 빅토르를 꺼내들었다.
도란의 크산테가 한 번 구도를 뒤집더니 페이커의 빅토르가 종횡무진 활약하며, 1세트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첫 승을 신고했다. - 3세트
초반에 다이브를 시전해 사이온을 두 번 잡아내며 크게 이득보았으나 탑쪽 한타에서 대패하고, 20분경 다시 한 번 한타에서 대패하며 비상이 걸렸고 아타칸까지 뺏기게 된다. 하지만 한타에서 진을 내주는 것으로 아타칸의 부활 효과를 빼는데 성공했고 3용까지 먹는데 성공했으나, 이어지는 두 번의 한타 대패로 결국 패배하였다.
모든 라인이 차이나는 와중에 도란과 페이커가 그나마 분전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한타를 이기지 못해 패배로 이어졌다. - 2경기: vs DRX
DRX | 0 | 2 | T1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1승 1패 |
문현준[3] (Oner) |
- 1세트
엎치락 뒤치락 난전이 발생한 끝에, 탄탄한 상체의 폼을 바탕으로 승리를 가져갔다. - 2세트
초반 케이틀린-엘리스의 설계로 바텀을 터뜨렸고, 그후 케이틀린을 위시한 운영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가져갔다. - 3경기: vs KT
T1 | 2 | 1 | kt Rolster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1승 2패 |
신금재[4] (Smash) |
- 4경기: vs NS
T1 | 2 | 0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3승 1패 | 결과 | 1승 3패 |
문현준[5] (Oner) |
- 5경기: vs GEN
T1 | 2 | 1 | Gen.G | ||||
○ | × | ○ | × | ○ | × | ||
4승 1패 | 결과 | 3승 2패 |
신금재[6] (Smash) |
- 1세트
T1은 젠지에 비해 다소 불안정한 조합에서 최대한 손실을 덜 보면서 소규모 교전을 통해 카이사에게 킬을 먹이는데 주력했고, 아타칸을 앞둔 교전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완전히 흐름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흐름을 완전히 가져온 T1은 이어진 교전에서 연이어 이득을 가져오며 승기를 잡았고, 압도적인 격차로 1세트를 선취하는데 성공한다. - 2세트
- 3세트
전체적으로는 1세트와 비슷한 흐름으로 돌아갔다. 다만 T1이 어느 정도 흐름을 가져왔음에도 젠지 측의 저항으로 경기가 길어졌고, 젠지의 주력 딜러인 흐웨이와 징크스의 성장도 크게 밀리는 상황이 아니었기에 T1으로서도 승리를 낙관하긴 어려운 상황. 그러던 중 포지셔닝 미스로 노출된 쵸비를 스매쉬가 잡아내면서 단숨에 T1이 우세해졌고, 이후 T1은 4용을 저지하려는 젠지 본대를 덮쳐 모조리 잡아내면서 승리를 가져왔다.
5.2. 플레이-인
5.3. 플레이오프
T1 | 2 | 3 | Hanwha Life Esports | ||||||||
× | ○ | × | ○ | × | ○ | × | ○ | × | ○ | ||
6위 | 결과 | 2라운드 진출 |
- 1R VS 한화생명
시즌 시작 전 벌어진 제우스 이적 사가로 인해 양 팀 팬들과 프런트들의 사이에 감정의 골이 깊어진 상황이라 T1 팬들 입장에서는 무슨 일이 있어도 이기고 싶었던 매치업이었지만 결국 뼈아픈 패배를 거두고 말았다.
5.4. 총평
구마유시의 부진을 계기로 스매쉬를 콜업하는 과정에서 '서커스 조합'이라 불리는 선수 개인 기량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스노우볼링 조합만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다른 상위권 팀들이 애용하던 원딜 하이퍼캐리 및 고밸류 조합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등 기용 가능한 전략의 폭이 넓어진 모습을 보여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룹 배틀~플레이-인 까지만 하더라도 모든 선수의 리그 정상급 기량과 더불어 팀컬러의 변화를 빠른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이룩하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다만 플레이오프에 들어서는 이전까지 자신들이 이뤄냈던 발전을 전면 부정하는 전략을 들고 왔다는 점에서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원딜에게 캐리롤을 맡기는 고밸류 한타 조합 대신 서폿 파이크, 서폿 르블랑과 같이 서포터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게임을 풀어나가는 초강수를 뒀으나 케리아 본인의 부진과 함께 한 번 성장이 말리면 뒤가 없어지는 딜포터 특성상 케리아의 영향력이 지워지는 상황이 자주 나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매쉬 또한 서포터의 단독행동으로 인해 홀로 남겨지며 상대의 노림수에 무방비로 노출되었고 결국 장점인 캐리력이 희석되고 애매한 라인전 능력이라는 약점만 극대화 되어 무색무취한 원딜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도오페 상체 트리오가 LCK컵 내내 팀의 상수로서 출중한 기량을 뽐내주었다는 것은 위안이지만 고밸류 조합의 안정성과 파괴력을 충분히 맛봤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선수들의 저점이 그대로 노출되는 서커스 조합 밴픽을 했다는 점에서 감코진에 대한 비판도 많은 편이다.
라이엇 주관 신설 국제전인 퍼스트 스탠드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LCK 컵 우승이 필수적이였기에 LCK 정규시즌이 시작하는 4월까지 아무런 경기가 없음에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다. 향후 빡빡한 일정으로 인해 선수단의 체력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탈락 이후 주어진 2달이라는 시간을 통해 LCK컵에서 노출했던 부족한 모습을 보완하여 우승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탈락 후 2월 14일 22시 진행한 녹화 방송에서 정회윤 단장은 정규 시즌 시작 전 코칭 스태프와 함께 논의해 주전 로스터 5인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6. 2025 LoL Champions Korea
A MESSAGE FROM JO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text-align: left" | 가장 먼저, 2025년 LCK를 준비하면서 받은 팬분들의 무한한 지지에 감사드립니다. 팬분들의 지지와 헌신은 팀에게 큰 힘이 되었고, 2연속 월드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지켜낼 수 있었습니다. 2025 시즌부터 도입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전체 시즌에 적용됨에 따라 저희는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였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고자 합니다. 지난번 로스터 변경에 대해 별도의 사전 공지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과 식스맨 체제 도입의 가능성에 대해서 팬 여러분들께서 느꼈을 상실감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정이 팬분들을 존중하지 않아 벌어진 일들이 아닌,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코칭스태프와의 지속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벌어진 일들로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저희 팀의 단장과 감독님, 코칭스태프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있으며, 그들과의 깊고 긴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Gumayusi' 선수를 2025 LCK 정규 시즌의 스타팅 라인업에 포함하는 것을 요청하였고, 그 결과 'Gumayusi' 선수가 주전 바텀 라이너로 정규 시즌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진 것이 아닙니다. 다만 한 회사의 CEO로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발전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저의 임무라고 생각합니다. 'Gumayusi' 선수가 정규 시즌을 스타팅 라인업으로 시작하지만, 2025년의 남은 기간 동안 'Smash' 선수와의 선의의 경쟁은 계속될 것입니다. 코칭스태프의 결정을 통해, 팀의 승리에 더욱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선수가 기용이 될 예정입니다. 'Gumayusi' 선수는 2018년도부터 T1의 일원으로서, 그의 여정에서 엄청난 노력과 헌신, 그리고 적응력을 볼 수 있었습니다. 2020년도에 주전으로 합류하면서, 그는 본인의 공격적인 플레이스타일을 통해 뛰어난 재능을 가진 선수로 거듭났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팀이 필요로 하는 방향에 맞추어 그의 플레이 스타일을 조정하였고, 이에 따라 선수의 개인 기록과 명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팀의 성공을 위해 헌신을 멈추지 않았고, 결국에는 팀의 2연속 월드 챔피언 달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인게임적으로 확실한 변화가 생긴 시점에서 2025년도의 로스터에서 바텀 라이너는 하이퍼 캐리 능력을 지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Gumayusi' 선수가 이전에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주어진 역할을 소화해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는 다시 한번 본인이 세계 최고의 바텀 라이너 중 한 명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자격을 얻었다는 점입니다. 또다시 말하지만, 저는 'Gumayusi' 선수에게 T1의 붉은 피가 흐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지금까지 T1에게 엄청난 충성도를 보여주었으며, 이것이 제가 그의 헌신에 보답하는 방식입니다. 2025년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저희는 5인 로스터를 유지하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LCK CUP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코칭스태프는 'Smash' 선수의 기용을 요청하였고, 그 기간동안 'Smash' 선수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Smash' 선수는 LCK 로스터에 포함될 예정입니다. 저희는 그의 성장성을 믿고, 잠재력을 통해 뛰어난 선수로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mash' 선수 또한 3월 24일부터 다른 주전 선수들과 동일하게 T1 멤버십, T1 POP, 개인 방송 등의 팬 서비스를 통해 팬분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진행할 예정이니 팬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로스터에 대한 결정으로 팬분들 사이에서 오가는 이야기들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합니다. 팬분들 사이의 갈등을 보면서 저는 낙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T1의 플랫폼은 갈등을 일으키는 공간이 아니라 선수단을 응원하고 축하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통합 로스터 이미지 및 파트너사들의 6인 로스터 게시글이 업로드 되는 중에도 이어진 저희의 침묵이 혼란과 갈등을 야기하는 근거가 되었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팬분들과 파트너사들에게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로스터의 변화가 여러 의견을 모두 만족시킬 수는 없겠지만 T1의 승리를 위해 노력하는 6명의 선수를 모두 응원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항상 T1을 응원하고 지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년에도 T1의 역사를 써내려가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Joe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LCK 구마유시 스타팅 라인업 선발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LCK 구마유시 스타팅 라인업 선발 논란#|]][[2025 LCK 구마유시 스타팅 라인업 선발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월 19일, 구마유시를 2025 LCK 정규 시즌을 시작하는 선발 라인업에 포함시켜달라는 조 마쉬의 요청으로 구마유시가 주전으로 시즌을 시작한다고 공지했다. # 그리고 2025년의 남은 기간동안 스매쉬와의 선의의 경쟁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매쉬 또한 3월 24일부터 다른 주전 선수들과 동일하게 T1 멤버십, POP 서비스, 개인 방송 등 소통을 진행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6.1. 1~2 라운드
- 1경기: vs DRX
DRX | 0 | 2 | T1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1승 |
류민석[8] (Keria) |
예상외로 선전하는 DRX를 상대로 살짝 고전하는 모습은 있었으나 2대0 승리를 거뒀다. 논란과 함께 등판한 구마유시는 강판된 LCK CUP때 보다는 좋아진 경기력을 보이며 긍정적인 출발을 하였다.
- 2경기: vs GEN
T1 | 1 | 2 | Gen.G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2승 |
구마유시의 장점과 단점이 그대로 드러난 경기였으며 진 같은 유틸성이 높은 원딜을 가지고는 3~4년의 팀합을 발휘하며 정확한 cc연계로 승리에 기여하지만, 여전히 하이퍼 캐리류 원딜들에 대해 아예 고려조차 하지 않는 모습과, 후반 딜로스로 인해 강제적인 타임어택을 해야 하는 팀에게 초반부터 솔로킬 같은 손해를 끼치는 등[12] 월즈 리핏에 걸맞지 않는 아쉬운 폼을 보여주고 있다.
- 3경기: vs KT
T1 | 2 | 0 | kt Rolster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3패 |
류민석 (Keri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 국내해설 | | | 영어해설 | | 베트남어해설 | | |
국내분석데스크 | | | 영어분석데스크 | | | 옵저버 | | ||
미디어 | | | SOOP 팬투표 | | 치지직 팬투표 | | |||
케리아 6표, 스매쉬 5표, 도란 1표, 오너 1표 |
}}}}}}}}} ||
결국 T1은 구마유시를 내리고 스매쉬를 올렸다.
밴픽의 방향성부터 확연히 달라진 것을 보여주며 T1이 압도적인 승리를 가져갔다.
- 4경기: vs HLE
Hanwha Life Esports | 2 | 0 | T1 | ||||
○ | ○ | - | × | × | - | ||
3승 1패 | 결과 | 2승 2패 |
구마유시를 대신하여 올라온 스매쉬 입장에서는 젠지전의 구마유시와 똑같이, 그리고 상반되는 단점을 여실히 보여준 경기였다. 이제껏 제이카를 위시로 한 밸류픽은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14] 코르키와 칼리스타, 라인전에서 우위를 가져가는 픽들을 기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라인전을 시작한 지 얼마나 지났다고 곧바로 라인전이 터지는 등 지나치게 부족한 라인 수행 능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한타에서 좋지 않은 포지션과 풀스펠을 들고 있었음에도 의문의 폭사를 자주 하면서 주도권픽에 대한 의문을 씻어내지 못했다. 결국 제이카의 밸류와 칼리스타, 애쉬, 바루스의 주도권을 모두 갖춰야 비로소 대권 원딜에 오를 수 있는 입장에서 두 선수의 극명한 장단점은 올해 T1에 있어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가 되었다.
- 5경기: vs NS
T1 | 2 | 1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3승 2패 | 결과 | 3승 2패 |
이상혁 (Fake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 국내해설 | | | 영어해설 | | 베트남어해설 | | |
국내분석데스크 | | | 영어분석데스크 | | | 옵저버 | | ||
미디어 | | | SOOP 팬투표 | | 치지직 팬투표 | | |||
페이커 9표, 오너 4표 |
}}}}}}}}} ||
2:1로 승리를 거머쥐었으나, 전반적으로 좋지 못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1세트는 승리하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밀리는 상황에서 상대의 바론 판단 미스를 그대로 받아치며 게임을 끝낸, 소위 승리"당한" 게임이었다. 2세트는 농심을 상대로 경기력과 팀합에서 밀리며 결국 패배하였고, 3세트는 밸류 조합을 통해 조합 파워로 찍어누르는 경기를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페이커와 오너의 폼은 괜찮았으나, 도란과 스매쉬-케리아의 바텀 듀오가 저점을 보이며 경기 내내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도란은 시종일관 농심의 탑 라이너인 킹겐에게 서열정리를 당했으며 스매쉬는 1세트에선 자신있는 픽인 제리를 들고도 포지셔닝 실수로 폭사하는 등 좋지 못한 활약을, 케리아는 강점이라는 강한 라인전과 로밍으로 인한 변수 창출이 무색하게 게임 내내 지워졌다. "T1의 1옵션이 페이커라면, 그 해의 T1은 위기다."[15]라는 말이 있기에, 오너를 제외한 다른 팀원들의 경기력과 팀합이 올라와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종료 후, 국민일보 윤민섭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케리아가 아직 합을 잘 못 맞춰봤다며 그 여파가 오늘 경기에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지난 한화생명전 이전에 급하게 스매쉬가 투입되어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 스매쉬를 비롯한 선수들에게 스크림보다 솔랭을 통해 연습을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데 현 상황에 대한 감코진의 타개책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 6경기: vs BFX
BNK FEARX | 2 | 1 | T1 | ||||
× | ○ | ○ | ○ | × | × | ||
3승 3패 | 결과 | 3승 3패 |
1세트는 이즈리얼, 라칸에 탑 그라가스를 뽑고 아지르, 신짜오로 무난한 밴픽을 뽑았으나 잭스의 카운터라고 생각했던 그라가스는 잭스에게 cs가 역으로 밀리기 시작했고 바텀 듀오는 상대 원딜에게 더블킬을 주는 등, 탑과 바텀에서 전혀 경기를 유리하게 끌고 가지 못했다. 그나마 아지르라는 최후의 밸류픽을 이용해 경기 시간을 끝까지 끌고 간 결과 마지막 한타, 이즈리얼과 아지르를 동시에 무는 한타를 걸었으나 잭스의 역캐리와 이즈리얼은 살아가면서 결과적으로 빨아들인 셈이 되어 BFX는 대패, T1은 꾸역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T1의 나락 포인트는 2세트부터 발동했는데 농심전에서도 킹겐의 제이스에게 솔로킬을 당한 도란의 그웬이 클리어의 제이스한테도 똑같이 솔로킬을 당하며 탑에서 균열이 가기 시작했고 바텀픽으로 나온 애쉬, 레나타의 경우도 초반 인베킬을 애쉬에게 먹여주었음에도 라인 솔로킬을 당하는 등 이전 1세트와 똑같은 상황이 되었다. 문제는 ad픽으로 뽑은 코르키로는 도저히 영겁의 지팡이 및 대천사를 올린 라이즈를 뚫을 수 없었고 정글 미드가 열심히 스노우볼을 굴리려 시도해도 조합 차이를 이겨낼 수 없었다.
마지막 3세트는 감독 코치진 입장에서 스매쉬의 폼이 좋지 않다고 인정했는지 구마유시가 다시 출전했다. 그러나 밴픽은 여전히 블루 1픽 빅토르를 선픽했고 BNK는 T1이 지난 농심전에 활약한 사이온, 비에고를 뺏어버리며 강제로 T1의 밸류를 낮춰버렸다. 결국 T1은 요릭, 리신으로 챔피언을 대체했으나 정작 교체출전한 구마유시가 엄청난 저점이었다. 라인전 초반까지 징크스 룰루로 라인전 압박을 잘 수행했으나 거리 조절을 실수해 구마유시의 점멸이 빠졌고, 곧이어 마공학 알리의 이니시에 그대로 당하며 폭사했다. 게다가 비에고의 추가 갱까지 맞아 죽어 바텀이 완전히 터지자 T1에게 남은 승리 플랜은 조금이라도 라인전을 이기려 했던 콩콩이 빅토르의 후반 밸류와 사이온에게 열심히 구울을 던지며 체력 스택을 채워주던 요릭의 사이드 전략뿐이었다. 게임 중반. 바텀을 회복하기 위해 라인스왑을 강제로 당한 요릭마저 비에고의 갱킹에 무력하게 휩쓸리자 마지막으로 남은 빅토르 홀로 열심히 갱회피, 파밍, 어그로를 수행했으나 애초에 빅토르가 클 시간이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았고, 결국 3세트에서 T1은 '요릭 + 리 신 + 빅토르'라는 해괴한 조합 의미와 시너지를 내지 못하고 한타에서 완패하는 흐름을 반복하다가 넥서스가 터지면서 경기가 마무리 되었다.
총평을 하자면 바텀과 탑의 부진이 매우 큰 경기였고, 더욱 심층적으로 보면 계속되는 발밴픽과 두 원딜에 대한 대외적인 비판이 거세지게 만든 경기였다. 스매쉬와 구마유시는 서로 상반되는 장단점을 갖고 있는데 장점을 극대화하는 밴픽조합을 짜기보다 서로의 단점만 계속 부각시키는 발밴픽을 계속 쥐어줬다. 결국 감코진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스매쉬, 구마유시 모두 패배의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고 앞으로 어떤 선수를 기용하든 주전 선수에게 과도한 비난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 7경기: vs DK
T1 | 2 | 1 | Dplus KIA | ||||
○ | × | ○ | × | ○ | × | ||
4승 3패 | 결과 | 5승 2패 |
문현준 (Oner) |
- 8경기: vs BRO
OKSavingsBank BRION | 2 | 1 | T1 | ||||
○ | × | ○ | × | ○ | × | ||
3승 5패 | 결과 | 4승 4패 |
2세트는 다시 도란에게 그웬을 쥐어주었고 정글 판테온, 미드 사일러스라는 라인전 보다 교전 특화 상체를 구성했다. 초반부터 그웬이 상대 암베사를 솔로킬 내며 격차를 내버렸고 판테온 또한 적절하게 미드 갱을 찔러주면서 모든 라인에서 차이가 나버렸고 무난하게 승리했다.
그러나 패망의 씨앗은 3세트에서 발현되었으니 기존 승리 공식이던 탑 사이온에 정글 비에고까지는 무난했으나 미드에서 탱커픽인 갈리오를 픽하면서 비에고에게 캐리가 강요되는 밴픽이 구성된 것이다. 첫 용 타이밍, 미드 교전에서 각자 킬을 기록했던 두 정글 중 오너가 주도권을 바탕으로 드래곤을 강행했지만, 서포터 케리아가 수정초를 터트리며 상대 서포터의 위치를 파악하고도, 탑 동선을 밟음으로서 패망의 꽃이 피게 되었다. 케리아와 달리, 미드 - 용 동선을 밟은 BRO서포터 폴루의 빠른 미드 합류가 결정타였다. 폴루의 합류로 2:1이 된 페이커가 자연히 미드 푸쉬권을 빼앗기게 되어 미드 포탑에 갇히게 되었고, 이어진 BRO 미드, 서폿의 빠른 용 합류에 인원수가 밀린 오너가 용을 빼앗기며, 킬까지 상대 정글에게 주게 되어 비에고 성장 교전인 승리 패턴에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 조합의 힘은 남아있었기에 두번째 용 타이밍을 준비했지만, 케리아의 고난이도를 요구하는 성급한 이니시로 인한 오너의 CC연계 실패와 페이커 갈리오 궁극기 사용을 위한 거리 또한 멀었기에 대패를 하게 되었고, 돌이킬 수 없는 격차가 벌어지게 되었다. 그나마 이후 케리아의 알리스타가 만회의 플레이로 미스포츈의 뒤를 노려 전장 중앙으로 토스를 성공하며 활약을 보였지만, 그간의 미스 플레이로 입은 피해를 복구하기에는 너무 늦었기에 마지막 한타 때 BRO이 교전을 강제로 열어버리며 경기를 승리, T1은 DK를 잡음과 동시에 BRO에게 패배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직면하였다.
이번 BRO전으로 페이커는 2015 나진시절 부터 이어져 내려온 연승 행진을 패배로 마무리하게 되었고[16] T1은 1라운드가 끝나가는 와중에도 전혀 해결책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지속적으로 지목되는 밴픽문제는 구마유시의 제이카 기피현상과 폼이 불안정한 상체와 결합해 해결방법을 찾기 매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 9경기: vs DNF
6.2. 3~5 라운드
7. Esports World Cup 2025
전년도 대회인 Esports World Cup 2024 우승자 자격으로 참가하게 된다. MSI에 진출하게 되면 T1의 자격 중복으로 남는 EWC 2025 진출권은 로드 투 MSI 최종전 패배 팀에게 양도된다.8. 팀별 둘러보기
| ||||
| | | | |
HLE | GEN | DK | T1 | KT |
| | | | |
BFX | DNF | NS | DRX | BRO |
| ||||
[1] 탑정글의 이름이 모두 현준이라 현준페구케로도 불리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한화생명 공식 유튜브에서 이와 관련된 영상을 8개월 전에 올린 적이 있다. # 이후 공식 석상에서는 도오페구케를, 선수들이나 팬들 사이에서는 현준페구케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착되었다.[2] 서로가 서로의 챔피언을 선택해주는 밴픽 방식.[3] 오너 6표, 도란 2표, 케리아 2표, 구마유시 1표[4] 스매시 6표, 오너 2표[5] 오너 8표, 도란, 페이커, 케리아 1표[6] 스매시 10표, 오너 1표[7] 넥서스 포탑을 깨기 전, 조이가 아무무에게 수면을 맞춰둔 상황이었는데 이를 소라카가 깨운 것도 모자라 스카너는 궁과 E스킬이 있었음에도 아무무에게 아무런 방해를 가하지 않았다.[8] 케리아 7표, 구마유시 6표[9] 구마유시는 방송으로 이때 코르키 앞발키리는 실수였다고 밝혔다[10] 하지만 블츠 그랩에 끌려 입은 손해는 유충 대치 때 일어난 한타에서 좋은 포지션으로 이겨 만회했다[11] 이에 고연포의 사거리와 헤드샷으로 죽이려고 했으며 쵸비가 잠깐 밝혀진 시야 틈 사이를 포착해 죽인 것이기에 쵸비가 잘한 것이며 구마유시 잘못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12] 다행히 손해를 본 만큼 대치나 한타 때 만회를 했다고는 하지만 라인전을 압박해야 하는 케이틀린을 들고 그랩에 끌려 초반 솔로킬을 당했다는 것부터가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13] 레드 진영이었음에도 탑과 미드 라인 스왑이 가능한 요네를 풀어주었고 어떠한 견제픽 없이 1픽 나피리를 가져간 결과 "제이스 / 세주아니 / 요네 / 미포 + 렐"이라는 한타로는 답이 없는 조합을 상대에게 쥐어주고, 그러면서 가져온 거라곤 나피리와 코르키 + 서폿 판테온이 전부였다[14] 이마저도 LCK컵에서는 폼이 지나치게 떨어져있는 젠지를 상대로 거둔 승리였고 또 다른 대권주자인 한화생명을 상대로는 증명하지 못한 상태였다.[15] 실제로 2018년도 당시 트할/운타라-블랭크/블라썸-페이커/피레안-뱅/레오-울프/에포트의 로스터로 경기를 치를 당시, 스프링에서의 폼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력을 다시 회복하여 결국 포스트시즌에 진출, 리프트 라이벌즈에도 참가하여 준우승이라는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서머에서는 페이커가 심한 기복을 보여 결국 피레안이 주전인 상황이었는데, T1 역사상 최초로 풀리그 체제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라는 성적표를 받아들고 말았다. 결국 계속해서 틀린 말이 아닌 상황이다.[16] 팀 연승 기록은 21 돌림판 시절의 클로저와 23 전설의 페없티로 이미 깨져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