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1:09:02

Sound Space

Sound Space
파일:Sound Space.pn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제작 그룹 Blox Saber
제작 날짜 2018년 12월 25일
최근 업데이트 날짜 2021년 5월 29일
최대 플레이어 수 20명
장르 전체
기어 허용 (X)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방법3. 난이도
3.1. EASY3.2. MEDIUM3.3. HARD3.4. LOGIC?3.5. BRRR
4. 여담

[clearfix]

1. 개요

Blox Saber[1]에서 개발한 리듬게임. VR기기 게임인 Beat Saber을 모방한 게임이다.

2. 플레이 방법

곡에 맞춰 판정면으로 날아오는 노트들을 마우스 커서로 잘라내는 게임이다.[튜토리얼]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PC 기기로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한다.[3]
스페이스바를 통해 일시정지가 가능하다. 다만 일시정지를 한 번이라도 할 시 리더보드 점수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주의. 중간에 곡을 취소하고 싶다면 R키를 길게 누르면 된다.

난이도는 EASY, NORMAL, HARD, LOGIC?, BRRR 5종류가 존재하며, 보통 한 곡에 2종류 이상의 난이도가 존재한다. 자세한 특징은 후술. 장르가 리듬 게임이다보니 같은 난이도임에도 한 단계 수준으로 격차가 날 수 있다. 개인차는 본인 감당하기 나름이다.

그 외 곡 시작 전 Modifier를 걸 수 있으며 이는 플레이 점수에 영향을 미친다. 최대 2개를 걸 수 있으며 No-Fail과 Ghost, 감속과 배속이 해금되어 있다. 게임패스를 통해 더 다양한 모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

3. 난이도

Sound Space의 난이도 특징을 설명한다.
  • EASY
    가장 쉬운 난이도.[4] 대부분의 곡들이 비슷비슷한 난이도를 가지며, 기본적으로 긴 곡보다 짧은 곡의 난이도가 조금 더 있는 편이다. 며칠 열심히 하면 금방 뗄 수 있는 난이도이다.
  • MEDIUM
    노트 밀도가 EASY보다 높으며 대부분 곡의 멜로디에 기반하여 노트가 등장한다. 개중 일부 빠른 곡들은 이제 막 EASY를 뗀 플레이어에게 클리어가 버거울 수 있다. 일부 곡들은 커서 이동폭이 눈에 띄게 늘어나는데, 주로 느리거나 엇박을 타는 곡에 분포되어 있다.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로 꺾는 이 패턴은 이후 난이도들의 어려움을 담당하는 파트이기도 하니 미리 익혀두는 게 좋다.
  • HARD
    본격적으로 난이도가 올라가며, 곡 선택 풀이 많아지는 만큼 개인차를 조금씩 유발하기 시작한다. 하드코어나 메탈, 빠른 속도의 아트코어 등 점차 통상적인 리듬 게임의 장르인 곡들이 자주 보이고 그에 맞게 노트 밀도가 상당히 높아지며, 16비트로 길게 늘어진 ㄱ자, ㄹ자 형태의 연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MEDIUM에서 일부 존재하는 곡 중 커서의 이동폭을 늘리는 성향이 강해지는데, 이때부터 슬슬 속도에 구애받지 않고 커서 이동폭을 늘리기 시작한다는 게 난이도 상승의 주 요인이기도 하다. 또 쉬운 곡들의 경우 난이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기존 3x3 격자 안에서 뿐 아니라 칸 사이에 애매하게 끼인 위치에 노트가 나오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LOGIC?의 일부 곡에서 능숙한 감속 컨트롤을 요구하기도 한다.
  • LOGIC?
    Sound Space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난이도. 통상적으로는 HARD까지 등장했던 패턴들을 빠른 속도와 길이로 난이도를 증가시키는 형태를 띄는데, 곡마다 노트 개성이 크게 차이가 나 개인차를 가장 많이 유발한다. 여기부터는 긴 곡이 짧은 곡보다 상대적으로 쉽다는 편견이 깨지기 시작하며, 대표적으로 Camellia의 곡들[5]을 플레이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심지어 이게 반대로 작용하기도 하여 짧은 길이인데 난이도는 HARD보다 조금 더 어려운 정도에 그치는 곡들이 존재하기도 한다.[6] EDM 장르나 특정 곡들에서는 HARD에서의 기존 칸을 무시하는 형태의 노트도 32비트의 고밀도로 늘어놓아 기존 이상의 속도 조절을 요구하는 부분 역시 강하며, 특히 새로운 기믹으로 특정 구간에서 노트의 크기를 줄여[7] 정확도를 훨씬 어렵게 만들기도 하는 등, 기믹과 응용 면에서 HARD'보다 훨씬 어렵고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상술한 물렙들도 어디까지나 기준이 다를 뿐, 대부분의 곡들은 이전의 난이도들을 크게 상회하기에 연습량은 꽤나 많이 요구되는 편.
  • BRRR
    Sound Space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 LOGIC?의 난이도 범위가 광범위한 것과는 달리 이 난이도의 경우 LOGIC?과는 차원이 다른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LOGIC?에서 장시간의 16비트 기차와 빠른 손이동, 정밀한 조절을 요구하는 2연타 등 다양한 조건으로 난이도를 올렸다면 BRRR에선 이 요소를 더 강화하거나 상대적으로 덜 어려운 구간들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에 치중이 되어 있다. 감속 컨트롤의 32비트 대신 16비트 ㄹ자 연타를 2배로 강화한다든지, 8비트의 넓은 커서 이동폭을 16비트의 속도로 찍어내는 등 LOGIC?의 요소를 심각한 폭으로 어렵게 만든 형태가 주를 이루며, 그 외에도 LOGIC?에서 처음 등장한 노트 크기 감소 기믹을 적극 활용하거나 원래 없던 기계음을 고밀도 폭타로 재차 연출하여 난이도를 더욱 끌어올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 난이도가 Sound Space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기에 소수의 물렙을 제외하면 LOGIC?과는 채보 난이도가 궤를 달리하는 만큼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여기서 벽을 느끼며, 일부 심각한 정도의 맵[8]은 랭커들도 버벅일 수준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Camellia - Body F10ating in the Zero Gravity Space BRRR Tera I/O BRRR

3.1. EASY

  • ChipTon
  • Rainbow
  • Home
  • Sleepy
  • You
  • パレット(Palette)
  • そらいろ プラネット(SORAIRO_Planet)
  • 雪の降る街で(In a snowy City)
  • カフェラッテ(latte cafe)
  • ライム ティー(Lime tea)
  • Crystal Caves
  • 夢のひととき(A Moment of Dreams)
  • 星のともだち(Star Friends)
  • Game start
  • BUTANE
  • Far Away
  • Broken Faith
  • Never give up
  • Cthulu
  • A Final Glance
  • There for you
  • Beat That Soft Rikishi
  • space.
  • Time

3.2. MEDIUM

  • Paatel Waltz
  • Sweet Victory
  • Crystal
  • ChipTon
  • Rainbow
  • home
  • sleepy
  • you
  • 雪の降る街で(In a snowy City)

3.3. HARD

* There For You

3.4. LOGIC?[9]

* There For You
* Millionpp
* Hate
* Make believe
* colorful











3.5. BRRR[10]

* There For You
* BPM=RT
*//along/the/mystic/lands.//

4. 여담



[1] Sound Space의 전 명칭[튜토리얼] 첫 플레이 시 로비에서 아케이드까지 길을 안내해 주며, E키를 길게 눌러 접속하면 원하는 곡을 골라 플레이한다. 곡을 완주하거나 실패하면 튜토리얼이 종료된다.[3] 모바일은 장시간 익숙해지려고 각오하면 상관 없지만 기본적으로 작은 화면, 고정된 감도로 PC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4] 물론 커서를 이용하는 게임인 만큼 무작정 방심하고 대충 움직여도 될 정도로 쉽다는 뜻은 아니니 주의하자.[5] 타 리듬 게임에 제공하는 곡들의 난이도도 높은 만큼 여기서도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당장에 Camellia의 M1LLI0N PP를 예로 들면 곡 길이는 7분에 가까움에도 큰 이동폭, 사이사이에 쏟아져 나오는 3개/5개의 16비트 연타, 중반에 음악에 맞춰 느려지다 빨라지는 박자와 최후반의 초고속 연타 등 이제 막 입문한 상태로는 클리어조차 힘든 난이도를 보여준다. 그외 타 곡들도 4~5분을 넘어가는 길이로 난이도는 왠만한 곡들을 아득히 초월하는 수준.[6] 대표적으로 Rizum의 Hoshizora, WaterWater. 두 곡 모두 가끔 빨라지는 커서 이동폭만 조심하면 HARD 난이도를 마스터한 사람 기준으로 무난하게 클리어 가능한 곡들에 속한다.[7] Camellia의 Body F10ating in the Zero Gravity Space, Tera I/O. 특히 Tera I/O의 경우 BRRR 난이도에서까지 노트의 크기를 줄이는 기믹을 선보이며, 그 크기마저 LOGIC?보다 더 작아진 형태로 등장한다.[8] 맵 전체가 245BPM 32비트 기차로 도배된 BPM=RT, 커서이동폭이 큰 230BPM 16비트 후살을 가진진 +ERABY+E CONNEC+10N 등. 이외에도 괴랄한 맵들이 많다.[9] 가장 불규칙한 난이도다.어떤곡은 HARD랑 비슷한 반면에 어떤곡은 BRRR과 비슷한 곡도 있다.[10] Sound space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답게 괴랄한 수준의 곡만 있다. 간혹 Logic?과 비슷한 곡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궤를 달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