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FENNELlogo_profile.png | ||||
<colbgcolor=#000><colcolor=#fff> 펜넬 | ||||
FENNEL | ||||
창단 | 2013년 4월 26일 | |||
해체 | 2023년 12월 6일 | |||
팀명 | PeachServer Allstars(2013.4~2013.12) Rascal Jester(2013.12~2022.9) FENNEL(2022.9~2023.11) | |||
약칭 | FL | |||
우승 기록 | ||||
LJL (1회) | 2014 윈터[1] | |||
JCG Premier (3회) | 2013 그랜드 파이널, 2014 시즌 1, 2014 시즌 2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 }}}}}}}}}}}} |
1. 개요2. 주요 기록3. 역사 및 역대 시즌4. 前 로스터
4.1. apaMEN(아파멘, 小田桐稜, Ryo Odagiri, 오다기리 료)4.2. Taki(타키, 김광희)4.3. Kinatu(키나츠, 榎本雄斗, Yuto Enomoto, 에노모토 유토)4.4. Ino(아이노, 合野史哉, Fumiya Aino, 아이노 후미야)4.5. TaNa(타나, 이상욱)4.6. Hachamecha(하챠메챠, 髙井大, Dai Takai, 타카이 다이)4.7. Ninja(닌자, 노건우)4.8. Recap(리캡, 山崎教史, Norifumi Yamazaki, 야마자키 노리후미)4.9. Art(아트, 조정훈)4.10. SSol(쏠, 서진솔)4.11. Leo(레오, 한겨레)4.12. HW4NG(황, 황영식)4.13. viviD(비비드, 한기훈)4.14. Secret(시크릿, 박기선)4.15. Corporal(코포럴, Ian Pearse, 이안 피어스)4.16. Shakespeare(셰익스피어, 大友美有, Miyu Otomo, 오토모 미유)
5. FNL Academy6. 여담7. 둘러보기1. 개요
FENNEL 소속 일본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약칭은 FL.[2]2013년에 창단된 PeachServer Allstars를 전신으로 하기에 LJL 내에서도 역사가 꽤 오래된 팀으로, LJL의 초대 우승팀이다.
2023년 12월 6일, LJL이 PCS와 합병하면서 구단 해체를 발표했다.
2. 주요 기록
우승 기록 | ||||
LJL 2014 Winter 우승 | ||||
출범 | → | Rascal Jester | → | DetonatioN FocusMe |
3. 역사 및 역대 시즌
| | |
PeachServer Allstars | Rascal Jester | FENNEL |
피치서버 올스타즈 | 라스칼 제스터 | 펜넬 |
2013 | | 2023 |
4. 前 로스터
4.1. apaMEN(아파멘, 小田桐稜, Ryo Odagiri, 오다기리 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다기리 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다기리 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Taki(타키, 김광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Kinatu(키나츠, 榎本雄斗, Yuto Enomoto, 에노모토 유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노모토 유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노모토 유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Ino(아이노, 合野史哉, Fumiya Aino, 아이노 후미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노 후미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노 후미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TaNa(타나, 이상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상욱(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상욱(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6. Hachamecha(하챠메챠, 髙井大, Dai Takai, 타카이 다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카이 다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카이 다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7. Ninja(닌자, 노건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건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건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8. Recap(리캡, 山崎教史, Norifumi Yamazaki, 야마자키 노리후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마자키 노리후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마자키 노리후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9. Art(아트, 조정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정훈(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정훈(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0. SSol(쏠, 서진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진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진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1. Leo(레오, 한겨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겨레(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겨레(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2. HW4NG(황, 황영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영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영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3. viviD(비비드, 한기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기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기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4. Secret(시크릿, 박기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기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기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5. Corporal(코포럴, Ian Pearse, 이안 피어스)
2001년생 호주-일본 이중국적으로 유명한[3] Dire Wolves,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출신 서포터. 일본 로컬 등록을 해서 터슬의 로컬 자격 취득과 더불어 소프트뱅크가 전설의 순수로컬 1명 로스터를 완성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 하지만 터슬의 노쇠화와 코포럴의 소통 문제 때문인지
일본 슈퍼팀의 멸망 이후 오더에 들어와서 LCO 복귀를 했는데, 북미로컬 유럽인 산토린의 18 H2k 흑역사와 달리 이쪽은 무려 정규시즌 4위에서 우승까지 도장깨기를 성공해버렸다.
다만 MSI에서는 유체폿 타르가마스야 당연하고 시종일관 욕먹는 벌컨을 상대로도 탈탈탈탈 털리면서 케비, 퓨마와 함께 팀을 침몰시켰다. 다른 마이너 지역 우승팀을 상대로는 어느 정도 먹혔을지 궁금하지만, 일단 팀 내에서도 개인기량으로 지분이 그리 큰 선수라 보긴 어렵다.[4]
2022년 9월 12일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후 일본의 라스칼 제스터를 인수한 펜넬로 이적했다.
4.16. Shakespeare(셰익스피어, 大友美有, Miyu Otomo, 오토모 미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토모 미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토모 미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FNL Academy
파일:FENNELlogo_profile.png | ||||
<colbgcolor=#000><colcolor=white> 펜넬 아카데미 | ||||
FENNEL Academy | ||||
창단 | 2021년 8월 28일 | |||
해체 | 2023년 11월 25일 | |||
팀명 | Rascal Jester Academy(2021.8~2022.9) FENNEL Academy(2022.9~2023.11) | |||
약칭 | FNLA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 }}}}}}}}}}}} |
2021년 8월 28일, 새로 출범한 LJL Academy League를 위해 FENNEL 산하에 창설된 팀이다.
창설과 함께 서포터로 'ShakeSpeare' 오토모 미유를 로스터에 등록하였는데, 이는 LJL 첫 여성 선수의 공식 로스터 등록이다.
6. 여담
- 2021년 기사에 따르면 팀 운영을 한국의 ROX Gaming이 대행한다고 한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윈터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2014 그랜드 파이널 |
Rascal Jester ★ | DetonatioN FocusMe ★ ★ ★ | |||
2015 시즌 1 | 2015 시즌 2 | 2015 그랜드 파이널 | 2016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Ozone Rampage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2016 서머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
Rampage ★ ★ ★ ★ | PENTAGRAM ★ ★ ★ ★ ★ |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
V3 Esports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2024 서머 | 2025 포지 | 2025 스톰 | 2025 이그나이트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REJECT ★ ★ ★ | |||
2025 파이널 | 2026 포지 | 2026 스톰 | 2026 이그나이트 | |
QT DI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