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68a48,#f68a48> | LCP 참가팀 |
| '''{{{#!wiki style="color: black;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 | |
| | | | | |
| | | HAWKS gaming | | |
| PCS 참가팀 | VCS 참가팀 | LJL 참가팀 | LR 참가팀 | |
|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PSG Talon |
| | PSG Talon | |
| | Talon Esports | |
| | Flipster Talon | |
| | Talon Esports |
| | ||||
| <colbgcolor=#e30041><colcolor=#fff> 피에스지 탈론 | ||||
| PSG Talon | ||||
| 창단 | 2019년 12월 18일 | |||
| 소속 리그 | LCP | |||
| 팀명 | Talon Esports(2019.12~2020.6) PSG Talon(2020.6~2025.1) Talon(2025.1~2025.7) PSG Talon(2025.7~) | |||
| 설립자 | 션 장 Sean |제럴드 탐 evilslug | |||
| 단장 | 김도훈 Dohoon | |||
| 감독 | [[청핀룬|청핀룬 CorGi ]] | |||
| 코치 | [[중전화|중전화 Zero ]]|[[이상훈(e스포츠)|이상훈 Maru ]] | |||
| 주장 | [[훙하오쉬안|훙하오쉬안 Karsa ]] | |||
| 약칭 | PSG | |||
| | ||||
| 우승 기록 | ||||
| PCS (8회, 최다) | 2020 스프링[1][A],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 |||
| MSS[3] (1회) | 2020[A] | |||
|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0041><colcolor=#fff> TOP | Azhi ]] | ||
| JGL | Karsa ]] | |||
| MID | Maple ]] | |||
| BOT | Betty ]] | |||
| SPT | Woody ]] | }}}}}}}}} | ||
| 팀 컬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1. 개요
| |
| |
| #PSGWIN |
2. 상세
구단 내부 주요 프런트진부터 한국인일 정도로 한국과 유대가 깊은 신생구단이다. 실제로도 창립 이래 감코진, 선수단에 한국인을 주로 기용하고 있다. 2020 시즌에 LMS와 LST의 통합 리그인 PCS에 새롭게 참가한다고 밝히면서 롤 프로씬에 뛰어들었다.2020년 LMS와 LST 통합 이후 소속 리그 최다 우승팀이자 다수의 국제 대회에 참가한 PCS의 맹주. 21년 MSI에서 북미를 제치고 4강 진출을 이뤄낼 정도의 마이너리그에서 가장 강한 팀이라는 타이틀을 장기간 동안 유지하고 있다. 성적과 더불어 단장이 한국인이기에 5대 리그로 개편되기 이전 마이너 리그에 소속된 팀들 중에서는 가장 인지도가 높은 편이였다.
2020 스프링 이후 해축팬들이 흔히 아는 그 파리 생제르맹 FC와 같은 그룹인 PSG Esports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킷 후원도 같이 받게 된 것인지, 유니폼도 파리 생제르맹의 유니폼을 스폰서만 달리해서 그대로 착용했었다. 이후 2025년 1월 5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이 종료되면서 2025 시즌부터 다시 Talon Esports로 돌아갔으나, 2025년 7월 파이널 시즌을 앞두고 재계약을 맺으며 다시 한번 PSG 탈론으로 팀명을 변경했다. 아울러 카타르항공이 파리 생제르맹 FC처럼 유니폼 전면 스폰서로 합류하게 되었다.
3. 주요 기록
| 우승 기록 | ||||
| 2020 PCS Spring Split 우승 | ||||
| 대회 출범 | → | Talon Esports | → | Machi E-Sports |
| Mid-Season Showdown 2020 우승 | ||||
| 대회 출범 | → | Talon Esports | → | 폐지 |
| 2021 PCS Spring Split 우승 2021 PCS Summer Split 우승 2022 PCS Spring Split 우승 | ||||
| Machi E-Sports | → | PSG Talon | → | CTBC Flying Oyster |
| 2023 PCS Spring Split 우승 2023 PCS Summer Split 우승 2024 PCS Spring Split 우승 2024 PCS Summer Split 우승 | ||||
| CTBC Flying Oyster | → | PSG Talon | → | Deep Cross Gaming |
| 준우승 기록 | ||||
| 2020 PCS Summer Split 준우승 | ||||
| Machi E-Sports | → | PSG Talon | → | Beyond Gaming |
| 2025 LoL Championship Pacific Season Kickoff 준우승 | ||||
| 대회 출범 | → | Talon Esports | → | GAM Esports |
4. 역사 및 역대 시즌
| | | | | |
| Talon Esports | PSG Talon | Talon Esports | PSG Talon | |
| 탈론 이스포츠 | 피에스지 탈론 | 피에스지 탈론 | 탈론 이스포츠 | 피에스지 탈론 |
| 2020 | ||||
5. 로스터
5.1. Azhi(아지, 黃上鋕, Huang Shang-Jhih, 황상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상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상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Karsa(카사, 洪浩軒, Hung Hau-hsuan, 훙하오쉬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훙하오쉬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훙하오쉬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Maple (메이플, 黃熠棠, Huang Yi-tang, 황이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이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이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4. Betty(베티, 盧禹宏, Lu Yu-hung, 루위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위훙#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위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5. Woody(우디, 林煜恩, Lin Yu-En, 린위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린위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린위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성적
7. PSG Talon Academy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 PCS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 | |
| | | | | |
| | | | | |
| LCP 참가팀 |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
| | |||
| <colbgcolor=#e30041><colcolor=#fff> 피에스지 탈론 아카데미 | |||
| PSG Talon Academy | |||
| 창단 | 2022년 3월 18일 | ||
| 소속 리그 | PCS | ||
| 팀명 | PSG Talon Academy(2022.3~2025.01) Talon Esports Academy(2025.01~2025.07.14) PSG Talon Academy(2025.07.15~) | ||
| 설립자 | 션 장 Sean |제럴드 탐 evilslug | ||
| 단장 | 양보런 cabalziyang | ||
| 감독 | 천즈하오 Hana | ||
| 약칭 | PSGA | ||
| | |||
|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0041><colcolor=#fff> TOP | Weizhe | |
| JGL | Dinai | ||
| MID | Adiogs | ||
| BOT | DoTmm | ||
| SPT | Orca | }}}}}}}}} | |
| 팀 컬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팀 컬러 | ||
| ■ ■ ■ | }}}}}}}}} | ||
2022년 창단을 발표했다. 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2022 ASCI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로스터를 한 차례 갈아엎은 뒤 2023 PCL 그룹 스테이지 1위를 차지했고, 2023 ASCI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ASCI에서 LDL의 MiaoJing을 잡는 이변을 일으켰지만, 승리한 경기 시간으로 결정되는 타이브레이크 룰에서 밀리면서 안타깝게도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이 좌절되었다.
ASCI가 종료되고 치러진 PCL 플레이오프에서는 다른 PCS 아카데미 팀들이 오픈 예선을 통해 올라온 팀들[8]에게 고전하는 가운데 PCS 아카데미 팀으로써는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그리고 Nate.A를 3:2로 잡아내면서 2024 PCS 승강전 진출을 이뤄냈다.
승강전에서는 Impunity Esports와 맞붙어 3:0 완승을 겨두었다. 이후 승자전에서 Nate9527에게 0:3 패배를 당했으나, 다시 만난 Impunity Esports에게 3:0으로 승리하며 PCS 아카데미 팀이 PCS 하위권 팀을 상대로 승리해 승격을 이뤄냈다.
하지만 라이엇의 형제팀 금지 원칙 때문에 'PSG 아카데미'로는 PCS로 승격할 수 없었고, 이에 2024 시즌이 시작하기 전 아카데미 팀의 시드권을 매각하려 했으나 무산되어 2024 PCS 시드권을 박탈당했다.
1년 뒤, 1군 팀이 LCP로 승격하면서 비로소 PCS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8. 전 로스터
- 김승주(Candy): 2020년 7월 9일 계약 종료, 은퇴
- 박단원(Tank): 2020년 11월 4일 계약 종료, 은퇴
- 김동우(River): 2021년 11월 16일 계약 종료, Dignitas로 이적.
- 이주한(Juhan): 2022년 6월 2일 계약 종료, DRX로 이적.
- 박준병(Bay): 2022년 6월 2일 계약 종료, T1 Challengers로 이적.
- 쑤자샹(Hanabi): 2022년 11월 20일 계약 종료. Deep Cross Gaming으로 이적.
- 정승환(Burry): 2022년 11월 20일 계약 종료, 은퇴
- 김태우(Gori): 2022년 11월 20일 계약 종료, Golden Guardians로 이적.
- 웡춘킷(Unified): 2022년 11월 20일 계약 종료, 은퇴
- 링카이윙(Kaiwing) - 2022년 11월 20일 계약 종료, Frank Esports로 이적.
- 천창쥐(ubao): 2023년 5월 31일 계약 종료, Rare Atom Period로 이적.
- 황쯔웨이(HuSha): 2023년 11월 21일 계약 종료, Beyond Gaming로 이적.
- 저우웨이양(Wako):2023년 11월 21일 계약 종료, Frank Esports로 이적.
- 궈베이이(HongSuo):2024년 11월 17일 계약 종료, Deep Cross Gaming로 이적.
- 위쥔자(JunJia):2024년 11월 17일 계약 종료, CTBC Flying Oyster로 이적.
- 주쥔란(FoFo):2025년 7월 15일 계약 종료,
8.1. WeiLun(웨이룬, 차이웨이룬)
2019 시즌에는 Flash Wolves의 2부 팀인 플래쉬 허스키에서 있었으며 FW가 해체된 이후에는 팀이 없다가 2020년 3월 탈론의 서브 원딜로 합류했다. 하지만 출전 기회는 없었으며, 스프링이 끝난 이후 알파 이스포츠로 이적했다.9.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 | | | ||
| Talon Esports ★ | Machi E-Sports ★ | PSG Talon ★ ★ ★ | ||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
| | | | ||
| PSG Talon ★ ★ ★ ★ | CTBC Flying Oyster ★ | PSG Talon ★ ★ ★ ★ ★ ★ | ||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2025 스플릿 1 | 2025 스플릿 2 | |
| | | |||
| PSG Talon ★ ★ ★ ★ ★ ★ ★ ★ | Deep Cross Gaming ★ ★ | |||
| 2025 스플릿 3 | 2026 스플릿 1 | 2026 스플릿 2 | 2026 스플릿 3 | |
| | ||||
| Deep Cross Gaming ★ ★ ★ | ||||
| | ||||||
| ★★★ 2021 스프링 ~ 2022 스프링 | ★★★★ 2023 스프링 ~ 2024 서머 | ★★★ 2025 스플릿 1 ~ 2025 스플릿 3 | ||||
| PCS 기록만 서술하며 왕조를 달성한 당시 구단명과 엠블럼으로 서술함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다른 스포츠 역대 왕조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야구 | 축구 | e스포츠 |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 대만프로야구 역대 왕조 |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왕조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 라리가 역대 왕조 세리에 A 역대 왕조 분데스리가 역대 왕조 에레디비시 역대 왕조 리그 1 역대 왕조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 | LCK 역대 왕조 · LPL 역대 왕조 · LEC 역대 왕조 LCS 역대 왕조 · LJL 역대 왕조 · PCS 역대 왕조 VCS 역대 왕조 · LCK CL 역대 왕조 LLN 역대 왕조 · CLS 역대 왕조 · LMS 역대 왕조 LST 역대 왕조 · LCO 역대 왕조 · LCL 역대 왕조 CBLOL 역대 왕조 · LPLOL 역대 왕조 LFL 역대 왕조 · SL 역대 왕조 · TCL 역대 왕조 RL 역대 왕조 · LIT 역대 왕조 · HLL 역대 왕조 HM 역대 왕조 · EBL 역대 왕조 | ||||
[1] 초대 우승[A] Talon Esports 시절 달성.[3] 2020년 코로나19로 MSI가 취소되어 VCS와 함께 개최한 대회, LCK와 LPL은 MSC을 개최하였다.[A] [5] Talon 시절에는 TLN.[6] Talon Esports 게임단 글로벌 계정[7] Talon Esports 게임단 한국 계정[8] PCL 오픈 예선에 참가하여 올라온 팀들에는 한때 프로 경험이 있던 선수들이 주전 라인업의 대다수를 이루기 때문에 단순한 아마추어 팀이라고는 볼 수 없는 전력을 갖추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 구성된 DCG 아카데미나 CFO 아카데미, 그리고 한 차례 로스터를 갈아엎은 TPB는 주로 신인들로 구성되어 있기에 NTA, NAT의 베테랑들에게 고전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다만, 홍콩 유망주들로 구성된 TES가 CFO 아카데미를 잡아낸다거나 07년생 미드라이너가 소속된 NAT가 우승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아직 아카데미 선수들의 기량이 부족한 면도 조금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