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1:41:58

QiCycle

1. 개요2. 자전거
2.1. QiCYCLE R12.2. 전륜구동 전기 자전거
2.2.1. QiCYCLE EF12.2.2. QiCYCLE EF1+
2.2.2.1. 자가정비2.2.2.2. A/S
2.2.3. QiCYCLE F2
2.3. 후륜구동 전기 자전거
2.3.1. QICYCLE C22.3.2. QiCYCLE T2
2.4. 미투 시리즈2.5. 주변기기

1. 개요

iRiding 의 자전거 브랜드이다.
원래 자전거용 피트니스 트래커 앱을 개발하는 회사였으나, 샤오미 생태계 기업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서 자전거와 자전거 주변 기기를 출시하였다.
주요 제품으로 치사이클 자전거와 전동 펌프가 있다.

2. 자전거

2.1. QiCYCLE R1

파일:QiCYCLE_R1.jpg

2.2. 전륜구동 전기 자전거

QiCycle에서 생산하고 Xiaomi에서 판매하는 전기 자전거이다. 해외 직구 모델도 국내인증이 되어 있는 최초의 전기 자전거이다.

2.2.1. QiCYCLE EF1

파일:QiCYCLE_EF1.jpg
모터 Ananda M108VD
배터리 파나소닉 NCR18650 5800mAh[1]
페달링 센서 TMM4토크 센서(후륜 탑재)
최고속도 30km/h
기능 과속 센서(중국 내수용. 15키로 이상 과속시 경보)

QiCycle의 존재 이유이자,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자전거. 가격 대비 성능도 좋다. 시마노 넥서스 3단 내장 기어를 탑재했다. 마개조로 20인치로 인치업까지 가능하다. 뒷드럼브레이크가 감속용이라 매우작고 위험해서 시마노 넥서스 대구경 드럼브레이크인 MR시리즈로 업그레이드하고 타고다니는 라이더들이 많다.

생산년도별로 자잘한 변화가 있는데 초기형인 2016년 모델에 고무벨트체인이 쓰였다가 이후부터 체인으로 바뀐후 지금까지 유지되고있다. 가끔 웃기게 고무벨트 초기형+블투내장 계기판+모터 컷 센서 라는 조합이 나오기도 한다.

계기판 후면에 포고핀 방식 USB 단자가 있어 3D 프린터로 클램프를 만들거나 전선을 USB 단자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펌웨어 교체가 가능하다.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고 밝기 설정에 들어가서 위아래버튼을 누르면 개발자 모드에 진입한다. 속도제한을 해제하고싶다면 이 모델을 사자.

최대 속도는 20km/h(중국 관련법 기준.). 펌웨어 교체와 라이더의 버프로 49km/h 까지 해제할 수 있다. 제품구성은 심플하다.

2.2.2. QiCYCLE EF1+

파일:QiCYCLE_EF1.jpg
모터 Ananda M108VD
배터리 SAMSUNG SDI 29E 5800mAh[2]
페달링 센서 TMM4토크 센서(후륜 탑재)
최고속도 25km/h

국내에서 정식발매된 제품.

바이클로에서 판매중이다. 정발제품답게 KC 인증을 별도로 받았다. 한글화도 되어있다. 기존 EF1과의 차이점은 블루투스의 유무 물리제거. 분해해보면 블루투스 칩이 있어야 할 자리가 텅 비어있다. 계기판을 중국판으로 바꾸지 않는이상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5만원이면 구입할수 있다. 4핀과 5핀버전이 있으니 까보고 알아본후 구입하길 바란다. 신기한 기능으로 라이딩도중 페달을 강하게 걷어차면 크루즈모드처럼 모터가 계속 작동한다.[3]

이후 국내 한정판인 뉴트로 모델이 출시됐다.

2.2.2.1. 자가정비
  • 오래 사용하면 여러가지 이유로 가속하지 않았는데 모터에서 위잉 하는 소리와 함께 불특정한 가속이 나타나게된다
    아래는 센서 초기화법.
  1. 전원을 켠다.
  2. 계기판의 위 버튼과 아래 버튼을 동시에 3회 반복. 테스트화면으로 진입.
  3. 계기판에 영어가 나오면 위 버튼을 누른다. 화면이 바뀔때마다 차근차근 누른다.
  4. 어느순간 계기판에 x, y z 좌표를 표시하는 숫자가 나온다. 이때 센서값이 초기화된다. 마찬가지로 위 버튼을 누른다.
  5. 계속 누르다보면 계기판 좌측하단에 OK 글자가 보인다.
  6. 초기화 완료.
  7. 만약 잘 되지 않는다면 QiCycle을 평지에 바르게 세운 상태로 다시 시도한다
  8. 공기압을 체크해주거나 킥스탠드의 나사가 풀리는것을 확인해주고 가끔 휠스포크가 부러지는 대참사가 나는정도만 아니면 된다
  • 모든 샤오미 모빌리티는 저전압 충전 차단이 적용되어 있으며, 충전량 저하로 셀 전압이 종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BMS가 충전을 차단하며 해당 배터리는 영구적으로 충전 불능 상태가 된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1. 42V 전동 킥보드 충전기를 구매한다. 배터리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낮은 속도의 제품을 시용해야 한다. DC단자보다 전선 분리가 쉬운 항공단자나 XT60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충전기의 전선을 분리하고, 반사판의 반대편에 있는 컨트롤러 전원 입력부의 42V 라인에 극성에 맞게 전원을 연결한다
  3. 충전을 시작한다.
  4. 1시간 정도 지나면 배터리가 정상 전압 상태로 돌아와 충전 단자로 충전이 가능하다.
노력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미스터 불량이나 충전단자의 통신라인 불량일 수 있다. 이는 BMS 수리가 필요하며 전자의 경우에는 서미스터만 교체하면 되지만 통신 라인 불량의 경우에는 조금 복잡해진다.[4]
2.2.2.2. A/S
국내 바이클로 정식출시제품인 만큼 빵빵한 사후지원을 기대하겠지만 현실은.. 이럴거면 더 싼 직구품 사지 뭐하러 리밋 해제도 안되는 정발판을..? 정식발매 후 몇년동안이나 배터리를 별도로 팔지도 않는 미발매상태였다가 최근 판매를 시작했다. 판매방법이 참 웃긴데, 매우 소량만 물량을 받아온건지 아니면 재고물량을 일부 떠안은건지 공식 홈이나 네이버판매처에서는 절대 직접 살 수 없고 Q&A에 배터리 괸련 문의를 남긴 사람들에게만 판매 경로를 알려준다. 그마저도 가격은 충격과 공포의 38만원. 알리에서 200달러 선에서 판매하는걸 감안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가격이다. 심지어 제조일자를 물어보면 모른다고 답한다. 알리도 판매자에게 문의하면 알려는 준다 [5] 모터휠도 항상 품절상태.
24년 기준 그래도 AS센터에 연락하면 대부분의 부품은 구할구있는것 같다. 영업시간은 9시30분부터 5시30분 까지라고한다. 다만 공휴일과 주말은 영업하지않는듯... 위치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하이파크3로 18-6이라고 한다. [가보니 이상한곳으로 안내가 되어 연락해보니 찾기가 어렵다고한다. 쉽게찾는방법은 CU덕이 삼성점을 검색한후 옆에있는 골목 가장 안쪽으로 들어가면 있다고 한다. 주차는 편한편] 지방에서는 수리를 할 방법이 없나 싶어 문의하니 정식AS센터는 위의 한곳만 있다고한다. 그나마 희소식은 바이클로 반포점과 송파점이 있다고 하는데 이 곳에 맡기면 간단한정비는 직접 처리해주고 필요하다면 AS센터로 보내고 받아주기도 하는것 같다. 그 외에는 화물택배 혹은 직접 방문하여야하며 수리는 시간이 좀걸리는편이다. 타이어와 튜브같은경우 일반매장에서도 교체할수있을 거라 말해주던데 고생하고싶지않다면 AS센터 혹은 반포,송파점을 방문하자... 공임의 경우 보통 기본3만원을 받는것으로 보인다. 배터리를 AS해주지는 않는다고 하던데 연락해보니 수리점을 안내해주고 혹은 단순 방전이라면 3만원 공임을 받은후 소생해주는듯 하다 [다만 소생확률이 100프로는 아닌듯하다...]

2.2.3. QiCYCLE F2

파일:QiCYCLE_EF2.png

EC1과 EF1 모두 두번째 모델이 나오면서, 모델명 앞의 E를 떼게 되었다. 원래 치사이클은 일반 자전거와 전기 자전거를 모두 생산했는데, 일반 자전거를 더 이상 생산하지 않게 되면서 전기 자전거를 의미하는 E를 떼게 된 것이다.

전체적으로 EF1의 개선 버전이다. 포크 형상 변경, 계기판 UI 변경, 배터리에 5V 출력이 추가되었다. 스펙상으로는 배터리 용량이 6Ah 이나, 5.8Ah 배터리의 최대용량일 가능성이 크다. 실질적인 용량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은 셈.

또한 프레임에 여러 편의성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 리어 랙과 전면 바구니의 형상이 변경되었으며 더 튼튼해졌다.

계기판은 블루투스 5.0 을 지원하며, UI만 변경되었고 형상은 그대로이다.

2.3. 후륜구동 전기 자전거

2.3.1. QICYCLE C2

파일:QiCYCLE_EC2.png

QiCycle에서 출시한 20인치 전기자전거. 배터리 용량이 상승하고 모터가 후륜으로 이동하였으며, 스피드 센서인 일반 모델과 토크 센서인 프로 모델로 이원화되었다. 또한 배터리가 변경되었는데, 셀당 2900mAh 대기업 제품이었던 셀이 2500mAh 제품으로 변경되었다. 2500mAh 용량은 대기업에서는 더 이상 생산되지 않으므로 중국 내 비주류 기업의 제품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크다.

계기판의 나인봇이 생산하는 미지아 전동킥보드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바뀌었으며, 시마노 넥서스 3단 내장기어 대신 투어니 8단 외장기어가 장착되었다. 이전작인 EF1에서 낮은 브레이크 성능으로 불만이 잦아지자 전 후륜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하였다.

2.3.2. QiCYCLE T2

파일:QiCYCLE T2.webp

치사이클의 최고 하이엔드 모델이다. 프레임이 일반 생활 자전거 형상으로 변경되었으며, 26인치 휠. 전작의 2배 이상에 달하는 511Wh 배터리를 장비한 모델이다.

충전은 무려 USB-PD를 이용한다. 세계 최초의 USB-PD 충전 전기 자전거이며, 배터리의 USB 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는 탈착식. 도난우려가 있는 탈착식이지만 시중의 공유킥보드처럼 앱으로 배터리 잠금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가격은 미국 기준 2199 달러.

2.4. 미투 시리즈

파일:MiTU-3.webp

흔한 삼륜 킥보드다. Xiaomi 모빌리티들이 그렇듯이 QiCycle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다.

2.5. 주변기기


* 샤오미 전동 펌프


[1] 34V에서 0% 표시[2] 34V에서 0V 표시[3] 이 외에도 알리에서 파는 thumb throttle 이라는 레버를 붙여 쓰로틀 자전거로 만들 수 있다. 태생이 pas 자전거이기때문에 완전히 쓰로틀처럼 움직이지는 않는다.[4] 나인봇 기준으로, ATMEGA328P IC 가 장착된 BMS에 커스텀 펌웨어를 씌우면 BMS 교체가 가능하다.[5] 바이클로든 알리든 배터리 구매시 주의해야될 점은, 배터리는 소모품이라 생산 후 사용하지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하락한다. 현재 중국 본토에서 물량이 풀려있는 배터리는 대부분 22년 마지막주차(38주) 생산분(datecode 2238)으로 추정되고 이걸 2023년 제품이라고 판매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