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게임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하프라이프 시리즈 | |||
| | | |||
하프라이프 | 하프라이프 2 | 하프라이프: 알릭스 | }}} | ||
팀 포트리스 시리즈 | |||||
| | ||||
팀 포트리스 클래식 | 팀 포트리스 2 |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
| | ||||
카운터 스트라이크 | 카운터 스트라이크 (삭제장면) | ||||
| | ||||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
| |||||
카운터 스트라이크 2 | |||||
데이 오브 디피트 시리즈 | |||||
| | ||||
데이 오브 디피트 |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 | ||||
포탈 시리즈 | |||||
| | ||||
PORTAL | PORTAL 2 | ||||
| | ||||
더 랩 | aperture Desk JOB | ||||
레프트 4 데드 시리즈 | |||||
| | ||||
레프트 4 데드 | 레프트 4 데드 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도타 IP | ||||
| | | |||
도타 2 | 아티팩트 | 도타 언더로드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타 게임 | ||||
| | | |||
리코쳇 | 에일리언 스웜 | Deadlock | }}} | ||
VALVE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 | |
PORTAL | PORTAL 2 | |
| ||
PORTAL: COMPANION COLLECTION | ||
세계관(연대표 · 애퍼처 사이언스 · 블랙 메사) · 물품(큐브 · 케이크 · 보리알리스 호 · 포털건) 등장 인물(첼 · GLaDOS · 휘틀리 · 더그 랫맨 · 코어 · 터릿 · 케이브 존슨 · 캐롤린) · OST(Still Alive · Want You Gone · You Wouldn't Know* · Cara Mia Addio!) | ||
* 엄밀히는 「레고 디멘션즈」의 OST이나, 작품 중 포탈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주 목적인 파트를 기반으로 제작된 곡이며, 원 시리즈 OST와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게재함. |
1. 개요
Portal(게임) 의 스피드런. 2019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스피드런이 시도 된 게임이 바로 포털이다.[1]만약 스피드런을 배우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해보자. 이 문서는 포탈 스피드런 커뮤니티가 공식적으로 만든 문서이다.
여기엔 거의 모든 카테고리에 대한 튜토리얼이 있으니 궁금하면 한번 열어보자. 재밌으니 관심 있다면 한 번쯤 해보는 걸 추천한다. 스피드런.com
현재 각 종목별 세계 1위는 다음과 같다.
아웃 오브 바운드:
Wythro (5:49.695) [2]
인바운드:
Sarahspeedurn (8:16.395) [3]
인바운드 NoSLA:
Floorb (11:14.850) [4]
글리치리스:
SiDiouS (14:23.430) [5]
Wythro (5:49.695) [2]
인바운드:
Sarahspeedurn (8:16.395) [3]
인바운드 NoSLA:
Floorb (11:14.850) [4]
글리치리스:
SiDiouS (14:23.430) [5]
2. 목표
스크립트, 매크로 또는 치트[6] 없이 게임을 최대한 빠르게 클리어하는 것이 목표다.2.1. 규칙
- 아웃 오브 바운드 (Out of Bounds)
스크립트나 치트를 안 쓰고 오직 게임 내의 버그 (글리치) 만을 이용해서 게임을 최대한 빠르게 클리어해야 한다.
- 인바운드 (Inbounds)
스크립트나 치트, 맵 밖으로 물체/플레이어/포탈 을 내보내지 않는 한해서 게임 내의 글리치를 이용해서 게임을 최대한 빠르게 클리어해야 한다.아웃 오브 바운드보다 덜 어지럽다
- 인바운드 NoSLA (Inbounds NoSLA) [7]
인바운드랑 같지만, 추가로 저장 / 불러오기를 이용한 글리치를 금지한다. 세이브 로딩을 왜 금지하냐면, 특정 구간에서 세이브 로드를 반복하면 벽이 통과가 되거나 특정 구간에 끼어서 매우 빠른 속도로 튕겨 나갈 수 있는 버그가 있는데 이를 금지하는 것.
- 글리치리스 (Glitchless)
규칙이 가장 까다롭다. 이름 그대로 글리치를 한 번도 사용해선 안 되며, 움직일 때 ABH나 AFH를 사용하지 못해 많이 느리다. 정말로 순수하게 게임을 빨리 클리어 하는 것에 가깝다.
2.2. 게임 빌드
Build 3420
Build 5135 (Source Unpack)
포탈 스피드런은 구형 빌드의 소스엔진을 사용한다. 스팀 파이프 업데이트 이후에 막힌 버그[8]를 사용하기 위해서다.[9]
주로 사용하는 빌드는 Build 5135[10] 와 Build 3420 이 있다.
두 빌드의 차이점은 Build 5135엔 맵 마다 라디오가 다 있고, 맵 밖 공간을[11]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지만, Build 3420은 맵 마다 라디오가 없는 대신 맵 밖 공간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공식 다운로드 사이트 [12]
3. 글리치
포탈 내 결함을 말한다. 스피드러너들은 이런 글리치를 계속 찾아내고, 연습해서 기록을 많이 단축한다.이때까지 나왔던 혁명적인 글리치는
- 엣지 글리치 (Edge Glitch)
엣지 글리치는 포탈 가장자리 부분에 끼거나 서면, 저장 / 불러오기 없이 플레이어의 실제 카메라가 다른 포탈의 위치로 이동하는 글리치다. 이걸로 원래 각도에선 쏠 수 없던 위치에도 포탈을 쏠 수 있다.
- 세이브 글리치 (Save Glitch)
엣지 글리치 상태에서 저장 / 불러오기 하였을 때, 카메라가 떨어진 상태로 움직이는 걸 이용한 글리치다. 이걸 사용하면 벽을 뚫거나 바닥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
- 볼트 스킵 (Vault Skip)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글라도스가 53초 동안 떠드는 걸 라디오를 이용해 4초 만에 건너뛸 수 있다.
- 아이템 세이브 글리치 (Item Save Glitch)
이걸 사용하면 물리 엔진이 고장 나, 모든 물체가 바닥에 몇 번 튀기다 맵 밖으로 떨어진다.[13]최근엔 이 글리치를 이용해서 인바운드에서 시간을 단축하는 전략연구 중이다.[14]
- Ahops
ABH / AFH / ASH 를 말한다. 각각
Accelerated Backwards Hopping
Accelerated Fowards Hopping
Accelerated Sideways Hopping
이다. ABH는 흔히 말하는 백버니 / 백버니합의 정식 명칭이다.
4. 카테고리
4.1. 주 카테고리 (Main Category)
- 아웃 오브 바운드 (Out of Bounds)
제일 빠른 카테고리. 많은 글리치가 사용되며, 진입장벽이 어느 정도 있는 카테고리다. Any% 라고도 한다.
- 인바운드 (Inbounds)
아웃 오브 바운드 보단 느리지만, 맵 안에서만 진행하기 때문에, 화려한 글리치가 많이 사용된다. 진입장벽이 높은 카테고리 중 하나다.
- 인바운드 NoSLA (Inbounds NoSLA)
인바운드랑 같이 맵 안에서만 진행해야 한다. 저장 / 불러오기를 이용한 글리치를 사용할 수 없어서 조금 지루할 수도 있다. 진입장벽이 다른 카테고리에 비해 낮은 편이다.
- 글리치리스 (Glitchless)
가장 느리다. 이름 그대로 글리치를 사용 안하는 카테고리기 때문에, 많은 기술이 비교적 필요하지 않다. 진입장벽이 제일 낮다. [15]
여담으로 한국에서 가장 빠른 주 카테고리별 기록은
아웃 오브 바운드 - kallguksu [16]
인바운드 - kallguksu [17]
인바운드 NoSLA - kallguksu [18]
글리치리스 - Hellstone [19] 이다.
인바운드 - kallguksu [17]
인바운드 NoSLA - kallguksu [18]
글리치리스 - Hellstone [19] 이다.
4.2. 기행 플레이
아웃 오브 바운드나 인바운드 외에도, 정식 스테이지 및 고급 실험실에서 벌어지는 기행 플레이들도 존재한다.단 한개의 포탈도 쓰지 않고 포탈을 깬 사람도 있다. 해설 영상
고급 실험실 16번 큐브 하나도 안 쓰고 돌파하기.[20] 심지어 해당 스테이지를 30초도 안 걸리고 돌파하는 사람도 있다.
고급 실험실 18번 포털 한 번도 안 쓰고 돌파하기.
[1] 한국에서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는 유일한 스피드러너는 kallguksu 이다. 종목별 국내 최고기록을 보면 모두 해당 유저의 이름이 올라가 있다. 현재는 활동이 조금 뜸한 것 같지만, 여전히 심심하면 스피드런을 뛰는 모양...[2] 스피드런.com[3] 스피드런.com[4] 스피드런.com[5] 스피드런.com[6] sv_cheats 1[7] No Save Load Abuse 의 약자다.[8] 엣지 글리치 등[9] 2013년 밸브가 스팀 파이프 대규모 업데이트를 하면서 많은 버그 / 글리치를 고쳐버렸다.[10] 소스 언팩 (Source Unpack)[11] 아웃 오브 바운드 스페이스 (OoB Space)[12] 스팀에서 정품 포탈을 구매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13] 게임을 재시작 하지 않는 한 물리 엔진은 계속 고장 나 있는다.[14] 규칙 개정으로 막힘[15] 포탈에선 "글리치리스를 플레이하고 싶게 만드는 당신의 뇌가 글리치 입니다." 라는 농담도 있다. 그만큼 지루하다는 거다.[16] 6:34.950 (2024.3.28 기준 세계 16위), 영상, 스피드런.com[17] 10:54.180 (2024.3.28 기준 세계 59위), 스피드런.com[18] 15:35.700 (2023.12.11 기준 세계 194위)[19] 17:41.160 (2023.12.11 기준 세계 138위), 영상, 스피드런.com[20] 원래는 큐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정석 플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