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1:18:06

Oxygen Not Included/자원/음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xygen Not Included/자원
파일:산소미포함/로고.png
Oxygen Not Included
관련 문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1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일:Klei.png
본문
파일:옥시즌 듀플리칸트.png
복제체
파일:옥시즌 지형.png
지형
파일:옥시즌 몬스터.png
크리터
파일:옥시즌 농사.png
식물
파일:옥시즌 자원.png
자원
파일:옥시즌 시설물.png
건조물
파일:옥시즌 연구.png
연구
파일:Frost_Bun.png
식품
파일:옥시즌 패치 노트.png
패치 노트
파일:옥시즌 패치 노트.png
스토리
피해 목록
DLC
업적
Spaced Out! DLC 전용 콘텐츠를 나타냅니다. }}}}}}}}}


파일:Oxygen_Copper_Ore.png
금속 광석
파일:Oxygen_Copper.png
제련된 금속
파일:Oxygen_Sandstone.png
원료 광물
파일:Oxygen_Sand.png
여과 매질
파일:Oxygen_Water.png
액체
파일:Oxygen_Snow.png
액화 가능
파일:Oxygen_Oxygen.png
숨쉴 수 있는 기체
파일:Oxygen_Carbon_Dioxide.png
숨쉴 수 없는 기체
파일:Oxygen_Coal.png
소비성 광물
파일:Oxygen_Dirt.png
경작 가능한 흙
파일:Nutrient_Bar.png
음식
파일:Mealwood_seed.png
씨앗
파일:Oxygen_Algae.png
유기물
파일:Oxygen_Fertilizer.png
농업
파일:Reed Fiber.png
산업 재료
파일:Oxygen_Glass.png
제조된 재료
파일:Isoresin.png
희소 자원
파일:Oxygen_Abyssalite.png
기타
파일:Oxygen_Mug.webp
가공물
파일:Oxygen_Neutronium.png
특별

1. 개요2. 음식
2.1. 불쾌함(-1)
2.1.1. 끼니이(Meal Lice)$2.1.2. 영양 바(Nutrient Bar)2.1.3. 걸죽바(Mush Bar)2.1.4. 진창뿌리(Muckroot)$2.1.5. 생알(Raw Egg)$2.1.6. 고기(Meat)$2.1.7. 끼니 절임(Pickled Meal)2.1.8. 늪근대 속(Swamp Chard Heart)$2.1.9. 헥사렌트 열매(Hexalent Fruit)$
2.2. 끔찍함(0)
2.2.1. 상추(Lettuce)$2.2.2. 호리호리한 뱅이과실(Spindly Grubfruit)$2.2.3. 걸죽 튀김(Mush Fry)2.2.4. 센털베리(Bristle Berry)$2.2.5. 이빵(Liceloaf)2.2.6. 수렁 젤리(Bog Jelly)$2.2.7. 버섯(Mushroom)$
2.3. 나쁨(+1)
2.3.1. 벵이과실(Grubfruit)$2.3.2. 로스트 뱅이과실 견과(Roast Grubfruit Nut)2.3.3. 식물 고기(Plant Meat)$2.3.4. 센털베리구이(Gristle Berry)2.3.5. 늪의 환희(Swampy Delights)2.3.6. 버섯 튀김(Fried Mushroom)
2.4. 식재료
2.4.1. 진눈깨비밀(Sleet Wheat Grain)$X2.4.2. 오물오물콩(Nosh Bean)$X2.4.3. 꼬집후추콩(Pincha Peppernut)$X
2.5. 표준(+2)
2.5.1. 생 조개류(Raw Shellfish)$2.5.2. 드럽치 토막(Pacu Fillet)$2.5.3. 서리빵(Frost Bun)2.5.4. 오믈렛(Omelette)2.5.5. 두부(Tofu)
2.6. 좋음(+3)
2.6.1. 조리된 해산물(Cooked Seafood)2.6.2. 벵이과실 프리저브(Grubfruit Preserve)2.6.3. 수플레 팬케이크(Soufflé Pancakes)2.6.4. 베리 죽(Berry Sludge)2.6.5. 바베큐(Barbeque)
2.7. 대단함(+4)
2.7.1. 소를 넣은 베리(Stuffed Berry)2.7.2. 버섯 쌈(Mushroom Wrap)2.7.3. 커리콩(Curried Beans)2.7.4. 서프 앤 터프(Surf'n'Turf)
2.8. 뛰어남(+5)
2.8.1. 매운 두부(Spicy Tofu)2.8.2. 후추빵(Pepper Bread)2.8.3. 믹스 베리 파이(Mix Berry Pie)2.8.4. 버섯 키시(Mushroom Quiche)
2.9. 신성함(+6)
2.9.1. 서리버거(Frost Burger)

1. 개요

본작의 음식에 대해서 설명하는 문서이다. 음식은 산소, , 온도와 함께 본작의 생존에 있어 가장 결정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4개 요소 중 하나이며, 복제체들의 사기에도 큰 영향을 주므로 매우 중요한 컨텐츠 중 하나이다.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자연에서 바로 구할 수 있는 음식은 원자재로서 각 문단에서 $로 표시한다. 하지만 조리 불가능한 음식이 아닌 이상, 대개는 조리해서 더 나은 요리로 만들어 먹는 것이 추천된다.

조리하지 않고 그 자체를 바로 섭취할 수 없는 것은 X로 표시되어 있으며 DLC에서만 존재하는 음식은 가 표시되어 있다.

우상단에 위치한 소모품(기본 단축키 F) 창에서 복제체별로 특정 식품의 섭취 유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설정창의 오른쪽에 있는 식품이 소모 우선순위가 높다.
본 문서는 순서는 소비 우선 역순위로 작성하였다.

2. 음식

2.1. 불쾌함(-1)

가장 낮은 품질의 음식들에 부여되는 등급이다. 이 음식들을 먹을 경우 복제체들의 사기가 1 하락한다.

하지만 초반에는 큰 회관, 변소 등의 방 효과만으로 사기 하락을 쉽게 상쇄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상위 등급 음식들로 급하게 올릴 필요는 없다.

2.1.1. 끼니이(Meal Lic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끼니이(Meal Lice)
파일:Meal_Lice.png
생산 방법끼니나무 수확
칼로리6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스스로는 거의 절대로 꿈틀대지 않는 무미한
낟알.

대부분의 콜로니에서 첫 번째 주식의 포지션을 차지할 식량이다.

참 어처구니 없게도 식용으로 개량된 다. 복제체 입장에서 맛은 영양바랑 동급에, 생긴게 너무 끔찍해 품질이 -1이다.
이빵으로 가공하면 보기에 덜 역겨워지는지 품질이 한 단계 개선되고, 어쨰서인지 칼로리가 올라가는 참 뭣한 물건이다.
끼니 절임으로 가공해서 유통기한과 무게 당 열량을 높여 품질 개선을 포기하는 대신 보관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빵을 만들어도 끼니 절임을 만들어도 대동소이하므로 그냥 생으로 먹어도 상관 없지만, 이빵을 만드는 편이 농사로 인한 노동력 병목을 덜 일으키므로 취향 따라서는 근소하게 더 우세일 수도 있다. 그래봐야 끼니이는 끼니이일뿐

어지간히 기지의 온도가 난장판이 된 상황이 아니라면 초반 기지의 온도 범위를 가지고 있는 끼니 나무를 수확하면 얻을 수 있는 식량이라 걸죽바 다음으로 수급하기 쉽다.
다만, 끼니나무는 수확 주기가 짧고 흙을 배달해 줘야 해서 복제체의 노동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초반에 땅 파는데 방해가 되므로, 효율을 생각하는 숙련자는 그냥 걸죽바 만들어서 튀겨 먹이거나, 그냥 땅을 더 많이 파서 진창뿌리를 캐서 먹이기도 한다.

초보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무리하게 끼니나무를 졸업하고 상위 식품으로 통째로 넘어가려고 하는 것이다. 흙은 초반 채굴량이 워낙 압도적으로 많은 수준이라 자원 고갈 걱정은 중반까진 거의 전무하고, 초반에는 복제체 사기에 그렇게까지 집착하지 않아도 된다.

2.1.2. 영양 바(Nutrient Bar)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영양 바(Nutrient Bar)
파일:Nutrient_Bar.png
생산 방법초도 보급, 자판기
프린팅 포드
칼로리800㎉/㎏
품질-1
부패 시간
식용 가능O
얇은 웨이퍼 층 사이에 넣은 영양가 많은
영양 반죽.
새로운 맵을 시작할 때 일정량(16000㎉) 주어지는 기초 식품. 생산이 불가능하고 시작시 주어지는 것 외에는 유적에 있는 자판기나 프린팅 포드에서만 얻을 수 있다. 본격적인 식량 양산 체제를 확립하기 전까지 시간벌이 양식으로써 소모된다.

부패 시간은 무제한이지만 괜찮게 생긴 외형과는 다르게 퀄리티가 가장 낮은 -1이므로 식량에 여유가 있다면 주둥가리에게 줘서 석탄이나 만들자.

2.1.3. 걸죽바(Mush Bar)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걸죽바(Mush Bar)
파일:Mush_Bar.png
생산 방법미생물 걸죽기
재료흙 75㎏
물 75㎏
칼로리8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먹을 수 있는 썩은 진창. 걸죽바를 먹는 것이 굶는
것 보다는 낫지만, 내키는 식품은
아닙니다.
진흙을 물로 뭉쳐서 만든 음식. 대량생산용 주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비상식량의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다.

초반 아무 저수지에 피처 펌프를 꽂으면 손쉽게 수급할 수 있는 물, 그리고 생각없이 굴착하다보면 썩어넘치게 얻어지는 흙만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조리 식품 중 제작 난이도는 가장 압도적으로 낮다.

하지만 장기적인 주식으로 삼기에는 여러 문제점들이 따르는데, 먼저 무조건 식중독균이 포함된 채로 만들어져서 복제체가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생기며 냉장고나 식량창고에 넣을 경우 다른 식품들까지 오염시키므로 전용 식품 보관함이나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큰 단점은 물을 소모한다는 것으로, 아직 증기 간헐천이나 슬러시 배출구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초반에, 특히 귀중한 차가운 물을 마구잡이로 소모해버리기 때문에, 정작 급할 때 물이 고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75㎏이 별 것 아닌 것 같아 보여도, 먹여야 하는 복제체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한 주기 한 주기 계속 지나다보면 어느샌가 저수지의 수면이 눈에 띄게 낮아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물을 지속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시점에서는 이미 더 나은 음식을 만들어 먹고 있을 것이므로, 걸죽바는 그야말로 식품 양산 타이밍을 놓쳐 굶어 죽기 일보 직전에서야 급하게 만들어 먹을 마지막 선택지인 것이다.

2.1.4. 진창뿌리(Muckroo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진창뿌리(Muckroot)
파일:Buried_Muckroot_seed.png
생산 방법자연 수확, 프린팅 포드
칼로리800㎉/㎏
품질-1
부패 시간
식용 가능O
기분 나쁘게 뒷맛이 안 좋은 씨 없는 열매.
다시 심을 수 없습니다.
묻혀 있는 물체를 파면 진창 뿌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암 지역에 자연상태로 심겨져 있는 진창뿌리를 수확하거나, 물건이 묻힌 타일을 파면 일정확률로 나온다.

사실상 극초반의 식량 수급을 책임지는 음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열심히 채굴하고 기지를 확장하면 진창뿌리가 꽤 많이 나온다. 끼니나무를 재배하기 시작하고부터는 진창뿌리를 잘 안 먹으니 몇만 ㎉ 어치의 양이 수북히 쌓일 정도.

덕분에 연구 스테이션을 짓고 식량 기술을 연구할 때까지 어느 정도 여유가 생겨, 너무 급하게 끼니나무를 기를 필요는 없다.

획득 방식만 빼면 영양바와 동일한 스펙의 최하급 음식이니 식량 양산 후엔 적당히 처리해주자.

2.1.5. 생알(Raw Egg)$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생알(Raw Egg)
파일:Raw_Egg.png
생산 방법알 크래커, 저장소
칼로리1,6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식품 조리에 사용하기 위해 깬 생알.
절대로 부화하지 않을 것입니다.
크리터의 알이 깨지면 알 껍질과 함께 생성된다. 알 크래커에서 직접 부술 수 있고, 저장소에 알을 보관하면 생존도가 내려가는 것을 이용해 자동 알 깨기 시설을 만들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알이 깨지면 무게의 절반만큼의 생알이 나오고 나머지 절반은 알 껍데기가 된다.

일반적으로 알을 깨는 것 보다는 부화시킨 후 고기를 얻는게 이득이며 일부 고기를 주지 않는 크리터나 알 무게가 무거운 드럽치는 알을 깨는 것이 칼로리면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
아니면 환경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일부 크리터의 변종의 알을 바로바로 부수는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특정 요리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얻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드럽치를 먹이를 먹여 가면서 키우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다.

이전에는 생으로 먹을 수 없었지만 Song of Moo 업데이트로 생으로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하술할 고기처럼 구워 먹는게 훨씬 효율이 좋으니 사전에 소모품 설정에서 복제체들이 소모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2.1.6. 고기(Mea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고기(Meat)
파일:Oxygen_Meat.png
생산 방법크리터 사망시
칼로리16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아주 죽은 크리터의 조리하지 않은 고기. 냠!
빛벌레류, 음눈, 드럽치류, 쑤심딱지류를 제외한 모든 크리터가 어떤 방식으로든 죽으면 드랍된다. 초반에도 소량 구할 수 있지만 대량수급은 대규모의 목장을 차린 다음에야 가능하다.

그냥 구워 먹기만 해도 품질 등급이 무려 +3인 바베큐가 되는 고급 식재료이므로 생으로 먹는 것은 최악의 낭비라고 할 수 있다(...). 사전에 소모품 설정에서 복제체들이 고기는 소모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2.1.7. 끼니 절임(Pickled Meal)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끼니 절임(Pickled Meal)
파일:Pickled_Meal.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끼니이 3㎏
칼로리1800㎉/㎏
품질-1
부패 시간32주기
식용 가능O
식초에 절인 끼니이. 익숙해져야 알 수 있는
희귀한 맛입니다.
조리해도 칼로리나 품질이 전혀 늘어나지 않고 오로지 부패 시간만 증가하므로 노동력 낭비다.

하지만, 끼니이로 중간에 다른 작물을 키우지 않고 밀 농사로 바로 넘어갈 생각이라면 요긴한데, 농업 특성상 수확 주기 문제로 반드시 여분을 마련해야하는데 끼니이의 저장 효율이 낮기 때문에 다량으로 생산 했다가는 썩어버리기 때문이다.
품질도 칼로리도 개선되지는 않지만 3배 압축된 끼니이 노릇을 하므로 보관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끼니이로 버틸때 빠르게 가공된다는 점을 살려서 이빵의 칼로리 증가를 포기하는 선택지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음식을 조리하는데는 50초가 걸리지만 끼니 절임은 30초로 짧다.

어지간히 끼니이로 버틸 생각이 아니라면 굳이 손 댈 필요는 없는 물건이지만 조리사 스탯작 용도나 Spaced out 클러스터의 5소위성군에서 텔레포트까지 비활성화 하는 고난도 플레이시 초반 로켓용 음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1.8. 늪근대 속(Swamp Chard Hear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늪근대 속(Swamp Chard Heart)
파일:Oxygen_Swamp_Chard_Heart.png
생산 방법자연 수확
칼로리2,400㎉/㎏
품질-1
부패 시간
식용 가능O
질퍽하고 육즙이 많고 끔찍한 냄새가 나는
씨 없는 식물입니다.
다시 심을 수 없습니다.
DLC의 늪지대 지형에서 얻을 수 있는 진창뿌리라고 보면 된다. 사용법도 동일하다.

오염된 산소 때문에 음식이 빨리 썩는 늪지 계열 행성 스타트를 위한 난이도 보정 특전으로써 진창뿌리 대비 3배나 되는 칼로리를 가져 초반 식량 걱정을 줄여준다.

2.1.9. 헥사렌트 열매(Hexalent Frui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헥사렌트 열매(Hexalent Fruit)
파일:Hexalent_Fruit.png
생산 방법자연 수확
칼로리6400㎉/㎏
품질-1
부패 시간
식용 가능O
고무 같이 씹히는 씨 없는 열매.
다시 심을 수 없습니다.
헥사렌트 열매는 진창뿌리 열매보다 칼로리가 훨씬 많습니다.
숲 지형에서 진창뿌리를 대신해서 나오는 음식.

초반 난이도가 높은 숲 계통 행성을 위해서인지 한 식물에서 수확할 수 있는 칼로리가 무려 6400으로 진창뿌리의 8배이며 어지간한 후반 호화 음식보다도 무게당 칼로리가 높다.

2.2. 끔찍함(0)

두 번째로 낮은 품질 등급이며, 먹어도 사기 변화가 없다. 하지만 1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사실상 거의 동일한 등급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2.2.1. 상추(Lettuc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상추(Lettuce)
파일:Lettuce.png
생산 방법물이파리 수확
칼로리400㎉/㎏
품질0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물이파리의 식물의 바삭 바삭하고 약간 짠 잎.
수중에서 자라는 식물인 물이파리(Waterweed)를 재배해 얻을 수 있다. 상추는 요리재료를 위해서 생산하는 것이고, 무려 표백석을 소모하기 때문에 그냥 먹는 것은 효율이 매우 좋지 않다.

고급 요리의 재료로 재배한다고 생각하고 생식으로 먹는 것은 삼가자. 버섯 쌈 생산용으로는 1명당 0.85포기만 재배하면 되지만 그냥 상추에 의존하려면 2.5포기가 필요하다.

2.2.2. 호리호리한 뱅이과실(Spindly Grubfrui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호리호리한 뱅이과실(Spindly Grubfruit)
파일:Oxygen_Spindly_Grubfruit.png
생산 방법뱅이과실 수확
칼로리800㎉/㎏
품질0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제대로 발육하지 못한 벵이과실입니다.
그래도 식용이 가능하고 맛이 조금 있습니다.
불모지 지역 에서 나오는 호리호리한 벵이과실을 수확하면 얻을 수 있다.
전기 그릴에서 로스트 벵이과실 견과를 만들어 +1 등급의 음식으로 요리할 수 있지만, 그 행성에 단벌레나 벵이벵이가 멸종해 있지 않는 이상 그냥 단벌레나 벵이벵이를 농장에 풀어둬서 다듬게 만들어 수확 칼로리도 더 많고 더 높은 등급의 음식을 만들수 있는 벵이과실을 수확하는게 더 낫다.

2.2.3. 걸죽 튀김(Mush Fry)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걸죽 튀김(Mush Fry)
파일:Mush_Fry.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걸죽바 1㎏
칼로리1050㎉/㎏
품질0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바싹 튀긴 고형 진창. 밖은 바삭하지만 안은
거의 전혀 익지 않았습니다.
걸죽바를 전기 그릴로 튀긴 것. 식중독균이 사라지며 음식 등급도 한 단계 올라간다. 열량도 상당히 증가한다.

당연히 걸죽바를 먹는 것 보다는 훨씬 낫지만, 여전히 칼로리 대비 물을 많이 소모하는 편이다. 그리고 미생물 걸죽기-전기 그릴로 튀기는 2중 조리가 필요하므로 인력 낭비도 심해 주식으로 쓰라고 있는 음식은 절대 아니다.

그래도 식중독에 걸리는 것보다는 나으니 먹을 것이 없는데 전기 그릴은 있다면 걸죽튀김을 만들어 먹자.

2.2.4. 센털베리(Bristle Berry)$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센털베리(Bristle Berry)
파일:Bristle_Berry.png
생산 방법센털꽃 수확, 프린팅 포드
칼로리1600㎉/㎏
품질0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따가운 가시가 덮인 달콤하고 대체로 맛있는
과일.

최종 단계 음식인 진눈깨비밀/꼬집후추콩 등과 조합이 용이하고, 귀찮은 는지렁이를 건드릴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두 번째 주식으로 가장 애용되는 식품.
생으로 먹으면 여러모로 비효율적이므로 구워서 센털베리구이를 만들어 먹는다.

끼니나무보다 노동력을 덜 들어가지만 재배 난이도는 꽤 높아진다. 일단, 수확 주기가 길어진 것은 결과적으로 장점이긴 하지만 초반에 생각 없이 넘어갔다가는 보릿고개가 오는 경우가 생기므로 초심자에게는 조금 위험하다.
그리고, 어스름 갓과 달리 이산화탄소와 는지렁이라는 초보자의 통곡의 벽은 없지만 깨끗한 물을 소모한다.
어느 스타팅이든, 초반에 근처에서 주어지는 청수는 극소량 뿐이기 때문에, 굉장히 거슬리는 단점이다. 오염된 물을 물체로 걸러서 버티면 그만이지만, 처음 입문하는 초심자에겐 꽤 생소한 개념일 수 있다.

외형 상 모티브는 아무래도 아티초크인 모양이다.

2.2.5. 이빵(Liceloaf)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이빵(Liceloaf)
파일:Liceloaf.png
생산 방법미생물 걸죽기
재료끼니이 2㎏
물 50㎏
칼로리1700㎉/㎏
품질0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속이 꽉 차고 움직이지 않는 덩어리로 압축된 끼니이.

이름은 빵이지만 그냥 끼니이를 뭉쳐서 만든 음식. 원문에서는 loaf로 식빵도 의미하는 단어지만, 본질적으로는 식빵 모양을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빵 모양의 무언가를 빵으로 치고 먹는 물건이란 언어유희다.

끼니이가 움직이지 못하게 압축되었단 이유품질이 한 단계 올라갔다. (...) 원리는 미스터리지만, 칼로리도 500 증가한다. 식사시 끼니이를 안 움직이게 잡는 육체 노동이 필요 없어져서인가

물 50㎏를 소모해서 품질을 한 단계 올리고 500칼로리를 선택지라고 할 수 있다. 물 소모량 자체는 같은 등급인 걸죽튀김과 비교했을 때 칼로리 기준 2.5배 정도 효율적이다.
걸죽기에서 조리해야 하기 때문에 물과 전력도 써야하므로 여러모로 평가가 애매한 식품이며, 초반에 사기가 필요한 것도 아닌데다, 끽해야 사기 2 차이라서 그리 크지도 않다.
그래서 이빵을 만들지 않고 끼니나무를 더 심는 방법도 있지만 끼니나무 자체가 노동력 소모가 심한 작물이라 조삼모사이니 취향껏 고르면 된다.

끼니이 대비 실질적으로 더 나은 점은 무게 대비 열량이 거의 3배 수준으로 저장 효율이 올라간다는 장점이 있으며 요리만 하는 복제체를 둔다면 노동력 소모량 차이는 이빵이 아주 살짝 나을 수도 있다.

진짜 문제는 걸죽 튀김이라는 상위호환이 있다는 것. 끼니이에 비해 노동력과 물을 더 많이 소모하지만, 대신 농사 때문에 이동하는 복제체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숙련자들은 끼니이를 아예 거르고 걸죽바나 걸죽튀김으로 때우기도 한다.

2.2.6. 수렁 젤리(Bog Jelly)$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수렁 젤리(Bog Jelly)
파일:Bog_Jelly.png
생산 방법수렁박 수확
칼로리1,840㎉/㎏
품질0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쫄깃한 젤라틴 입방체가 들어있는 외부 막이
있는 과일입니다.
늪지대에서 센털베리/버섯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식품으로 역시 생으로 먹기 보다는 조리해서 먹는것도 동일하다.

2.2.7. 버섯(Mushroom)$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버섯(Mushroom)
파일:Oxygen_Mushroom.png
생산 방법어스름 갓 수확
칼로리2400㎉/㎏
품질0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어둠 속에서 자라는 풍미 없는 식용 버섯류.
센털베리와 함께 두 번째 주식으로 많이 선택되는 끼니이의 상위 식품. 보통 생으로 먹기 보다는 버섯튀김으로 조리해서 먹는다.

센털베리보다 더 넓은 온도 조건과 이산화탄소라는 손쉽게 만족할 수 있는 대기 조건, 쓸모 없는 는지렁이를 소모하는 점 때문에 숙련자들은 중반에는 버섯 농장을 선호하지만 초보자들은 세균이 가득한 는지렁이를 무서워하기 때문에 버섯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다만 상위 식품이 센털베리에 비해 애매하고 는지렁이의 수급 문제 때문에 버섯을 좋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후반에는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2.3. 나쁨(+1)

세 번째로 낮은 품질 등급으로, 섭취 시 사기가 1 증가한다. 사실 세 등급끼리의 사기 차이가 1밖에 나지 않아 품질 등급을 1 높게 인식하는 복제체를 제외하면 큰 의미는 없다.

하지만 중반 단계의 음식들이 대부분 이 등급에 위치하기에, 주식의 품질 등급이 불량함에 도달했다는 것이 콜로니 발전도의 한 척도가 되기도 한다.

2.3.1. 벵이과실(Grubfrui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벵이과실(Grubfruit)
파일:Oxygen_Grubfruit.png
생산 방법벵이과실 수확
칼로리250㎉/㎏
품질+1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꿀 같은 맛이 나는 통통하고 건강한 과실.
벵이벵이나 단벌레가 호리호리한 벵이과실에 상호작용하면 벵이과실로 바뀌는데, 그것을 수확하면 얻을 수 있다.

2.3.2. 로스트 뱅이과실 견과(Roast Grubfruit Nu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로스트 뱅이과실 견과(Roast Grubfruit Nut)
파일:Oxygen_Roast_Grubfruit_Nut.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호리호리한 뱅이과실 1㎏
칼로리12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천천히 로스트한 호리호리한 벵이과실.
연기 향과 아늑한 맛이 있습니다.
호리호리한 벵이과실을 요리해서 만든 음식인데...일반적으로는 볼일이 드물다.

2.3.3. 식물 고기(Plant Mea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식물 고기(Plant Meat)
파일:Plant_Meat.png
생산 방법새턴 크리터 트랩 수확
칼로리1,200㎉/㎏
품질+1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식물에서 나온 식물 같은 식물성 고기. 멋지네요!
새턴 크리터 트랩을 수확하면 얻을 수 있지만 조리도 불가능한데다가 수확 하는데도 30주기라는 오랜 시간이 걸리니 수소 생산용으로 쓰면서 나오는 식물고기는 덤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2.3.4. 센털베리구이(Gristle Berry)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센털베리구이(Gristle Berry)
파일:Gristle_Berry.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센털베리 1㎏
칼로리20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센털베리의 구운 눈.
열이 과일의 절묘한 맛을 이끌어냈지만 가시가 타서 아쉬움이 남습니다..[1]
센털베리를 조리해서 만든, 버섯 튀김과 함께 두 번째 주식의 위치를 차지한다.

끼니이를 먹었을 때에 비해 사기가 2 증가하여 무시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다. 상위 식품이 제한적인 버섯과 달리 센털베리로는 좀 더 다양한 상위 음식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초중반부 주식으로 잠시 거쳐가고 더 나은 음식으로 갈아타기 전 경유지 역할을 할 수 있다.

2.3.5. 늪의 환희(Swampy Delights)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늪의 환희(Swampy Delights)
파일:Oxygen_SwampyDelights.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수렁 젤리 1㎏
칼로리2,24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수렁 젤리에서 추출한 말린 젤라틴 입방체
입니다.
각 입방체는 놀랍도록 쫄깃한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섬세한 분말로 가볍게 덮여 있습니다.
수렁 젤리를 전기 그릴에서 요리해 만든 음식. 늪스타팅의 초중반 식량을 책임지는 음식이다. 원문의 delight는 환의라는 뜻도 있지만 젤리나 과자를 섞어만드는 디저트를 뜻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터키쉬 딜라이트라고도 불리는 로쿰이 있다.

다만,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원재료가 단맛이 별로 없는 재료이므로, 이 물건의 맛은 대략 맛 없는 염가 팥빙수 젤리 같은 맛인 모양이다. 호박당 같이 이쁘고 쫄깃하기만 할 뿐 단 것으로는 하자가 있는 물건이라, 꼴에 디저트라면서 품질은 꼴랑 +1이다.

물론 늪 지대가 좀 걸리적 거리고 플레이어의 미적 욕구를 파괴하는 것만 빼면 생존이 너무 쉬운 바이옴인 탓에 주어진 페널티라고 생각해야할 것이다.기왕이면 수크로스랑 섞어서 업글좀 하게 해주지

2.3.6. 버섯 튀김(Fried Mushroom)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버섯 튀김(Fried Mushroom)
파일:Fried_Mushroom.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프린팅 포드
재료버섯 1㎏
칼로리2800㎉/㎏
품질+1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어스름갓 자실테로 만든 튀김 요리.
흙내가 깔린 진하고 짠 맛이 납니다.
버섯을 조리해서 만든, 센털베리구이와 함께 두 번째 주식의 위치를 차지한다.

끼니이를 먹었을 때에 비해 사기가 2 증가하여 무시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버섯 재배를 위해 들인 공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 조금 아쉬운 부분.

2.4. 식재료

그 자체를 직접 먹을 수 없으며 조리를 통해 다른 식품으로 가공해서 먹어야 하는 식재료들을 정리한 문단.
또한 이 식재료들은 식물 분쇄기에서 코사리로 가공할 수 있다.

2.4.1. 진눈깨비밀(Sleet Wheat Grain)$X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진눈깨비밀 낟알(Sleet Wheat Grain)
파일:Oxygen_Sleet_Wheat_Grain.png
생산 방법진눈깨비밀 수확
성간 얼음 탐사
부패 시간16주기
식용 가능X
혀에 차가운 맛을 남기는 식용 낟알.
최종단계 음식용 식재료이자 주식용 식재료이다. 주식용 식재료인 이유는, 이 작물이 아주 생산 효율이 높은데다가 조리 선택지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냥 먹을 수 없으며, 반드시 요리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개당 400㎉로 끼니이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진눈깨비 밀을 양산하는 시점에서는 직접 지을 수 있는 건조물인 냉장고를 사용하기 보다는 냉동 보관이 가능한 시설을 짓는것이 추천된다.

또한 식품류 중에서는 유일하게 냉동/냉장을 위한 온도가 다른데 35도 이하에서 냉장, 10도 이하에서 냉동 취급된다.

2.4.2. 오물오물콩(Nosh Bean)$X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오물오물콩(Nosh Bean)
파일:Nosh_Sprout_seed.png
생산 방법오물오물콩 수확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X
맛있는 음식으로 가공할 수 있는 먹을 수 없는
콩.
진눈깨비밀과 같은 포지션의 최종 단계 음식용 식재료로 실질적으로 개당 600㎉가 된다.
마찬가지로 그냥 먹을 수 없고 고급 식재료로 사용되지만 콩을 수확할 수 있는 오물오물 싹의 재배 문제와 콩으로 조리하는 식품이 진눈깨비 밀로 조리하는 식품에게 밀리기 때문에 애매한 취급을 받는다.

2.4.3. 꼬집후추콩(Pincha Peppernut)$X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꼬집후추콩(Pincha Peppernut)
파일:Pincha_Peppernut.png
생산 방법꼬집후추콩 수확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X
꼬집후추풀의 맛좋은 견과.
쓴 바깥 껍질 안에 있는 매운 심은 요리에
요긴하게 쓰입니다.
그냥 먹을 수 없으며 대부분의 고급 식품용 식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꼬집후추콩 대량재배 안정화의 시작은 진정 후반으로 넘어가는 교두보역할을 하게 된다.
그 외에도 에스프레소 머신에도 사용된다.

2.5. 표준(+2)

네 번째 품질 등급으로, 시식 시 사기가 4 상승한다. 여기서부터 제대로 된 음식의 반열에 든다고 할 수 있다.

사기 증가 폭도 갑자기 커지기 때문에 초반부를 넘어가면 표준 이상의 음식을 안정적으로 보급하는데 공을 들여야 한다.

2.5.1. 생 조개류(Raw Shellfish)$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생 조개류(Raw Shellfish)
파일:Oxy_Shellfish.png
생산 방법위생딱지 사망시
칼로리1000㎉/㎏
품질+2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아주 죽은 위생딱지의 익히지 않은 덩어리입니다. 냠!
새로 추가된 쑤심딱지의 변종인 위생딱지가 죽을 경우 나오는 식재료로 드럽치 토막과 효과와 용도는 동일하다.

2.5.2. 드럽치 토막(Pacu Fillet)$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드럽치 토막(Pacu Fillet)
파일:Pacu_Fillet.png
생산 방법드럽치 사망시
칼로리1000㎉/㎏
품질+2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죽은 드럽치의 조리하지 않은 토막. 냠냠냠!
다른 크리터와는 다르게 드럽치류가 죽으면 고기가 아닌 드럽치 토막이 나온다. 현실에서 생선을 회로 먹는 경우가 있어서인지 자체 품질이 2로 높아 생고기마냥 비효율적이진 않다 육회는?. 하지만 역시나 구워 먹는게 훨씬 낫다는 점은 동일.

2.5.3. 서리빵(Frost Bun)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서리빵(Frost Bun)
파일:Frost_Bun.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진눈깨비밀 낟알 3㎏
칼로리1200㎉/㎏
품질+2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진눈깨비밀 곡물로 구운 간단한 롤빵.
빵이 따뜻할 때 먹어도 입 안이 약간 차가운
느낌이 듭니다.
최종 단계 작물인 진눈깨비밀로 만들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음식이다. 세 번째 주식의 대명사격.
다만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있는 첫 번째/두 번째 주식과 다르게 세 번째부터는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갑자기 식품 등급을 확 올리기도 하므로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힘들다.

이름만 빵인 이빵과 달리 진짜 빵이다. 물도 요구하지 않고 오직 순수하게 진눈깨비밀만 소모하므로 끼니절임과 매우 유사하지만, 이쪽은 품질 등급이 +2라는 차이점이 있다.

진눈깨비밀도 양산 성공 시 남아돌 정도로 대량으로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공장처럼 서리빵만 계속 찍어내도 복제체들에게 준수한 품질의 음식을 계속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 번째 주식으로 삼을 메리트가 있다.
다만 유통기한이 그리 길지 않고 진눈깨비밀의 수확 주기도 18주기로 매우 긴 편이기에 반드시 멸균 공기 및 냉장 보관을 할 것을 권장한다.

다만 센털베리 농사를 완전히 철수한 것이 아니라면 전기 그릴 없이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베리 죽을 먹는게 품질 등급 및 칼로리, 유통기한 측면에서 조금 더 이득이다.

2.5.4. 오믈렛(Omelett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오믈렛(Omelette)
파일:Oxygen_Omelette.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프린팅 포드
재료생알 1㎏
칼로리2800㎉/㎏
품질+2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푹신하게 접은 알의 내용물.
알을 깨야만 만들 수 있습니다.
생 알을 그릴에서 조리한 요리로 품질이 3, 칼로리가 1200이나 증가하였다.
생 알을 75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복제체가 요리하지 않아도 오믈렛으로 변하므로 자동화 조리시설을 만들 수 있지만 그정도 시설을 만들 수 있다면 대부분 그냥 목장을 만드는 것이 훨씬 낫다.
하지만 복제체의 노동을 완전히 제외하는 자동화를 하려고 한다면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요리이기도 하다.

알을 깨서 만들었지만 육식 동물 업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실제로 채식주의자들 중 분류에 따라 알과 유제품은 고기로 간주하지 않고 먹는 분파도 존재하는데 그 점을 반영한 듯.

2.5.5. 두부(Tofu)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두부(Tofu)
파일:Oxygen_Tofu.png
생산 방법미생물 걸죽기
재료오물오물콩 6㎏
물 50㎏
칼로리3600㎉/㎏
품질+2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오물오물콩으로 만든 무미한 두부.
특이하지만 기분 좋은 농도입니다.
평범한 두부. 이빵의 오물오물콩 버전. 다만 고급 식재료로 만든것 답게 이빵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물 소모량 역시 칼로리 대비 매우 적지만, 어차피 이 정도 타이밍에 물 공급 문제는 얼추 해결된 경우가 많아 큰 장점은 아니다.

오물오물콩이 애매한 취급을 받는 이유가 이 두부와 서리빵의 격차 때문인데 에탄올과 흙 두 자원을 모두 소모하면서 유통기한마저도 훨씬 짧기 때문이다.

물론 진눈깨비밀이 없는 맵이라면 당연히 두부를 주식으로 삼을 수 밖에 없게 된다.

2.6. 좋음(+3)

섭취 시 사기가 8이나 상승한다. 농사가 아닌 축산을 주 식량 공급원으로 삼을 경우 이 등급의 음식이 주식이 된다.

2.6.1. 조리된 해산물(Cooked Seafood)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조리된 해산물(Cooked Seafood)
파일:Oxy_Cooked_Seafood.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드럽치 토막/생 조개류 1㎏
칼로리1600㎉/㎏
품질+3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갓 잡은 수생 크리터의 조리된 조각.
당연히 약간 비린 맛이 난다.
바베큐와 거의 동일한 음식이다. 하지만 구웠을 때 얻는 칼로리가 600㎉으로 바베큐보다 200㎉ 높다.

2.6.2. 벵이과실 프리저브(Grubfruit Preserv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벵이과실 프리저브(Grubfruit Preserve)
파일:Oxygen_Grubfruit_Preserve.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뱅이과실 8㎏
수크로스 4㎏
칼로리2,400㎉/㎏
품질+3
부패 시간32주기
식용 가능O
수크로스에 절인 오래가는 벵이과실 잼.
진하고 끈적끈적한 잼을 쏟으면 병 모양을 유지하지만 최고의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DLC 초중반에 만들어서 사기 유지와 음식문제를 동시에 해결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음식이다.
벵이과실에서 나오는 벵이과실과 단벌레를 키우면 남아도는 수크로스를 전기그릴에 조리하면 손쉽게 만들 수도 있고, +3등급이라 사기도 많이 올라간다. 동시에 잼 형태를 반영한건지 부패시간이 32주기로 올라간다.

호리호리한 벵이과실 씨는 그냥 불모지 지역을 돌아다니다 보면 나오고, 벵이과실에 단벌레나 벵이벵이를 상호작용 시키면 벵이과실을 얻을수 있으며, 수크로스를 배설하는 단벌레도 황만 먹기 때문에 초반에 사기 유지도 하면서 음식문제로 해결 가능한 식품이다.
다만 일부 행성에서는 액체 황 간헐천은 고정으로 출현하지 않고 불모지 지형의 황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액체 황 간헐천이 없다면 초중반 이후에는 다른식품으로 넘어가는게 좋다.
사워 가스를 정제해서 황을 얻을 수는 있으나, 그때 즈음에 벵이과실을 키우고 있으면 차라리 믹스 베리 파이를 만들어 먹지 이걸 먹을 일은 거의 없다.

2.6.3. 수플레 팬케이크(Soufflé Pancakes)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수플레 팬케이크(Soufflé Pancakes)
파일:Oxy_Pancakes.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재료진눈깨비밀 낟알 2㎏
생알 1㎏
칼로리3600㎉/㎏
품질+3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날 알과 진눈깨비밀 낟알로 만든 달콤한
디스크.
너무 두꺼워요!
Song of Moo 업데이트로 추가된 식품으로 오믈렛의 재료에 진눈깨비밀 낟알 2개를 추가하여 800㎉와 품질을 1등급 더 올린 요리.

2.6.4. 베리 죽(Berry Sludg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베리 죽(Berry Sludge)
파일:Berry_Sludge.png
생산 방법미생물 걸죽기
재료진눈깨비밀 낟알 5㎏
센털베리 1㎏
칼로리4000㎉/㎏
품질+3
부패 시간
식용 가능O
으깬 센털베리 죽으로서 보관 기간이 매우
깁니다.
공격적이고, 압도적인 당도가 혀를 일시적으로 무감각하게 만듭니다.
전기 그릴과 꼬집후추콩을 사용하지 않고 대량 양산할 수 있는 최후의 음식. 외양상 보존식품인 페미컨에 가까운 물건이다.

진눈깨비밀의 안정적인 재배에 성공했을 경우 서리빵 대신 이 베리 죽을 3티어 주식으로 삼는 경우도 많은데, 진눈깨비밀과 센털베리 모두 물을 요구하는 것은 똑같고, 센털베리를 위한 냉각은 어차피 진눈깨비밀 키울 땐 더 이상 문제거리가 아닌고로, 이미 마련된 농사 인프라를 그대로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하면 칼로리 효율은 서리빵과 동일하면서, 절대 썩지 않는 기적의 영구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서리빵보다 품질이 1단계 더 높아서 사기를 4 만큼 더 얻게 된다는 것은 덤이다.

다만, 단점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진눈깨비밀은 영하 환경에서 재배하고, 센털베리는 온화한 환경에서 재배하다보니, 농사 구획의 통합이 불가능하다. 냉각이야 진눈깨비밀 냉각하는 냉매 파이프를 공유하면 그만이긴 한데, 구획이 분리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선 꽤 거슬릴 수도 있다.
서리빵 대비 필요한 재료가 하나 늘어났으니 귀찮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품질 등급 +3 인데 절대 안 썩으며 만들기도 쉽다는 것이 경악스러운 수준의 사기성을 자랑하기 때문에 비상식이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완충용 식품으로 선택받으며 DLC의 경우 우주선용 식량을 챙기는 경우 십중팔구는 이것이 선택된다.

여러모로 참 파격적이라서, 플레이어들로부터 신의 음식 취급(...)을 받고 있다. 그라비타스의 진정한 특이점

2.6.5. 바베큐(Barbequ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바베큐(Barbeque)
파일:Oxygen_Barbeque.png
생산 방법전기 그릴, 프린팅 포드
재료고기 2㎏
칼로리4000㎉/㎏
품질+3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무찌른 크리터의 조리된 고기. 재미있는 연기의 뒷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기를 단순히 그릴에서 굽기만 하면 얻어지는 간단한 음식이다. 고기 자체는 알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기지를 돌아다니는 아무 크리터를 사냥하거나 늙어 죽은 개체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지만 본격적으로 목축을 하지 않으면 대량 양산이 어려운 편이다.

끼니이와 진창뿌리로 식량을 충당하는 극초반에서 품질 3은 그야말로 파격적인 수치이며, 어쩌다 한번 복제체들에게 훌륭한 특식이 되어준다. 바베큐를 먹은 날 한정으로 사기가 폭등하겠지만 사실 초반에는 큰 의미가 없는 효과이긴 하다.

우주 진출 후에는 굴착들쥐들을 처리하면서 수십만 칼로리의 바베큐를 만들어 먹을 수 있다.

2.7. 대단함(+4)

섭취 시 사기가 12 상승한다.
이 등급 부터는 최종식품으로서 선택된다. 말 그대로 후반용이라는 뜻. 농장을 어떻게 짓냐에 따라 최종식품은 약간씩 차이를 가진다.

2.7.1. 소를 넣은 베리(Stuffed Berry)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소를 넣은 베리(Stuffed Berry)
파일:Stuffed_Berry.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센털베리 구이 2㎏
꼬집후추콩 2㎏
칼로리4400㎉/㎏
품질+4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풍미 있는 향료와 맛을 가득 채운 센털베리
구이.
소를 가득 채운 베리, 식사용보단 디저트용에 가까워 보인다.
난이도가 낮은 두 식물인 센털베리와 꼬집후추콩이라 최종식품들 중 난이도는 가장 낮은 편으로 흙을 소모하는 밀이나 콩을 키울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물이 넘쳐흐르는 후반부에야 그렇고, 초중반부의 발전 단계에서는 분명 물이 부족해 둘 중 하나의 성장이 멈추는 시기가 반드시 다가올 것이다.

2.7.2. 버섯 쌈(Mushroom Wrap)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버섯 쌈(Mushroom Wrap)
파일:Mushroom_Wrap.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버섯 튀김 1㎏
상추 4㎏
칼로리4800㎉/㎏
품질+4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맛있는 버섯 상추 쌈.
흙의 풍미와 아삭함이 절묘하게 섞여 있습니다.
상추로 쌈을 싼 버섯. 쌈을 싸는데 가스레인지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으나 상당한 고급요리이다.
버섯쌈을 최종식품으로 선택한다면 버섯농장보다 상추농장을 짓는 것이 더 중요하다. 버섯은 끼니이 다음으로 재배가 쉬운 식물인 반면 상추는 식용식물 중 자동 운송 레이아웃을 짜지 않으면 난이도가 높아서 취향이 갈리는 음식.
다만 후반을 넘어선 극후반의 경우 버섯의 비료인 는지렁이의 수급이 귀찮기 때문에 버섯 농장을 접고 다른 음식으로 갈아타게 될 확률이 높다.

2.7.3. 커리콩(Curried Beans)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커리콩(Curried Beans)
파일:Oxy_Curried_Beans.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오물오물콩 4㎏
강장뿌리 4㎏
칼로리5000㎉/㎏
품질+4
부패 시간16주기
식용 가능O
버프매운 음식
강장뿌리 덩어리와 함께 끓인 쫄깃한 오물오물콩.
너무 매워요!
이 요리는 만들겠다고 마음 먹어도 만들기가 쉽지 않다.
재료를 보면 오물오물콩은 진눈깨비밀에 비해서 준비해야 하는게 많아 선택받지 못하는 재료이며, 강장뿌리는 풍미들쥐에게 적절한 온도의 대량의 먹이를 먹여 가면서 키워야지 얻을 수 있다.
더군다나 풍미들쥐는 굴착들쥐를 굶겨가며 쉽게 고기를 얻는 것을 막기 위해서 나온듯한 변종이라 신경쓰지 않는다면 굶어 죽어버린다.
즉 준비할 것도, 신경 쓸 것도, 자원 소모량도 많다는 소리다.

그렇게 노력해서 만들더라도 품질은 +4로 미묘하며, 섭취시 주기당 스트레스 +5%에 맵다고 재채기를 하는 황당한 페널티까지 달려있다.
당연하지만 재채기를 하면 작업이 취소되고 운반하던 물건은 바닥에 떨궈버리니 절대 먹여선 안될 물건이다.
그나마 운동과 힘 스탯에 +3 보너스를 주는데 재채기를 무마할 수준의 버프가 절대 아니다. 이 모든 걸 제외해도, 매운두부의 하위호환이라는 것 하나로도 의도는 명백하다.

그나마 부패 주기가 16주기로 짧진 않다는 것은 최후의 양심이지만, 그냥 만들지 말자.

2.7.4. 서프 앤 터프(Surf'n'Turf)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서프 앤 터프(Surf'n'Turf)
파일:Oxy_Surf'n'Turf.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바베큐 1㎏
조리된 해산물 1㎏
칼로리6000㎉/㎏
품질+4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수중 식단
땅의 고기와 바다의 조리된 해산물 조금.
푸짐하고 만족스럽습니다.
조리된 해산물과 바베큐를 곁들여 먹는 요리.
일단 조리된 해산물과 바베큐 둘 다 다른 고급요리 재료들에 비해서는 쉽게 얻을 수 있고 격리농장이 필요한 꼬집후추콩을 요구하지 않아서 +4 이상의 퀄리티를 가진 음식들 중 가장 접근성이 좋지만 대량 생산을 하려면 크리터를 상당히 많이 키워야 한다.
옆동네 사서가 좋아한다.

2.8. 뛰어남(+5)

섭취 시 사기가 16 상승한다.

2.8.1. 매운 두부(Spicy Tofu)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매운 두부(Spicy Tofu)
파일:Spicy_Tofu.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프린팅 포드
재료두부 1㎏
꼬집후추콩 1㎏
칼로리4000㎉/㎏
품질+5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풍미가 가득한 꼬집후추콩 소스에 절인 두부.
우리가 아는 그 매콤한 마파두부.
두부 항목에서도 설명 했지만 두부와 서리빵에서 나던 격차가 최종 식품에서는 더 크게 난다.
물 소모량 대비 칼로리 효율이 좋은 식품 중 하나지만 문제는 하술할 후추빵에 비해서 좋은 점이 없다는 것이다.

진눈깨비밀을 구할 수 없거나 컨셉 플레이를 하는게 아니고서야 만들어 먹기는 좀 아쉬운 편으로 이 요리의 장점은 프린팅 팟 가챠에서 나오는 최종 등급 식품이라는 것이다.

2.8.2. 후추빵(Pepper Bread)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후추빵(Pepper Bread)
파일:Pepper_Bread.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진눈깨비밀 낟알 10㎏
꼬집후추콩 1㎏
칼로리4000㎉/㎏
품질+5
부패 시간8주기
식용 가능O
꼬집후추콩을 조금 넣어서 약간 매운 빵
덩어리.
손가락으로 뜯어먹는 단순한 기쁨이 있습니다.
후반부 최고품질 식량 중에 숙련자들 사이에선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편.
밀의 재배 난이도는 오물오물 콩보다 훨씬 낮고, 황 간헐천과는 달리 물은 어느 맵에서나 항상 존재한다.
이중 조리가 필요한 매운 두부나 믹스 베리 파이와 비교했을 때 원재료인 밀과 꼬집후추콩을 가스레인지에 넣고 한번에 요리가 가능하고, 부패 시간도 8주기로 두배라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어 단순 효율만을 놓고 비교하자면 후추빵을 따라올 식품이 없다.

너무 효율이 좋기 때문에 너프해야 하는거 아니냐는 소리가 간간히 나온다.

2.8.3. 믹스 베리 파이(Mix Berry Pi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믹스 베리 파이(Mix Berry Pie)
파일:Oxygen_Mixed_Berry_Pie.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진눈깨비밀 낟알 3㎏
벵이과실 4㎏
센털베리 구이 1㎏
칼로리4,200㎉/㎏
품질+5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주로 벵이과실 및 센털베리로 만든 파이입니다.
베리 혼합물은 달콤한 향기롭고 다채로운 속을 만듭니다.
진눈깨비밀, 벵이과실, 센털베리 3가지 작물로 만드는 최종식품으로, 식량 수급을 벵이벵이 루트로 탄 경우의 종착지이다.
주로 중반까지 벵이과실 프리저브와 바베큐를 주식으로 삼다가 후반부 최종식품을 선택할 때 그대로 벵이과실 농장을 가지고 넘어가는 식으로 많이 선택하는 요리이며, 이 경우 여분의 진눈깨비밀과 센털베리를 더 심어 우주선용 식품인 베리 죽을 추가적으로 생산하는 선택지도 가능하다.

꼬집후추콩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고급 식품들 보다는 작물을 한 종류 더 키워야 하는 단점이 공존한다.
크리터 문제는 꼬집후추콩을 키우려면 기끌이를 키워야 하므로 큰 차이는 없다.

2.8.4. 버섯 키시(Mushroom Quiche)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버섯 키시(Mushroom Quiche)
파일:Mushroom Quiche.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오믈렛 1㎏
버섯 튀김 1㎏
상추 1㎏
칼로리6400㎉/㎏
품질+5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오믈렛, 튀긴 버섯, 상추가 맛있는 크러스트
위에 놓여있습니다.
어쩐지 퍽퍽하고도 아삭합니다.
Song of Moo 업데이트로 추가된 식품으로 버섯쌈과 비슷한 재료에 오믈렛이 필요하다.

어떻게 해서든 버섯으로 끝을 보고 싶어하는 플레이어를 위해서 나온듯한 식품으로 버섯쌈과 단점을 공유하며 오믈렛을 구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크리터에게서 알을 얻어서 깨야 하는 수고가 추가되었다.

버섯쌈과 비교하면 상추가 3㎏(1200㎉)가 덜 필요하지만, 추가 재료로 오믈렛이 1㎏(2800㎉)이 더 필요하다.
조리 가능한 식품 중 단위 무게당 칼로리가 6400㎉로 제일 높아서 DLC의 실험 52B에게서 더 효율적으로 레진을 뽑아내고 싶어하는 플레이어가 생산해보기도 하는 요리다.

2.9. 신성함(+6)

2.9.1. 서리버거(Frost Burger)

<colbgcolor=#A74A79><colcolor=white>서리버거(Frost Burger)
파일:Frost_Burger.png
생산 방법가스레인지
재료서리빵 1㎏
상추 1㎏
바베큐 1㎏
칼로리6000㎉/㎏
품질+6
부패 시간4주기
식용 가능O
버프소울 푸드
식힌 서리빵에 넣은 고기 및 상추.
차게 내놓는 것이 맛이 있는 유일한 버거
입니다.
여러모로 비효율적인 요리로 바베큐와 서리빵이 동시에 들어가므로 진눈깨비 밀을 키워서 서리빵으로 조리하고 크리터를 키워서 얻은 고기를 바베큐로 조리한 후에 상추와 함께 또 조리해야한다.
복제체의 식사 품질 보너스는 +5가 한계이므로 의미가 없다. 미식가 같은 품질 감지 -가 달린 복제체에게 +5를 주기 위한 +6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만 바베큐를 요구한다는 것도 어차피 크리터를 아무것도 안 키우고 플레이하는 경우가 드물다보니 고기는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고 고기로는 +5 등급 요리를 만들 수 없으므로 최고급 요리만 먹일 생각이면 필요 없어지지만 서리버거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추는 요구량이 워낙 적어 직접 재배할 필요 없이 잎람쥐를 통해서 소량만 자연 재배하여 얻는것으로도 충분하다.

서리버거를 먹을 경우 2주기 동안, 주기당 스트레스 -15%를 제공하지만 운동 스탯을 2 감소시키는 버프인 '소울 푸드'를 받게 되는데 이 버프는 일반 이하의 난이도를 플레이 하는 경우는 의미 없는 스트레스 감소에 운동 스텟만 감소시키는 디버프와 다름 없다.
하지만 초고난이도로 세팅 후 플레이 하는 경우라면 보통 난이도에서는 높은 사기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만으로도 무시가 가능했던 스트레스 증가 요인이 매 주기마다 일정량의 스트레스가 차오르는 난이도와 시너지를 이뤄 복제체가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트레스 감소가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 외에 DLC라면 메인 행성에 있던 사기 증가 건조물과 방들의 효과를 받지 못해 스트레스 관리가 빠듯한 로켓 내부, 신규 개척지등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환경들은 공간 자체가 제약되어 있는 탓에 운동 스탯 -2 조차도 별 체감이 안되는 것은 덤이다.
이렇게 사용하고 싶다면 짧은 부패시간을 커버하기 위해서 탈수기를 사용해야하니 플레이어의 취향에 맞춰서 사용하자.


[1] 반어법이다. 먹기 불편하게 만든 가시가 없어져서 품질이 올랐단 소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