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00:40:30

M35 전차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차 대전기의 이탈리아제 대전차포}}}에 대한 내용은 [[블레르 47mm 대전차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레르 47mm 대전차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레르 47mm 대전차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차 대전기의 이탈리아제 대전차포: }}}[[블레르 47mm 대전차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레르 47mm 대전차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레르 47mm 대전차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fffff,#191919>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XM297E2
박격포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XM326
무반동포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함포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Mk.51
전차포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XM360
기관포 다포신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XM301
단일포신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XM913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취소선: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M10_Booker_firing.jpg
1. 개요2. 제원3. 역사4. 특징5. 관련 화포6. 미디어
6.1. 게임

1. 개요

미국에서 개발된 52구경장 105mm 구경의 저반동 강선 전차포.

2. 제원

M35 제원
개발사 베네 연구소(Benét Laboratories), 워터블리트 조병창(Watervliet Arsenal)
제조사 워터블리트 조병창
개발년도 1983년
중량 1325kg
길이 m
구경 105mm
구경장
포신구조
강선
폐쇄기
반동 메커니즘 유기압식 주퇴복좌기
탄약 105×617mmR (NATO 표준)
약실압력 MPa
포구초속 m/s
발사 속도 최대 1분에 12여발
최대 사정 거리 m

3. 역사

파일:EX35_gun_in_XM4_turret_basket.png
1980년대 초 미국 육군 과 해병대의 Mobile Protected Gun 합동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되었다. LAV-105, M8 뷰포드, 그리고 M10 부커에 사용되었다.

1983년 베네 연구소와 워터블라이트 조병창에서 개발했다. 비록 요구되던 Mobile Protected Gun 프로그램이 이듬해 취소되었으나, 대구경 무기 시스템 연구소(LCWSL)에서 1984 회계연도에 XM4 AGS 포탑 바스켓에 EX35를 장착하였다. LCWSL은 이 총에서 100발을 발사했다.

1991년 상원 및 하원 군사위원회는 육군에 LAV-105의 포탑과 EX35포를 AGS 섀시와 통합하도록 지시했지만 이 공동 프로젝트는 결국 끝을 보지 못했다. 육군이 1991년 기갑포체계(AGS) 경쟁을 시작했을 때 낙찰자에게 EX35포를 제공하기로 동의했다.

1992년 육군은 FMC의 근접전투차량경보병(CCVL)을 AGS 경쟁의 우승자로 선정했다. United Defense(FMC와 BMY의 합병으로 설립)는 XM8이라는 명칭으로 CCVL의 프로토타입 6대를 제작했으며 이후 M8로 유형 분류되었다. 그러나 육군은 예산 문제로 1996년 AGS를 취소했다. 

United Defense는 육군의 임시 장갑차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AGS를 제안했지만 육군은 대신 M68A2 로 무장한 M1128 스트라이커 MGS로 훗날 명명되는 제너럴 모터스의 설계안을 선택했다.

이후 M35는 M10 부커로 채택된 그리핀 II의 주무장으로 채택되었다. 2023년 1월, 육군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된 탄환에서 고농도의 유독 가스가 M10 부커 내에서 예상치 못하게 배출되고 있는 문제가 생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스 배출 시스템이 필요했다.

4. 특징

파일:XM35_Exploded_View.png
저압포와 혼동하기 쉽지만 저압포와는 전혀 다른 물건이다. 저압포는 포의 발사반동을 줄이기 위해 장약 자체를 줄인 것이므로 철갑탄 계열 탄두를 사용하기 어렵거나 사용하더라도 위력이 매우 떨어지지만, 고압 저반동포는 일반 포와 같은 탄약을 쓸 때 반동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포가와 완충장치를 강력하게 설계한 포이기 때문에 M900 등 미군의 최신예 105mm APFSDS 사용에도 일절 문제가 없었다. 자동 장전 장치와 결합될 경우 최대 분당 12발 발사가 가능했다고 한다.

M60 전차에 사용된 주포이기도 하고 개발 기반이 된 M68보다 약 816kg 가볍다.

XM35 시절부터 포신에 배연기가 있었다. 단, BAE 시스템스의 XM1302 Mobile Protected Firepower 모델에 사용되는 M35는 주포, 자동 장전 장치와 관련 부품이 승무원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환기용 팬을 사용한다.

최초의 XM35 저반동포 시제기는 11개월 만에 설계와 시험 발사 단계에 돌입했. 이 ㅍ느는 캐나다 제너럴 모터스/텍스트론 마린 & 랜드 시스템즈 디젤 사업부의 설계안, LAV-AG(8 x 8) 설계안과 유나이티드 디펜스 M8 설계안의 시제차에 장착되었다.

1호 시제품은 무게가 1,270kg에 불과했으며, 35% 효율의 일체형 다공성 포구제퇴기를 사용하여 발사 시 충격량을 22% 감소시켰다. 559mm와 762mm 반동 길이가 모두 테스트되었으며, LAV-AG에서는 더 짧은 반동 길이가 더 적합했다.

처음에 3개의 시제 포가와 4개의 포 본체가 제작되었는데, 그 중 나중에 나온 2개에는 수평 쇄전식 폐쇄기가 장착되었고 다른 2개에는 수직 쇄전식 폐쇄기가 장착되었다.

LAV-AG 대회를 위해 추가로 네 대의 프로토타입 모델이 제작되었으며, 모두 수직 하향 개폐식 폐쇄기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다. 이 모델들은 모두 베넷이 독자적으로 설계한 멀티러그 약실을 사용하는데, 이는 약실 무게를 크게 줄이는 동시에 피로 수명 감소도 없다고 한다.

주퇴복좌기에는 소구경 주퇴복좌 실린더를 사용하며, 각 실린더에는 고정 장치가 있어 야전에서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두 종류의 자동 장전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LAV-AG의 경우 영국 FHL에서, M8 뷰포드의 경우 United Defense의 군비 시스템 사업부에서 개발했다.

5. 관련 화포

6. 미디어

6.1.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