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02:21:46

K형 화염방사기

파일:Warsaw_Uprising_-_Small_PASTa_-_Flamethrower.jpg

1. 개요

파일:zd54_2.jpg

폴란드 국내군이 사용한 화염방사기.

2. 상세

1942년, 폴란드 국내군 총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일반적인 공업소에서도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어려움 없이 제작할 수 있는 단순한 화염방사기의 설계 작업이 시작되었다. 특이하게도 대인사격을 목표로 하는 대부분의 화염방사기와는 달리 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다. 여러 가지 설계안이 제작되었으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K형으로, 폴란드 지하국의 사실상 제식 화염방사기로 자리 잡았다.

정확한 생산 수량을 추산하기는 어려우나 수백 정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생산은 주로 바르샤바에서 이루어졌으며, 제작 환경의 특성상 많은 화염방사기가 세부 사항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개의 원통형 연료 탱크(총 용량 16리터, 높이 45cm, 직경 16cm)와 압축 공기통(용량 6리터, 높이 60cm, 직경 12cm)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연료는 디젤 75%와 휘발유 25% 비율의 혼합물이었다. 연료 탱크와 공기통 사이에는 밸브가 설치되었으며, 고무 연료 호스가 조립체와 연료총을 연결하였다. 연료총은 길이 114cm의 파이프 형태로, 총구에는 손잡이로 작동되는 밸브가 장착되어 있었다.

K형 화염방사기는 단순한 설계와 제작 환경을 고려할 때 비교적 성공적인 무기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주요 결함은 사용 중 공기 압력이 점차 감소하여, 연속적인 발사 시 사거리가 점점 짧아진다는 점이었다. 이 무기는 연료 운반자가 보급을 담당할 수 있었으며, 압축 공기통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 가능하였다. 이러한 재급유 및 교체 절차에는 약 4분이 소요되었다.

3. 실전

바르샤바 봉기 발발 당시 폴란드 국내군은 K형 화염방사기를 30정 정도만 보유하고 있었다. 상당수는 국내군의 비밀 무기 창고가 독일군에 의해 발각되어 압수당했고, 일부는 국내군이 접근할 수 없는 저장소에 남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염방사기는 봉기 중 치열한 전투가 생기는 곳에서는 항상 사용되었다. 또한 봉기 도중 일부 화염방사기가 추가로 제작되었다. 대부분의 부대는 개별적으로 운용했으나, 별도의 화염방사기 중대가 편성되기도 하였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파일:폴란드 지하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MP28, Wz.39,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호로슈마노프, 톰슨 기관단총, M42, PPD-40, PPSh-41, PPS-43, MP40
권총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지원화기 경기관총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중기관총 MG08/15, Ckm wz.30, MG34, MG42
대전차화기 PIAT, 판처파우스트
화염방사기 K형 화염방사기
박격포 50mm RM-38/40
유탄 wz.33, wz.42, M24, N39, M43, M3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3)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이를 뒷받침하는 예로 기록에 의하면 바르샤바에 위치한 안토니 비엥코프스키(Antoni Więckowski)의 작업장에서만 약 400정이 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