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0:20:32

IL-2 Sturmovik: Great Battles/IAR8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L-2 Sturmovik: Great Battles
IL-2 Great Battles 등장 기체 둘러보기
파일:1235px-Red_star.svg.png 소련 I-16 · MiG-3 · LaGG-3 · Yak-1 · Yak-7 · Yak-9 · La-5 | IL-2 · Pe-2 · Po-2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세부기종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222> Yak <colbgcolor=#ffffff,#2d2f34>Yak-1 Series 69, Yak-7b Series 36, Yak-1b Series 127★, Yak-9 Series 1, Yak-9T Series 1
La5 La-5 Series 8★, La-5F series 38, La-5FN Series 2☆
IL2 IL-2 AM-38 (model 1941), IL-2 AM-38 (model 1942), IL-2 AM-38F (model 1943)
Pe2 Pe-2 Series 35, Pe-2 Series 87 }}}}}}}}}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Bf109 · Bf110 · Fw190 · Me410 · Me262 | Ju87 · Hs129★ · He111 · Ju88 · Ar234 | Ju52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세부기종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222> Bf109 <colbgcolor=#ffffff,#2d2f34>Bf109 E-7, Bf109 F-2, Bf109 F-4, Bf109 G-2, Bf109 G-4, Bf109 G-6☆, Bf109 G-6 Late, Bf109 G-6 AS, Bf109 G-14, Bf109 K-4
Bf110 Bf110 E-2, Bf110 G-2
Fw190 Fw190 A-3★, Fw190 A-5, Fw190 A-6, Fw190 A-8, Fw190 D-9★
He111 He111 H-6, He111 H-16
Ju88 Ju88 A-4, Ju88 C-6 }}}}}}}}}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국 P-39 · P-38★ · P-40★ · P-47 · P-51 | A-20 | C-47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세부기종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222> P47 <colbgcolor=#ffffff,#2d2f34>P-47 D-22, P-47 D-28
P51 P-51 B-5, P-51 D-15 }}}}}}}}}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Hurricane☆ · Spitfire · Typhoon · Tempest | Mosquito F.B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세부기종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222> Spitfire <colbgcolor=#ffffff,#2d2f34>Spitfire Mk.VB★, Spitfire Mk.IXe, Spitfire Mk.XIV★, Spitfire Mk.XIVe }}}}}}}}}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MC.202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1941-1944).png 루마니아 IAR-80/81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세부기종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222> IAR80/81 <colbgcolor=#ffffff,#2d2f34>IAR80-A, IAR80-? }}}}}}}}}
첨자 ☆ 대규모 DLC와 독립적으로 판매되는 콜렉터 기체

1. 개요2. 전반적인 운용 방법3. I.A.R. 80-A
3.1. 제원3.2. 개조사항
4. I.A.R. 80-B
4.1. 제원4.2. 개조사항
5. 특이 사항

1. 개요

IL-2 Sturmovik: Great Battles 시리즈에 등장하는 IAR 80 시리즈에 관한 문서. 문서 작성시 타국가 또른 다른 기종들을 폄하하는 일을 자제하도록 합시다.

2. 전반적인 운용 방법

3. I.A.R. 80-A

파일:iar80a.jpg
  • 콜렉터 플레인 DLC로만 구입 가능한 기체
  • IAR 80-A & 80-B DLC 구입시 2종류의 IAR-80 전투기가 추가된다.[1]

루마니아의 IAR 80A 전투기가 구현됐다. 공업력이 부족한 루마니아에서 제작한 항공기이다보니 여러 국가들의 장비들을 수입하거나 자국에서 면허 생산한 장비들을 활용해서 완성시킨 흔적들이 게임에서 잘 구현됐다.

먼저 엔진은 프랑스의 놈-론사의 14K 미스트랄 메이저 엔진을 루마니아에서 면허 생산한 IAR 14K 엔진이 사용됐고, 조준경은 영국의 Mk.II 광학 조준경[2]을 오스트리아에서 면허 생산한 Goerz GM2 조준경이 사용됐다. 그리고 속도계와 프로펠러 피치 계기를 비롯한 몇몇 비행 계기들은 독일제 장비[3]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종석 내부에는 영어와, 독일어, 루마니아어가 함께 공존하고 있는 것은 물론, 미터법과 제국 단위계가 혼재돼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4][5]

무장으로는 미국의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벨기에에서 면허 생산한 FN 브라우닝 1938 기관총 6정이 장착돼있는데, 해당 기관총은 독일의 마우저 7.92 mm 탄환을 사용하도록 개수된 기관총이다. 그리고 개조사항에서 B-형을 선택하면 미국의 M2 브라우닝 50 구경 중기관총을 벨기에에서 면허 생산한 13.2 mm FN 중기관총 2정이 장착되는데, 해당 총기에서 사용되는 탄환은 프랑스의 호치키스사에서 제작한 탄환이다. (...) 이 뿐만 아니라 44년에 무장을 강화한 형식인 M형을 선택하면 독일의 MG 151/20 기관포 2문을 장착하게 된다. 하단의 B형에 존재하는 개조 사항을 살펴보면 독일의 MG FF 기관포를 사용한 형식도 있다. 무기와 탄환 마저도 여러 국가의 공산품들을 혼용해서 사용한 셈.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독일이 벨기에를 점령해버리자, IAR 전투기의 개발진들은 더이상 FN 기관총을 수입할 방법이 없어서 기관총을 4정으로 줄이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었다. 다행히 독일이 벨기에의 FN 기관총들을 제식 무기로 사용하기로 결정했고, 루마니아 왕국이 독일과 동맹을 맺으면서 기관총 수입이 재개됨에 따라 6정의 기관총을 장착한 A-형식이 양산될 수 있었다. 영국제 광학 조준경인 Mk.II 조준경도 스핏파이어와 허리케인 전투기에서 사용할 물량이 부족해지자 오스트리아의 CP Goerz사에 면허 생산을 맡기면서 생산된 장비인데,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병합됨에 따라 동맹국인 루마니아가 면허 생산품인 GM2 조준경을 수입해올 수 있었다.[6][7]

아무튼, 게임에서 구현된 IAR 80A 전투기의 성능은 여러모로 열악한 편이다. 독소전 개전 당시의 야크 전투기의 엔진 출력이 1,200 마력인데 반해서 IAR 전투기에 탑재된 14K 엔진은 최대 출력이 겨우 1,050 마력이라 속도와 상승률, 가속력 면에서 크게 불리한 편이다.[8] 더군다나 전시 긴급 출력(WEP)의 사용시간이 3분으로 제한된 탓에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960 마력의 출력으로 교전해야해서 체감 성능이 더더욱 열악하게 느껴진다.

이 뿐만 아니라 IAR 전투기의 엔진 회전수는 가변 프로펠러 피치로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엔진 운용 난이도 마저도 아주 높은 편이다.

전작에서 구현된 Bf109 E-3 전투기처럼 비행 속도가 빨라지면 프로펠러 피치 각을 높여서 엔진 회전수를 낮춰야 하고, 속도가 느려지면 피치 각을 낮춰서 엔진 회전수를 높여야 한다. (게임 내 UI로 프로펠러 피치 값이 100%에 가까워 질 수록 RPM이 낮아지고, 0%에 가까워 질 수록 높아진다.) 이런 이유로 비행하는 내내 프로펠러 피치 레버[9]를 조작해서 적정 회전수(2,300 RPM)를 유지해야 하는데, 경험이 부족한 유저들은 이륙하다가 과회전으로 엔진을 고장 내거나 지나치게 낮은 엔진 회전수로 인하여 전투 비행을 겨우겨우 구사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적기를 쳐다보기는 커녕 엔진 회전수 계기만 바라보다가 격추 당하는 결과로 이어질 정도. (...)

다행히 전작에서 구현된 E-3 전투기처럼 엔진 소음을 듣고 엔진 회전수를 조절하면 RPM 계기를 쳐다보지 않더라도 충분히 적정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게임에서는 대략 2,400 RPM부터 엔진 소음이 크게 요동치기 시작하는데 평상시에는 이 소음이 들리지 않도록 유지하다가 교전시에는 해당 소음이 살짝 들리는 수준으로 회전수를 조작하면 된다. 기체 제원상으로는 2,300 RPM이 적정 회전수라고 나와있지만 게임에서는 2,400 RPM을 유지해도 멀쩡한 편이고, 혹시나 2,400 RPM 이상으로 과회전 된다 하더라도 3~5초 이내로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과회전될까봐 가속을 주저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해당 소음이 들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상승할 때피치각을 줄여서(0%) 회전수를 높이고, 하강할 때피치각을 높여서(100%) 회전수를 줄이는 습관을 들이면 수월하게 엔진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비행하는 내내 엔진 회전수가 2,000~2,400 RPM을 오가는 만큼 정속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연합군 항공기나 자동 피치를 사용하는 독일기들에 비해서 엔진 출력의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안그래도 엔진 출력이 낮아서 불리한데 저출력과 고출력을 오락가락하다보니 교전시 더더욱 불리한 편.[10]

이외에도 기본 무장이 7.92 mm 기관총 6정 뿐이라는 점도 큰 단점으로 꼽힌다. 게임의 배경이 독소전쟁인 만큼 동시기의 전투기들은 이미 20 mm 기관포나 여러 정의 중기관총들을 기본 무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IAR 전투기는 여전히 소구경 기관총만 사용하다보니 화력이 더욱 부실하게 느껴진다. 더군다나 게임에서 구현된 소련기들의 내구성은 20 mm 고폭탄을 뒤집어 쓰고도 악착같이 살아남아 도망치는 무식한 내구성을 자랑하기 때문에 IAR 전투기의 기본 무장으로는 1대의 적기를 격추시키기도 버거운 편이다.[11] (...) 그나마 개조 사항에서 B-형을 선택하면 기관총 2정이 13.2 mm 중기관총으로 변경되지만, 중기관총의 적재 탄환이 각각 150 발 뿐이라서 오히려 적기를 격추시키기가 더 어려운 느낌이 든다. 이탈리아의 MC.202 전투기의 경우 50 구경 기관총을 2정만 장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400 발에 달하는 넉넉한 탄약과 기수 집중형 무장 배치 덕분에 실력만 좋다면 한 번의 비행으로 3~4대의 적기를 격추시킬 수 있지만, IAR 전투기의 중기관총은 탄수도 부족하고 기관총 배치도 양쪽 주익에 넓게 설치된 탓에 탄착 지점을 집중시키기가 쉽지 않다.

다행히 개조 사항에서 M-형을 선택하면 독일군의 MG151/20 기관포를 2문이나 장착할 수 있고, 탄약도 각각 175발로 넉넉해서 적기를 격추시키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문제는 M-형의 등장시기가 1944년 중반이라서 매우 늦게 해금되는 편이고, 증가된 중량 때문에 기체 성능이 더 나빠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 그래서 그런지 멀티플레이 서버에서는 1942년 무렵의 배경에서도 20 mm 기관포를 장착한 M-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경우가 많다. 비행 성능이 나빠지긴 하지만 일단 적기의 6시 방향을 장악하기만 하면 높은 확률로 적기를 격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다면 반드시 선택하도록 하자.

개조사항에서 선택할 수 있는 IAR 81 전폭기의 경우, 기수 하단에 Ju87 슈투카와 비슷한 폭탄 투하 장치가 설치되고, 주익에는 보다 간결한 형태의 폭탄 장착대가 추가된다. 이런 이유로 안그래도 부족한 비행 성능이 더 나빠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지상 공격기로만 활용하는 것이 좋다. 주의해야할 점으로는 폭탄을 투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수 하단의 폭탄 장착대를 전개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폭탄 장착대를 전개시키지 않으면 폭탄이 투하되지 않으며, 단축키 옵션에서 Plane Controls 항목의 Dive recovery system : on/off 단축키를 할당해야 한다. 반대로 폭탄 장착대를 전개시킨 상태에서는 기관총이나 기관포와 같은 무장 운용이 불가능해지며, 급강하 폭격을 위해서 착륙 플랩이 완전히 펼쳐지는 특징이 있다.[12] 전폭기 형태로 운용시 이 점을 반드시 숙지하도록 하자.

전투 성능 부문을 이야기하자면 앞서 말했다시피 동시기 항공기들에 비해서 여러모로 열악한 편이다. 속도도 느리고 상승률도 나쁜 데다가 선회 성능도 예상외로 나빠서 야크 전투기를 상대로 살아남기가 꽤 어렵다. 더군다나 저출력 엔진에 시시각각 변하는 엔진 회전수로 인해서 루프(loop) 기동을 깔끔히 수행하기도 여의치 않은 편. 플로이에슈티 공습에서 P-38 전투기들을 연달아 격추시켰던 일화 때문에 기동성이 무척 좋을 것처럼 예상되지만, 해당 일화는 속도가 느린 저속기로 쌍발기와 선회 전투를 치루었던 사례이기 때문에 IAR 전투기의 선회 성능에 너무 큰 기대를 바래서는 안된다.[13] 이 때문인지 착륙 플랩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선회 성능은 적기를 압도할 정도로 경쾌한 성능을 보여주진 않으며, 오히려 부족한 출력 때문에 선회 기동을 겨우겨우 구사하는 듯한 기분이 든다.

이런 이유로 차라리 속도가 느린 단점을 최대한 활용해주는 것이 좋다. 교전시 착륙 플랩을 100%로 완전히 펼치고 선회할 경우 안그래도 느린 속도가 더 느려지기 때문에 적기들이 IAR 전투기와의 선회를 유지 못하고 앞으로 튕겨 나가게 된다. (...) IAR 전투기를 조종하는 입장에서는 더 느려진 속도로 선회 기동을 유지하느라 죽어나갈 맛이지만, 그래도 적기의 6시 방향을 어찌저찌 빼았을 수 있어서 저속 선회 전투라면 어느정도 승산을 기대해볼 수 있다. 물론, 상대편 유저가 저속 선회 기동을 받아주지 않고 상승해버리거나 상승 기동을 섞은 하이 요요(high yo-yo) 기동을 구사해버리면 느려진 속도 때문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으므로 무작정 플랩을 다 펼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상황을 잘 보고 판단하도록 하자.

문제는 허리케인 전투기인데... 똑같은 저속 기체이지만 허리케인 전투기의 경우 엔진 출력이 더 우수한 데다가 선회 성능 마저도 압도적으로 더 좋다보니 기습 공격 외에는 사싱상 이길 방법이 없다. 허리케인 전투기가 등장한다고 예상될 경우 최대한 고도를 높인 상태에서 기습 공격을 하도록 노력하자.

이외의 단점으로는 과급기가 존재하지 않는 탓에 고도 3,000 m 부근부터 엔진 성능이 감소되기 시작하고, 조종석이 좁아서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 조종석 정면에 후방 거울이 장착돼있긴 하지만 각도가 어중간한 탓에 후방으로 접근하는 적기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편. 그리고 엔진 배기연이 심한 탓에 적기에게 발각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엔진 출력을 700 mmHG 이하로 낮추면 배기연이 많이 줄어들긴 하지만 비행속도가 더 느려지기 때문에 적기의 급습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연료를 아껴야하거나 적기의 출몰이 예상되지 않는 구간에서만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마지막으로 엔진 온도 계기는 오일 온도 계기만 장착돼있는데 오일 라디에이터가 따로 존재하지 않아서 카울 플랩으로 오일 온도를 조절해야 한다. 20mm 기관포를 장착할 수 있는 형식들은 오일 라디에이터가 추가돼서 오일 온도를 조절하기 수월해지지만, 그렇다고 카울 플랩을 완전히 닫고 날아서는 절대 안된다. 카울 플랩을 닫을 경우 실린더 헤드가 과열돼서 엔진이 고장나버리기 때문. 문제는 IAR 전투기에는 실린더 헤드 온도 계기가 없기 때문에 엔진 상태를 가늠할 수가 없다. (...) 이런 이유로 오일 라디에이터가 있더라도 가능한 사용하지 말고 카울 플랩을 이용해서 오일 온도를 조절해볼 것을 추천한다. 카울 플랩으로 오일 온도를 조절할 경우 실린더 헤드 온도도 덩달아 조절되기 때문에 과열로 엔진이 고장나는 경우가 거의 사라진다. (물론,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오일 라디에이터를 적극적으로 개방해야 한다.)

기술력이 부족한 환경에서 제작된 기체인 만큼 강대국들의 항공기들에 비해 다소 모자란 성능을 지녔기 때문에 구입 가치는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다. 그래도 복잡한 엔진 운용 난이도 때문에 조종하는 재미는 높은 편이고, 느린 속도를 활용한 선회 전투를 이용하면 야크 전투기와도 겨뤄볼 만하기 때문에 개전 초기 독소전 배경이라면 나름대로 써먹을 구석은 있다. 운용 난이도가 높은 P-40 E-1 전투기와 MC.202 전투기와 비슷한 가치를 지닌 셈. (...) 가능하다면 할인 기간을 노리고 구입하도록 하자.

3.1. 제원

  • 실전 투입: 1941년 여름-가을
  • 최대 강하 속도: 750 km/h
  • 최대 하중 계수: 12 G
  • 해수면 최고 속도 - 정격 출력: 425 km/h
  • 해수면 최고 속도 - 전시 긴급 출력: 444 km/h
  • 고도 4,700m 최고 속도 - 정격 출력: 505 km/h
  • 고도 3,800m 최고 속도 - 전시 긴급 출력: 511 km/h
  • 최대 상승 한도: 10,500 m
  • 상승률: 정격 출력
    • 해수면 고도에서 상승률: 14.1 m/s
    • 3,000m 고도에서 상승률: 13.6 m/s
    • 6,000m 고도에서 상승률: 9.7 m/s
  • 선회 시간: 전시 긴급 출력
    • 해수면 고도, 최대 선회 성능: 17.8 초, 300 km/h (계기 지시 속도)
  • 엔진: I.A.R. 14 K. IV. C-32
  • 엔진 출력 등급:
    • 순항 출력 (무제한): 2,300 RPM, 850 mmHG
    • 전시 긴급 출력 (3분): 2,300 RPM, 935 mmHG
  • 정상 오일 온도: 40~110 ℃
  • 최대 오일 온도: 120 ℃
  • 자체 중량: 1,980 kg
  • 최소 중량 (탄약 없음, 연료 10%): 2,293 kg
  • 표준 중량: 2,650 kg
  • 이륙 최대 중량: 3,030 kg
  • 연료 탑재량: 324 kg / 450 L
  • 장비 중량: 1,050 kg
  • 무장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6정: 각각 400 발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4정: 각각 400 발(개조사항)
  • FN 브라우닝 13.2mm 기관총 x 2정: 각각 150 발(개조사항)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2정: 각각 700 발(개조사항)
  • MG151/20 20mm 기관포 x 2문: 각각 175 발(개조사항)

3.2. 개조사항

  • I.A.R. 81 series 151-175: 장착대 20 kg 중량 증가, 32 km/h 속도 손실, 폭탄 투하시 13 km/h 속도 손실.
    • 급강하 폭격기로 개수하는 개조사항. 꼬리 날개 지지대가 추가되고, 착륙 플랩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동체 아래에는 Ju87 슈투카처럼 프로펠러 날을 피해서 폭탄을 투하하는 장치가 설치되고 주익에는 SC50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 폭탄 장착대가 설치된다. 폭격시 투하 장치를 먼저 활성화시켜야 한다.(기본 단축키 : 'N') 기본적으로 249 kg 폭탄 1발과 55 kg 폭탄 2발을 장착한다.
    • SC50 폭탄 x 2발: 총 폭탄 무게 110 kg.
    • SC250 폭탄 x 1발: 총 폭탄 무게 249 kg.
  • I.A.R. 80-B series 181-200
    • 7.92mm 기관총 2정을 13.2mm 중기관총 2정으로 교체한다. 꼬리 날개 지지대가 추가되고, 착륙 플랩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14.7 kg 중량 증가, 1 km/h 속도 손실.
  • I.A.R. 80-M
    • 1944년 중반에 기존 기체들의 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관포를 장착한 형식이다. 7.92mm 기관총 2정과 MG151/20 20mm 기관포 2문이 장착된다. 꼬리 날개 지지대가 추가되고, 착륙 플랩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이외에도 신형 에어 필터와 함께, 수동으로 조작하는 오일 라디에이터와 후기형 머리 받침대가 설치된다. 62.2 kg 중량 증가, 9 km/h 속도 손실.

4. I.A.R. 80-B

파일:iar80b.jpg
  • 콜렉터 플레인 DLC로만 구입 가능한 기체
  • IAR 80-A & 80-B DLC 구입시 2종류의 IAR-80 전투기가 추가된다.[14]

IAR 80B 전투기의 중기형 사양. 고고도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익의 길이가 11 cm 증가됐고, 엔진 카울링의 크기가 커지면서 기체의 길이가 7 cm 증가했다. 이외에도 기체의 내구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13.2 mm 중기관총의 탄약이 각각 175 발로 증가하는 등 소소한 변경 사항들이 생겼다.

이러한 사항들을 볼 때 정확한 명칭은 IAR 80B 212-230 형식의 사양이 구현된 것으로 추정된다. IAR 80A 전투기의 개조사항에서도 동일한 무장을 사용하는 B 형식으로 개조할 수 있지만, 해당 사양은 181-200 형식으로 단순히 A 전투기의 형태에서 무장을 비롯한 몇몇 변경 사항만 적용된 구형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13.2 mm 기관총의 탄약이 적거나 기체 성능이 조금 다른 등 세부적인 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작성 중입니다.)

4.1. 제원

  • 실전 투입: 1942년 가을
  • 최대 강하 속도: 750 km/h
  • 최대 하중 계수: 12 G
  • 해수면 최고 속도 - 정격 출력: 427 km/h
  • 해수면 최고 속도 - 전시 긴급 출력: 447 km/h
  • 고도 4,700m 최고 속도 - 정격 출력: 505 km/h
  • 고도 3,800m 최고 속도 - 전시 긴급 출력: 511 km/h
  • 최대 상승 한도: 10,500 m
  • 상승률: 정격 출력
    • 해수면 고도에서 상승률: 13.9 m/s
    • 3,000m 고도에서 상승률: 13.1 m/s
    • 6,000m 고도에서 상승률: 9.4 m/s
  • 선회 시간: 전시 긴급 출력
    • 해수면 고도, 최대 선회 성능: 17.8 초, 300 km/h (계기 지시 속도)
  • 엔진: I.A.R. 14 K. IV. C-32
  • 엔진 출력 등급:
    • 순항 출력 (무제한): 2,300 RPM, 850 mmHG
    • 전시 긴급 출력 (3분): 2,300 RPM, 935 mmHG
  • 정상 오일 온도: 40~110 ℃
  • 최대 오일 온도: 120 ℃
  • 자체 중량: 2,093 kg
  • 최소 중량 (탄약 없음, 연료 10%): 2,522 kg
  • 표준 중량: 2,745 kg
  • 이륙 최대 중량: 3,030 kg
  • 연료 탑재량: 324 kg / 450 L
  • 장비 중량: 1,050 kg
  • 무장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4정: 각각 400 발
    • FN 브라우닝 13.2mm 기관총 x 2정: 각각 175 발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4정: 각각 400 발(개조사항)
  • MG FF 20mm 기관포 x 2문: 각각 60 발(개조사항)
  • FN 브라우닝 7.92mm 기관총 x 2정: 각각 700 발(개조사항)
  • MG151/20 20mm 기관포 x 2문: 각각 175 발(개조사항)

4.2. 개조사항

  • I.A.R. 80-C series 251-290: 24.2 kg 중량 증가, 12 km/h 속도 손실.
    • 주익에 7.92mm 기관총 4정과 MG FF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한다. 꼬리 날개 지지대가 추가되고, 동체와 착륙 플랩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이외에도 신형 에어 필터와 함께, 수동으로 조작하는 오일 라디에이터가 설치된다. MG FF 기관포의 탄창 용량은 각각 60발이고 미넨게쇼스탄 대신 일반 고폭탄이 적재된다. MG151/20 기관포에 비해서 화력과 교전 지속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선택해야 한다.
  • I.A.R. 80-C series 301-450: 총 426.7 kg 중량 증가(장착대 중량 20 kg), 41 km/h 속도 손실, 폭탄 투하시 19 km/h 속도 손실.
    • 전투 폭격기로 개수하는 개조사항. 주익에 7.92mm 기관총 2정과 MG151/20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한다. 동체 아래에는 Ju87 슈투카처럼 프로펠러 날을 피해서 폭탄을 투하하는 장치가 설치되고 주익에는 SC50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 폭탄 장착대가 설치된다. 폭격시 투하 장치를 먼저 활성화시켜야 한다.(기본 단축키 : 'N') 기본적으로 249 kg 폭탄 1발과 55 kg 폭탄 2발을 장착한다. 꼬리 날개 지지대가 추가되고, 착륙 플랩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이외에도 신형 에어 필터와 함께, 수동으로 조작하는 오일 라디에이터가 설치된다.

5. 특이 사항

  • IAR 80 전투기에는 가변 피치 프로펠러(Variable pitch propeller)가 장착돼있다. 가변 피치 프로펠러란 조종사가 프로펠러 날의 각도를 일일이 바꿔주는 방식이다. 전작인 IL-2 Cliffs of Dover에서 등장하는 Bf109 E-3 전투기가 이러한 방식을 사용했는데, 조종사는 항공기의 속도가 변할 때마다 프로펠러 날의 각도를 수동으로 변경해서 적정 회전수를 유지해야 한다. 저속에서 빠르게 가속하거나 상승해야 할 때에는 프로펠러 피치 날의 각도를 낮춰서(0%) 엔진 회전수를 높여야 하고, 반대로 고속으로 비행하거나 강하할 때는 프로펠러 피치 각도를 높여서(100%) 엔진 회전수를 적정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 프로펠러 날의 각도를 비행 속도에 맞춰서 일일이 변경해야하는 탓에 고정적인 회전수를 유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비행하는 내내 피치 레버를 계속 조작해줘야한다.(기본 단축키: 오른쪽 쉬프트(shift) + '+/-')
  • 엔진 회전수 계기는 조종석 정면 좌측에 배치돼있다. 항공기의 속도가 변할 때마다 회전수가 바뀌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엔진 회전수가 2,300 RPM를 초과해서 과회전될 경우 엔진이 고장날 위험이 발생한다. 경험상 2,400 RPM 이상으로 가속할 경우 엔진 소리가 시끄럽게 요동치기 때문에 이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프로펠러 피치를 조절하면 된다.
  • IAR 80 전투기에는 엔진의 온도를 나타내는 실린더 헤드 온도(CHT) 계기가 없다.
  • 엔진 오일 온도를 나타내는 계기만 존재하기 때문에 엔진 오일 온도를 보면서 카울 플랩을 조절해야 한다.
  • IAR 80-A형과 B형은 엔진 오일 온도를 조절하는 오일 라디에이터 장치가 없다. IAR80 M형과 C형은 엔진 오일 라디에이터가 설치된 덕분에 오일 온도를 따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린더 헤드 온도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오일 라디에이터는 최대한 닫고 카울 플랩만 이용해서 오일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추천한다.(엔진 오일 온도를 바탕으로 실린더 헤드 온도를 예상해야하기 때문이다)
  • 기체 자세를 제어하는 트림 장치는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승강타(elevator) 트림이 장착돼있다.
  • 연료 혼합 비율(Mixture) 장치는 자동으로 작동한다. 연료 혼합 비율이 0%인 상태에서도 시동이 걸리거나 시동이 꺼지지 않는 모습을 보면 믹스쳐 레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무조건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혼합 비율이 0%인 상태에서는 엔진 발열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레버의 위치를 기준으로 연료 비율이 자동으로 더 많아지거나 더 적어지는 방식으로 조절되는 듯 하다.
  • 연료 혼합 비율(Mixture)의 최적 설정은 믹스쳐 레버를 중간으로 설정한 50% 구간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50%로 설정하고 연료 소모율을 줄여야할 경우에는 믹스쳐를 조금씩 낮추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교전시 엔진의 온도가 크게 증가할 경우에는 믹스쳐 레버를 끝까지 밀어서 엔진 온도를 최대한 낮출 것을 추천한다.
  • 연료 소모율을 눈대중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엔진 배기연을 보면서 판단하면 된다. 엔진 배기연이 줄어들 수록 연료 소모율이 줄어든 상태이고, 엔진 배기연이 심해질 수록 연료 소모율이 높아진 상태다. 연료 소모율이 낮아진 상태에서는 엔진 발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엔진 온도에 신경쓰면서 연료 혼합 비율을 조절해야 한다. 순항 비행시에는 엔진 배기연을 최대한 줄여서 연료 소모율을 줄임과 동시에 적기에게 발각되지 않는 방향으로 조작하고, 전투 상황에서는 믹스쳐 레버를 끝까지 밀어서 자동으로 동작시키면 된다.
  • 착륙 플랩은 유압으로 작동되며 A형과 M형은 최대 60도, B형과 C형은 최대 75도까지 전개할 수 있다. 급강하 폭격기인 IAR 81 형식에서는 플랩을 완전히 펼쳐서 에어 브레이크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폭탄 투하 장치를 활성화하면 자동으로 플랩이 완전히 펼쳐진다.) 플랩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는 따로 없지만 주익을 보면 플랩이 얼마나 전개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착륙 바퀴 브레이크는 차동 공압 방식으로 작동된다. 브레이크를 잡으면 양쪽 바퀴의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지만, 좌측 방향타를 밟아서 방향을 전환하면 우측 바퀴의 브레이크가 서서히 풀리면서 방향을 부드럽게 전환할 수 있다. 우측 방향타를 밟을 경우에는 반대로 좌측 바퀴의 브레이크가 서서히 풀린다.
  • 연료 계기는 정수압(hydrostatic)으로 작동한다. 남아있는 연료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흡입 장치(sucker) 레버를 눌러서 확인해야 한다. 연료 확인 단축키는 다음과 같다. (기본 단축키: 오른쪽 쉬프트(shift) + 'i')
  • 폭탄을 투하하기 위해서는 폭탄 투하 장치를 먼저 활성화해야 한다. 게임에서는 폭탄 격납문(Bomb door) 단축키와 동일한 단축키를 사용한다.(기본 단축키: 'N') 폭탄 투하 장치를 활성화할 경우 동체 아래에 장착된 폭탄 장착대가 전개되면서 프로펠러 날 아래로 폭탄을 투하할 수 있게 된다. 폭탄을 투하한 후에는 수동으로 접어줘야 한다. 투하 장치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주익에 장착된 폭탄들도 투하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투하 장치를 활성화해야 한다.
  • 폭탄 투하 장치를 활성화하면 착륙 플랩은 에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완전히 전개된다. 폭탄을 투하하거나 투하 장치를 비활성화하면 착륙 플랩은 자동으로 접힌다.
  • IAR 81 전폭기의 폭탄 투하 장치는 일제 투하 방식과 동체 중앙의 폭탄만 따로 투하하는 2가지 폭격 방식을 지원한다.
  • IAR 80 전투기에는 영국의 광학 조준경이 장착돼있으며, 이 덕분에 적기의 주익 길이와 현재 무장의 영점 거리를 입력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현재 무장의 영점 거리가 300m로 설정돼있을 경우, 광학 조준경의 거리 항목을 328 야드로 설정하고 적기의 주익 길이 항목에는 야크 전투기의 주익 길이인 32ft로 설정하면, 조준경의 양쪽 눈금이 적기의 실제 주익 길이와 동일해진다. 만약 적기의 주익 양쪽 끝이 조준경의 양쪽 눈금과 정확히 일치할 경우에는 야크 전투기가 전방 300m 지점에서 비행하고 있다는 뜻이며, 이때 발사하는 탄환은 전부 야크 전투기의 정 중앙에 명중하게 된다.
  • IAR 81 전폭기의 광학 조준경에는 폭격용 조준기로 전환하는 기능이 있다. 광학 조준경 조절 단축키(기본 단축키: 오른쪽 알트(Alt) + 'F')를 누루면 공중전과 폭격용 조준기로 전환한다. 조준경 좌측의 레버가 M으로 표시돼있으면 공중전 상황에서 사용하는 기관총 영점이 선택된 상태고, B로 표시돼있으면 폭탄 투하용 영점으로 전환된 상태다.
  • 광학 조준경과 자이로 조준경에는 슬라이드 형식으로 작동하는 썬 필터(Sun filter)가 장착돼있다. 태양을 바라보고 사격해야할 경우 외에는 딱히 사용할 일이 없다.(기본 단축키: 왼쪽 알트(Alt) + 'F')

[1] 동체 길이가 짧은 버전, 동체 길이가 연장된 버전[2] 스핏파이어와 허리케인 전투기에서 사용된 조준경이다.[3] 개조사항에서 독일제 기관포들을 장착할 경우 독일제 잔탄 지시계가 추가된다.[4] 단, 비행에 필요한 단위는 전부 미터법이고 광학 조준경에만 제국 단위계가 사용된다.[5] 이외에도 엔진 카울링과 꼬리 부분은 폴란드의 PZL P.24 전투기의 설계를 이용했다.[6] CP Goerz사는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병합된 상황에서도 면허 생산의 의무를 잊지 않고 영국에 광학 조준경들을 납품한 일화가 있다.[7] 과거에는 IAR 전투기의 주익 설계가 이탈리아의 SM.79 폭격기의 주익을 바탕으로 제작됐다는 가설도 있었지만 해당 정보는 거짓으로 판명됐다.[8] 전쟁 발발 이전의 야크 전투기들은 IAR 전투기와 동일한 1,050 마력의 엔진이 장착됐지만 전쟁이 발발한 41년 무렵에는 1,200 마력의 엔진을 장착한 형식이 양산됐다. 게임에서 등장하는 42년형 야크 전투기들은 1,260 마력의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9] 프로펠러 피치 레버 또한 독일의 Bf109 E-3 전투기와 동일한 부품이 사용됐다.[10] 전작에서 구현된 Bf109 E-3 전투기의 경우 엔진 성능이 좋았던 덕분에 엔진 회전수를 설렁설렁 조절해도 충분히 우위를 지닐 수 있었지만, IAR 전투기의 경우에는 상대해야하는 기종들의 성능이 압도적으로 더 우월하기 때문에 프로펠러 피치 레버를 정말 시도때도없이 조작해줘야 한다.[11] 조종석 뒤쪽에 방탄판이 장착된 Il-2 공격기는 그냥 격추를 포기하는 것이 좋다.[12] 사실 게임에서 구현된 다른 항공기들도 폭탄 투하시 기관총이나 기관포를 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2차대전 당시의 항공기들은 무장 발사 버튼이 폭탄 투하 기능을 겸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13] 물론, 라이트닝 전투기의 선회 성능이 결코 나쁜 것은 아니다. 게임 내의 기체 재원에 나와있는 P-38 전투기의 선회 시간은 WEP 사용시 20.5초이며, P-51D 전투기의 선회 시간은 WEP 사용시 20초일 정도로 쌍발기 치고는 선회 성능이 우수한 편이다. 전투 출력을 사용한 Bf109 G-6 전투기의 선회 시간은 21.5초로 역시 큰 차이가 없다. 그 반면에 IAR 전투기의 선회 시간은 WEP 사용시 17초로 선회 성능 자체는 꽤 좋은 편이다. 단지 엔진 출력이 너무 부족해서 날렵한 선회 기동을 구사하기가 어려울 뿐...[14] 동체 길이가 짧은 버전, 동체 길이가 연장된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