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FPX/리그 오브 레전드|FPX/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FunPlus Phoenix 역대 시즌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8 | 2019 ★★☆ | 2020 ☆ | 2021 ☆☆☆ | 2022 ☆ |
2023 | 2024 | 2025 |
FunPlus Phoenix의 역대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개요2. 2025 LoL Pro League Split 13. 2025 LoL Pro League Split 24. 2025 LoL Pro League Split 35. 시즌 총평6. 팀별 둘러보기
1. 개요
FunPlus Phoenix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1.1.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2024 시즌 종료 후 덕라 듀오와 밀키웨이가 팀을 떠났다. 덤으로 싱예와 샤오라오후와의 계약도 종료되었다.
이후 쉬어와 즈웨이를 영입하고, 소로우를 콜업, 뱃을 영입하면서 쉬어/소로우/케어/뱃/즈웨이의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데마시아 컵에서도 풀 주전으로 출전했지만 3전 전패로 광탈했다. 특히 BLG.J는 말이 2군이지 BLG가 데마시아 컵에 1군을 출장시키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사실상 BLG 로스터에 2군, BLG.J 로스터엔 3군이 참여한 것과 마찬가지인 상황이라 그런 팀에게 패배한 점에서 다음 시즌의 경기력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이 조금 있는 상황이다. 물론 데마시아 컵은 LCK로 치면 케스파컵보다 조금 나은 정도의 위상을 가진 정도니 너무 진지하게 볼 필요는 없기는 하다만, 하오예와 러러, 씽예가 데마시아컵의 선수로 참가했을 때에도 데마시아컵과 시즌을 다 날려먹었고, 심지어 그 때의 시즌은
일단은 데마시아컵 이후 섀도우를 영입한다는 루머가 떴고, 그때 본인들이 해커와 치우치우로 어떻게든 수습을 한 것처럼 수습에 나서고는 있다는 썰이 있다. 그리고 12월 25일, 진짜로 섀도우의 영입이 확정되었다.
2. 2025 LoL Pro League Split 1
춘절 휴식기 전까지는 딱 1경기만 했다. 상대는 RNG였고 결과는 1:3으로 패배. 섀도우는 내부 주전경쟁에서 밀린 건지 기껏 영입해 놓고도 출전을 안 시켰는데, 다음 경기부터는 섀도우만 나온 걸 보면 그건 아니었던 모양.춘절 휴식기 후 NIP와 IG를 상대했고, 두 경기 모두 0:3 패배를 거두면서 전패와 함께 스플릿 1을 마쳤다.
스플힛 1 종료 이후 소로우, 뱃을 내보내고 어썸을 영입했다.
3. 2025 LoL Pro League Split 2
그룹 스테이지에선 C조에 들어갔고, TES, NIP, OMG가 상대가 되었다. TES와 NIP에게 패배하고 OMG에게 승리를 기록해 1라운드 성적은 1승 2패가 되었다. 2라운드에서는 TES와 OMG에게 내리 패배해 OMG와의 타이브레이크 멸망전으로 몰릴 위기에 처했지만, 마지막 상대인 NIP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타이브레이크 없이 OMG를 열반조로 보내버리고 정상 승격전에 진출하게 되었다.정상 승격전에는 LGD를 먼저 상대하게 되었으며, 서로 치고받는 싸움을 펼치면서 신중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28분대에 미포궁의 활약과 분위기를 가져오며 화염용 영혼과 바론버프를 챙기며 승리와 함께 승자전으로 향했다.
승자전에서는 UP를 만났다. 1세트에서는 초반부터 주도권을 잘 잡으면서 기세를 이어갔고, 21분대에 아타칸 전투에서 한번 미끄러지는 위기를 겪었지만 상대의 화염용 미끼를 잘 물면서 31분만에 1세트를 선취했다. 이어지는 2세트에서는 상대 카밀과 아칼리의 맹공으로 일방적으로 휘말리며 패배를 당했지만 3세트에서 쉬어의 케넨이 12/0/8로 하드캐리로 매드 무비를 찍으면서 압승, 아홉 번째로 등봉조에 입성하게 되었다.
등봉조 최약체로 예상된 만큼 이변 없이 4연패로 1주차를 마쳤지만, 2주차부터 웨이보-JDG-NIP를 연이어 이기면서 의외의 저력을 보이고 있다. 거기에 3주차에 WE에게 진 뒤 4주차에 BLG를 잡아내는 등 지속적으로 이변을 만들어내고 있다.
4. 2025 LoL Pro League Split 3
5. 시즌 총평
6. 팀별 둘러보기
| |||
| | | |
BLG | TES | LNG | WBG |
| | | |
JDG | NIP | AL | FPX |
| | | |
WE | LGD | TT | OMG |
| | | |
IG | EDG | UP | RNG |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