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colcolor=#07f468> 기능 | 공식 경기 · 클래스 · 특성 · 강화 · 클럽 · 팀컬러 · 이적시장 |
시스템 | 조작법 · 대사 · 사운드트랙 | |
e스포츠 리그 | FSL | |
관련 인물 | 박정무 · 박상원 | |
논란 및 사건 사고 | 논란 및 문제점 · 사건 사고 | |
기타 | 출시 전 정보 · 유튜브 채널 | }}}}}}}}} |
| |||
<colbgcolor=#C70506,#C70506><colcolor=#000,#000> FC 온라인 슈퍼 챔피언스 리그 FC ONLINE SUPER CHAMPIONS LEAGUE | |||
정식 명칭 | FC 온라인 슈퍼 챔피언스 리그(2025~ ) | ||
출범 연도 | 2020년 ([age(2020-01-01)]주년) | ||
지역 |
| ||
운영 주체 | 넥슨 | ||
메인 컬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서브 컬러 보기 ] | ■ ■ ■ ■ ■ ■ ■ ■ ■ |
약칭 | FSL | |
스폰서 | SOOP, BenQ | |
중계 | SOOP, 유튜브 | |
경기장 | 잠실 DN 콜로세움 (2025~) | |
최근 우승팀 | FTB | GEN CITY (2025 서머) |
최다 우승팀 | GEN CITY (2회) | |
최근 우승자 | FSL | wonder08 (2025 스프링) |
최다 우승자 | wonder08 (1회) | |
하위 대회 | FC 온라인 퓨쳐스 리그 (FFL) | |
링크 | ||
|
1. 개요
2025 FSL: 리그 개편 안내 |
FSL 리그(대한민국의 FC 온라인 최상위 e스포츠 리그)는 2025년부터 넥슨이 FC 온라인 e스포츠를 새롭게 개편하면서 기존 eK리그 챔피언십이 사라지고 등장한 리그로 FTB 2회, FSL 2회, 연간 총 4회의 대회가 진행된다
2. 슬로건
|
하나에서 시작된 단 하나의 이야기가 '너'와 '나'를 하나로 만들고, 하나된 우리는 다시 새로운 단 하나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며 서로 연결된다. |
3. 참가팀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70506,#C70506> | FS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C70506;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GEN CITY | DRX | Dplus KIA | DN FREECS | |
| | | | |
T1 | kt Rolster | Nongshim RedForce | BNK FEARX | }}}}}}}}} |
3.1. 참가팀 로스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온라인 슈퍼 챔피언스 리그/참가팀 로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온라인 슈퍼 챔피언스 리그/참가팀 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대회 일정
<colbgcolor=#000,#000><colcolor=#C70506,#C70506> | <rowcolor=#000,#000>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
GLOBAL | <nopad><keepall> FC PRO MASTERS | <nopad><keepall> FC PRO CHAMPIONS CUP | <nopad><keepall> FC PRO FESTIVAL | |||||||
PRO | <nopad> FTB SPRING | <nopad> FSL SPRING | <nopad> FTB SUMMER | <nopad> FSL SUMMER | ||||||
SEMI | <nopad> FFL SPRING | <nopad> FFL SUMMER |
5. 역대 기록
5.1.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70506><tablebgcolor=#C70506> | FSL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7050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SL TEAM BATTLE | |||
2025 스프링 | 서머 | 2026 | 2027 | 2028 | |
FC ONLINE SUPER CHAMPIONS LEAGUE | ||||
2025 스프링 | 서머 | 2026 | 2027 | 2028 | |
← eK리그 역대 대회 |
5.2. 역대 우승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70506><tablebgcolor=#C70506> | FTB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SL TEAM BATTLE | |||
<rowcolor=#C70506> 2025 스프링 | 2025 서머 | 2026 | ||
Gen.G ★ | GEN CIT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70506><tablebgcolor=#C70506> | FTB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000> 시즌 | 우승팀 | 선수 |
FSL TEAM BATTLE | |||
2025 스프링 | | RILLA · Crong · Chase · wonder08 | |
2025 서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70506><tablebgcolor=#C70506> | FSL 역대 우승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C ONLINE SUPER CHAMPIONS LEAGUE | |||
<rowcolor=#C70506> 2025 스프링 | 2025 서머 | 2026 | ||
wonder08 고원재 GEN ★ |
TOP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역대 FTB 보기 ] | <rowcolor=#C70506,#C70506>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2025 스프링 | <colbgcolor=gold,#7f6b00> Gen.G | <colbgcolor=silver,#606060> Nongshim RedForce | <colbgcolor=#bd9424,#400004> DN FREECS | <colbgcolor=#f0e68c,#807005> Dplus KIA | |
2025 서머 | GEN CITY | DRX | Dplus KIA | DN FREEC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역대 FSL 보기 ] | <rowcolor=#C70506,#C70506>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2025 스프링 | <colbgcolor=gold,#7f6b00> GEN [[고원재(프로게이머)| wonder08 ]] | <colbgcolor=silver,#606060> T1 [[강준호(프로게이머)| Ofel ]] | <colbgcolor=#bd9424,#400004> DNF Shype | <colbgcolor=#f0e68c,#807005> DK [[파타나삭 바라난| JUBJUB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역대 FSL 보기 ] | <rowcolor=#C70506,#C70506> 선수 | 진출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wonder08 | 1회 | 1회 | 0회 | 2025 스프링 | ||
Ofel | 1회 | 0회 | 1회 | 2025 스프링 |
6. 특징
eK리그 챔피언십과 달라진 점 중 하나로는 우선 리그가 프랜차이즈화되었다는 점이다. 기존 eK리그 챔피언십은 다수의 준프로와 아마추어 팀이 승강전을 통해 최상위 프로 리그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리그의 장기적인 운영 관점에서는 승강전으로 인해 안정적인 리그 및 팀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프랜차이즈 리그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2025년 기준으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참여 구단으로도 유명한 DRX, BNK FEARX, DN 프릭스, kt 롤스터, Gen.G, Dplus KIA, T1, 농심 레드포스 등 총 8팀이 FSL에 참여한다.[1]그리고 기존의 팀 단위로 경쟁했던 eK리그 챔피언십과는 달리 FSL에는 모든 선수가 개인전으로 참여한다. 따라서 같은 팀의 동료 또한 결과적으로는 잠재적인 경쟁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FSL 팀 배틀'이라는 팀간 경쟁 대회 또한 별도로 존재한다. FSL 팀 배틀을 통해 선수는 경쟁 팀과 자신의 전력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한 FSL 팀 배틀은 FC PRO 출전팀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1년 동안 FSL 팀 배틀 2회, FSL 2회 총 4회의 FSL 공식 대회가 개최된다. 8개 팀이 각 4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총 32명의 선수가 참가, 최정상의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상금 규모도 연간 4억 원에서 20억 원으로 5배 증가하였다.
전신 eK 때도 그랬지만, 게임 내 선수들이 실제 게임단 유니폼을 착용한다. 게임단 중 유니폼이 두 종류 이상을 착용 및 판매하는 팀들은 해당 유니폼이 모두 퍼스트와 세컨드 유니폼으로 반영되며, 하나만 제작하는 팀들은 색변환 유니폼을 세컨드로 사용한다.
7. 관련 문서
[1] LCK에서만 프로게임단이 활동하는 한화생명e스포츠, OK저축은행 브리온을 제외한 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