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9:33:31

Evil Geniuses/리그 오브 레전드/2022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vil Geniuses L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1220> 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Evil Geniuses LG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0c122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Evil Geniuses 2019 2020 2021 2022
2023
Evil Geniuses LG 2023
}}}}}}}}} ||
Evil Geniuses의 역대 시즌
2021 시즌 2022 시즌 2023 시즌

[clearfix]

1. 개요

Evil Geniuses의 2022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1.1. 프리시즌

시즌 종료 후 이번 시즌 올 프로 퍼스트까지 꼽히며 맹활약한 지주케를 과감하게 방출하는 것으로 스토브를 시작했다.

이후 미드로 04년생 신예 조조편, 정글러로 LEC 최상위권이라는 평을 듣고 있는 로그의 인스파이어드, 그리고 서포터로 C9에서 좋은 활약을 선보인 벌컨을 영입해오면서 임팩트 - 인스파이어드 - 조조편 - 대니 - 벌컨으로 이어지는 꽤 막강한 라인업을 구성하였다. 미드 라이너인 조조편이 의문이긴 하지만 탑인 임팩트 역시 제 몫은 해줄 수 있는 선수인 것에 더해 롤드컵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인 인스파이어드와 북미 로컬 서포터 중 최상위권의 클래스로 취급받는 벌컨을 공수해옴으로써 100, TL과 더불어 우승 경쟁을 할 수 있는 라인업급이라는 평가가 많다. 매번 2순위 차이로 놓쳤던 월드 챔피언십 출전기회를 이번에야말로 잡을 수 있을지도 관전포인트.

1.2. LCS 스프링 2022

새로운 북체봇듀오 아니냐는 대니-벌컨의 로컬조합을 데리고도 1라운드 4승 5패 공동 6위라는 충격적인 성적을 냈다.

아직 리그 적응이 끝나지 않은 조조편과 노쇠화의 임팩트 솔로라인 듀오도 아쉽지만, 인스파이어드의 메타 및 리그 적응력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좋지 않다. 용병 자리를 하나 비우고 있어서 솔로라인의 파괴력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해도, 조조편은 북미 천룡인 서버 1위를 기록할 정도의 재능을 종종 번뜩임으로 보여주고 임팩트도 흔한 로컬 탑솔러 1로 놓았을때 아직 경쟁력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직전 정규시즌 유체정이라던 인스파이어드를 떠나보낸 로그 입장에서 이적생 말랑이 갱 원패턴이고 콤프가 적어도 한스사마와 동급은 아닌데도 여전히 팀이 잘나가다 보니, 인스파이어드 거품설과 로그 라이너 희생설이 퍼지는 중.

그나마 팀은 타이브레이커 끝에 플레이오프 승자조에 합류하긴 했으나 슈퍼팀이라는 네이밍에 걸맞지 않은 아쉬운 성적 탓에 팬들로부터 좋은 소리를 듣진 못하고 있다.

승자조 1라운드 TL전에서 저력을 선보이며 5꽉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하지만 우승 후보 중 한 팀으로 평가받았던 리퀴드를 몰아붙인 만큼 패자조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은 사실이다.

패자조 1라운드에서 플라이퀘스트를 3:1로 격파하며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고 패자조 2라운드에서 C9를 3:0으로 완파하며 최종전으로 향했다. 플레이오프 막판에 폼이 제대로 올라왔다는 평이 많다.

패자조 결승에서도 드림팀 TL을 3:0으로 셧아웃시키며 승자조 1라운드의 복수를 하는데 성공한다.

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 100T를 상대하게 되었고, 우위의 팀 합과 팀파이트 능력을 앞세워 3-0 완승, 창단 첫 우승을 거머쥐면서 MSI에 진출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 전까지만 해도 조조편의 적응이 덜 된 것과 더불어 인스파이어드의 부진으로 인해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올렸지만 플옵에 들어와 매서운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더니 무려 세트 11연승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MSI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특히 결승전에서 단단한 팀 합을 과시하는 백도둑을 상대로 오히려 우위에 있는 합과 눈부신 팀파이트 능력을 과시한 게 호재.

파일:aaf8a05641fcb63b25172ca720a5c24c0a5e5639ba02de78d1afa814e6.jpg

1.3. 2022 Mid-Season Invitational

파일:2022 MSI EG.png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 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
G2 EG ORD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G2, 오더와 한 조가 되었고 G2에게 전패, 오더에게 전승을 거두며 4승 4패 반타작을 하며 럼블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우려되었던 상체의 폼은 나쁘지 않지만 기대받았던 바텀듀오의 부진이 크다.

LCS에서 어나더레벨 소리를 듣든, 압도적인 기세로 우승을 하든, 도장깨기로 우승을 하든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을 국제무대에서 또 다시 증명하고 있다. C9, TSM, EG, TL 등등 그 어떤 팀이 우승을 하더라도 LCS 우승팀의 기량은 잘 쳐줘야 LCK, LPL 중하위권 팀 혹은 LEC 중위권 팀 수준에 불과하지만 북미라는 큰 시장 때문에 수준이 낮은 선수에게도 수억~수십억의 연봉을 개나소나 퍼주는 리그의 특성상 앞으로도 딱히 변할 일이 없어 보이는 상황.

럼블 스테이지에서도 얼추 비슷한 모습이다. 마이너 팀들을 상대로는 손쉽게 승리하지만 메이저 지역들을 상대로는 벌칸의 엄청난 경기력 덕분에 승리하지 못하는 중. 그렇게 계속 5할 승률을 이어가던 도중 T1전에서 상대의 운0을 받아먹는 데 성공하며 드디어 메이저 지역을 상대로 첫 승을 거뒀다.

그 이후에는 빡겜 모드의 RNG에게 대차게 깨졌지만 4강행 막차 경쟁 상대였던 PSG를 확인사살하며 괜찮은 흐름을 이어나가는듯 했다. 마침내 RNG가 PSG를 이기며 4강 진출을 확정지었으나 5연패 중이던 G2에게 한타 조합을 들었음에도 눈이 썩어 들어가는 북미잼을 보여주며 승리를 갖다 바쳤다. 이 경기 패배를 통해 대 G2 상대 6연패라는 굴욕적인 기록을 남기게 된 건 덤.[1]

그리고 4강에서 유력한 우승 후보인 RNG한테 지목당했다. 럼블 스테이지에서도 분명히 바텀듀오의 부진이 워낙 심했다. 라는 아직까지 불안감이 증폭감이 있기 때문에 분명히 BO5 다전제에서도 걱정거리가 쌓일것이다. 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1세트에서는 상대방의 자르반,갈리오 조합을 내주고 본인들은 선픽으로 가져온 녹턴과 코르키로 아예 눕는 조합을 선택했지만 킬스코 22대1로 완벽하게 박살이 나면서 아무것도 해보지 못하고 완패 당했다. 그리고 2세트에서 1세트에 그렇게 얻어맞았던 그웬과 갈리오를 밴하면서 오른과 비에고 아리로 완벽하게 밴픽을 잘 가져가면서 밴픽을 철저하게 수정하면서 1세트보다 초반에 확실하게 경기력도 보다 다른 결과를 만들거라 기대했었다. 하지만 중간중간마다 분명히 RNG도 실수하는 장면도 있었고 해볼만했던 모습도 있었지만 결국 바텀 대니선수의 쓰로잉으로 인한 죽음과 부진[2] 그리고 아쉬운 포지션과 판단으로 결국 2세트까지 내주면서 벼랑끝까지 몰리고 말았다. 결국 3세트에서도 역시나 초반 싸움에서 또한번 바텀듀오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2킬을 헌납하고 그리고 9분대에게 안일하게 탑 다이브도 어설프게 들어갔다가 결국 전세트가 아리를 다시 뽑았던 조조편 선수가 초반부터 CS말리면서 망하는 상황이 되면서 오죽하면 해설진부분들도 시청자분들도 왜 저렇게 안일하게 하냐? 라는 들 정도였다. 그리고 15분대에 전령까지 뺏기고 그리고 바텀 2차까지 내주고 킬까지 20분전까지 완전히 게임은 안드로메다로 가나 싶었지만... 24분대에 자야를 끊어내고 그리고 비에고의 맹활약으로 바론 스틸과 한타 대승으로 결국 힘겨웠던 게임을 결국 한번에 대승을 거두며 균형을 맞추면서 따라가면서 해볼만 하다 싶었지만...[3] 그 이후에 EG는 계속해서 30분대 40분대까지 어떻게든 변수를 만들려 볼려고 선전 했지만 결국 초반에 벌어진 성장차이와 스텟차이를 극복하지 못한채 결국 3대0으로 셧아웃 당하며 북미엔딩을 맞이한채 RNG의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2022 MSI 여정은 이렇게 마무리 되고 말았다.

1.4. LCS 서머 2022

6주간 EG의 평가는 "압도적 1황"이었다. 조조편은 MSI의 기세를 그대로 이어갔고, 대니는 MSI의 부진을 털어내고 스프링 포스트시즌의 기세를 그대로 이어가 팀 자체가 스프링 대비 아웃라이어의 면모를 보이며 리그를 초토화했다. 길로또/콜드, 아베다게, 젠슨 등의 부진으로 경쟁팀들이 활로를 찾지 못했던 점도 그냥 EG를 강제 1황으로 만들었다.

다만 점점 수면 위로 올라오는 문제가 바로 최연장자인 임팩트의 부진이다. DIG 2차전에서 갱플랭크를 골라 감수의 쉬바나에 멸망당했다가 대니의 징크스 캐리에 업혀갔던 임팩트는 임모탈즈 전에서도 서머에 대체로 부진했던 리벤지에게 박살이 났다가 또 팀원들의 하드캐리에 업혀갔다. 2라운드 100T전은 밴픽으로 날려먹었다는게 중론이지만, TL전에서 탑 문제가 또 터지면서 우승 경쟁팀들과의 2라운드 경기를 모조리 패배로 장식하게 됐다.

정규시즌 1위로 챔피언십에 진출했지만, C9에게 패배하고 TSM과 졸전을 펼치는 등 불안한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결국 마지막 남은 월드 챔피언십 자리를 가지고 TL과 단두대 매치를 벌이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번 풀세트 접전 끝에 슈퍼팀 TL을 제압하고 월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많은 심적 부담을 느낀 대니가 갑작스럽게 휴식을 취하게 되어 아카데미에 있던 카오리를 급히 올렸다.

결승전 진출 및 월즈 그룹 직행을 놓고 100T와 스프링 결승 리매치를 하게 되었고 우려되었던 카오리는 대니의 빈 자리를 어느 정도 잘 메웠지만 3:2로 패배하며 플레이인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1.5.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파일:2022 Worlds EG.pn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Beyond_Gamingsymbol_square.png 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
FNC BYG DFM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파일:LOUD 로고.svg 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EG LLL CHF

구단 사상 처음으로 참가하게 된 월드 챔피언십이다. 플레이인에서는 RNG, DRX, SGB 등의 강팀들을 피하여 조조편이 개꿀조라고 평했다. 하지만 첫 경기부터 프나틱에게 패배하더니 DFM에게도 패배하며 그룹 직행에 실패했고 타이브레이커에서 라우드와 DFM을 모두 잡아내며 2위에 등극, RNG를 피할 수 있게 되었다. 녹아웃 스테이지에서는 예상대로 MAD를 상대하게 되었으며 팽팽하거나 불리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3:0 완승을 거두며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B조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JDG G2 DK EG

그렇게 진출한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하필 JDG-G2-DK라는 죽음의 조에 걸리게 되었다. 1주차에서는 징동을 상대로 비비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역부족이었고 G2와 담원을 상대로도 패배하며 전패로 마무리했다. 2주차에서는 G2를 잡아내며 반등을 노렸지만 징동과 담원에게 지며 1승 5패로 첫 월즈를 마감했다.

2. 팀별 둘러보기

파일:LCS 심볼_Black.svg LCS 2022 시즌 팀별
파일:Cloud9 아이콘.svg 파일:100 Thieves 로고.svg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파일:Team_Liquid_2020.png 파일:Counter_Logic_Gaminglogo_square.png
C9 100 EG TL CLG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 파일:골든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Immortals 아이콘.svg 파일:Dignitas 로고.svg
TSM FLY GG IMT DI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2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이 경기 패배로 정글러 인스파이어드는 G2를 상대로 무려 단판제 전적 0:18이라는 치욕스러운 기록을 갖게 되었다.진정한 G2의 충신[2] 이번 2022 MSI에서 바텀선수들중에 제일 아쉽고 부진하는 모습은 대니선수가 제일 폼이 최악이다가 이번 다전제에서도 드러난것[3] 27분때에 상대방에게 마법공학용 영혼을 주기싫었나 보니까 결국 앞라인은 리산드라 CC기에 맞으며 결국 찬물을 확 끼얹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