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0:55:55

Compass



파일:나무위키+유도.png  
Compass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곡에 대한 내용은 COMPAS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ililogo2.jpg
싱글 목록
※ 기준: 뮤직비디오의 업로드
<colbgcolor=#f6f6f6,#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 – '14]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hocological Friction Utopiosphere
Nine Point Eight Maroma Samsa YUBIKIRI-GENMAN
Witch's Invitation Past the
Stargazing Season
Rosetta
Fable Imagined Flight Colorful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15 – '16]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Unidentified
Flavourful Object
Vulnerability Ga1ahad and
Scientific Witchery
Bathtub Mermaid Space Colony world.execute(me);
RTRT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17 – '18]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幾年月 Rubber Human Opium
奶水 Mushrooms Mirror Mirror
Camelia Lemonade Summoning 101
Rightfully Within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19 – '20]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Victim 不死蝶 Sloth
蜜蜂 Birthday Kid Static
String Theocracy sustain++; From a Place of Love
And Then is
Heard No More
Phantomcat of
Meowloween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21 – '22]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Iron Lotus Children of the City Gone Angels
Poems of a Machine Bulbel Flowerworks
Salt, Pepper, Birds,
and the Thought Police
In Hell We Live, Lament Dandelion Girls,
Dandelion Boys
Bento Box Bivouac Sideshow Duckling My Creator
Skin-Deep Comedy Paper Bouquet GIVE ME RICE
Mortal With You Dancing Ghost's Ball
Jointed Darling
Ocean Bby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64b4b9,#46959b {{{#!folding ['23 – '24]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Between Two Worlds Gunners in the Rain Fly, My Wings
Sleep Talk Metropolis Entertainment Compass
Duetting Solo Grown-up’s Paradise Through Patches of Violet
}}}}}}}}}}}} ||

1. 개요2. 가사3. 기타

1. 개요

Full ver. MV
음악 프로젝트 그룹 Mili의 곡.

Project Moon의 게임 Limbus Company의 5장 최종보스, 개화 E.G.O::가스하푼의 보스곡.

이전 보스전 테마와 마찬가지로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각 페이즈마다 다른 부분이 반복재생된다. 또한 특정 선택지 및 스토리에서는 기타 소리만 들어간 Inst 버전도 재생된다. 인게임 내에서는 추가로 심장 고동 소리가 함께 재생된다.

2. 가사


Bon Voyage
Bon Voyage

Your mermaid's setting sail
그대의 인어가 출항하네

At last
이제서야

Full speed towards your heart
그대의 심장을 향해 전속력으로

Full speed towards your heart
그대의 심장을 향해 전속력으로

I've had enough
이제 그만해도 돼

I'm reclaiming myself
이제 내 자신을 되찾을 거야

The aft
후미

Leaving behind the hurt
고통을 뒤로하고

Leaving behind the hurt
고통을 뒤로하고


When it snapped
그것이 끊어졌을 때

My compass was swallowed by the sea
나의 나침반은 대양에 먹혀버렸어

My compass was swallowed by the sea
나의 나침반은 대양에 먹혀버렸어

I cursed this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그대의 이 연결을 저주했지


I wanted blood
피가 보고 싶었어

I wanted black and white
흑백이기를 원했어

Clear cut
모든 게 단정된

Your evils predefined
악을 규정해놓고

Your evils predefined
악을 규정해놓고


Hold on tight
꽉 붙들어 매

My compass is curiosity
나의 호기심을 나침반 삼아

My compass is curiosity
나의 호기심을 나침반 삼아

I'm piercing through the rope that strangled you and me
우리목을 조르던 밧줄을 끊어내고

Let us be free
자유롭게 될 거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3. 기타

  • Project Moon과 협업으로 기존에 하지 않던 다양한 장르의 곡을 시도한 것과 다르게 오랜만에 Mili가 주력하던 장르가 드러나는 곡으로 평가받는다.
  • 바로 전 4장 보스 곡과 마찬가지로, 보스 본인보다는 주인공의 테마에 더 가깝다. 동시에 3장 보스 곡과 같이 주인공과 최종 보스의 입장(악을 규정하는 태도)을 함께 통용한다.[1] 둘이 비슷했다는 것을 감안했는지 가사에서 2번 반복되는 부분이 많다.
  • 곡의 제목인 나침반은 챕터 주인공 이스마엘의 로고에도 들어간 시그니처이며, 작중 5장에서도 주요 키워드로 언급된다. 공식 MV의 일러스트도 자세히 보면 바닥이 나침반인 것을 알 수 있다.
  • 일러스트를 보면 비늘이 벗겨지면서 중앙의 캐릭터의 다리가 지느러미에서 사람의 다리로 돌아가고 있다. 에이헤브의 선원이자 인어로서 속박된 삶을 살아오던 이스마엘이 자신의 배를 직접 몰며 항해하는 한 명의 인간이 되었음을 묘사한다고 볼 수 있다.
  • Mili의 트윗에 올라온 후기 및 설명에 의하면 냉정과 열정을 섞었음을 표현하고자 이를 위해 고래의 울음소리를 곡에 실제로 삽입한 데다 곡의 길이를 짧게 한 대신 템포를 조절하며 점차적으로 클라이맥스에 다다르게끔 빌드업을 한 구성으로 작곡했다고 한다.# 보컬인 캐시 웨이도 보컬을 할 때 고래와 바닷바람을 표현하고자 숨을 들이마셔 모아뒀다가 폭발하듯 내지르는 창법을 구사했다고 한다.#

[1] "나"를 에이해브로, "그대"를 창백한 고래로 해석해도 어느 정도는 의미가 들어맞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