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9:53:34

Come to Me

1. 개요2. 채보 구성
2.1. 싱글2.2. 더블2.3. 삭제된 채보

1. 개요

펌프 잇 업에 수록된, 반야의 보컬 곡이며, 특이한 점으로 프렉스 3에 새로 추가된 유일한 오리지널 곡이기도 하다.[1]

2. 채보 구성

최초 수록 버전 펌프 잇 업 THE PREX 3
아티스트 BanYa[2]
BPM 100 ~ 107[3]
채널 Original / 1st ~ Zero
레벨 데이터 ※PHOENIX 기준
타입 레벨
Normal <colcolor=white> Single 4 / 6 / 11 / 13 / 17
Double 13 / 14
채보 제작자
타입 레벨 및 제작자
Normal S4 / S6 / S11 ANDAMIRO
S13 / S17 EHNE
D14 ANDAMIRO
D15 EHNE
SP3 ANDAMIRO
DP6

2.1. 싱글

  • S4 - 피에스타 1 때 추가된 채보.
  • S6 - Zero에서 새로 들어온 하드 채보.
  • S11 - 프렉스 3 당시의 크레이지 채보.


5노트로 끝나던 XX 당시의 버전
  • S13(좌) - NX2 월드 맥스를 통해 해금할 수 있던 어나더 하드 채보로, XX까지는 12레벨이었다. 노트를 3개 동시에 밟는 것에 주의하며 플레이해야 한다.
  • S17(우) - 마찬가지로 NX2 월드 맥스로 해금되었던 어나더 크레이지 채보. 위 S13에 기믹을 끼얹은 채보로, XX까지는 고작 15레벨이었다. BPM 100 구간에서는 단순히 박자에 맞춰 정지하기만 하다가 BPM 107 구간에서 정지 기믹이 없는 대신 스크롤 변속 장난이 들어가는데, 멈추는 곳이 전혀 규칙적이지 않아 노래를 알아도 S13을 모르면 매우 높은 확률로 당한다. XX에서는 SS랭크(현 UG)이상, PHOENIX에서는 SSS랭크(99만점) 이상 브렉온으로 클리어하면 GIMMICK LV.4 칭호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어렵다면 S13 채보를 외우거나 다른 쪽에 S13을 띄워놓고 커닝하는 편법을 쓸 수 있다.

여담으로 두 패턴 모두 XX까지는 마지막에 5노트가 나오기 때문에 판정을 뽑기 힘들었으나 PHOENIX에서 해당 노트가 3노트로 수정되어서 올콤보나 스코어링이 좀 수월해졌다.

2.2. 더블

  • D14 - 프렉스 3 당시의 나이트메어 채보로 S11을 펼치고 약간 응용한 패턴. XX까지는 13레벨이었으며, PHOENIX에서 레벨 조정과 함께 패턴이 일부 수정되었다.
  • D15 - NX2 월드 맥스를 통해 해금할 수 있던 어나더 나이트메어 채보. XX까지는 14레벨이었는데, 앞 부분은 평이하나 3연속 스타카토 부분의 급발진을 조심해야 하고, BPM 107 구간의 스크롤 장난을 견뎌내는 게 관건이었다. 심지어 마지막에도 올콤 방지용으로 급발진을 해서, 평소 자기 채보에 "Thank you for playing" 코멘트를 달아주던 제작자 EHNE이 이 채보에는 본인이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믹을 빼달라고 절규하는 코멘트를 달기도 했다. 다행히도 PHOENIX에서는 15레벨로 올라가면서 정말로 기믹이 삭제되었고, 구 스크롤 장난 구간의 롱노트 틱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총 노트 수가 575 → 531개로 감소하였다.

2.3. 삭제된 채보

  • S8 - Prex 3 ~ EXCEED 2 때 있었던 구 하드 채보. 후렴구와 변속 구간 사이에 13 밟은 채로 7,5,9를 순서대로 처리해야 하는 롱잡이 있는데, 반드시 손을 쓸 수 밖에 없는 구간이라 그런지 ZERO에서 위 S6으로 대체되었다.
  • D7 - 프렉스 3 한정으로 존재한 하프 더블 채보로 수정 전의 하드를 펼치되 약간 열화시킨 채보이다.
  • SP3 - 프렉스 3 당시 노멀 채보.
  • DP6 - 프렉스 3 당시 프리스타일 채보.


[1] 해당 버전에 3곡이 추가되었는데, 나머지 두 곡은 K-POP은 노바소닉의 태양의 나라, World Music은 이 당시의 최종 보스곡이었던 Get The Party Started였다.[2] 실제 작곡가는 Yahpp.[3] BPM 변동은 100-107-100 순으로 타이틀 화면에도 동일하게 표기되어 있다. BPM 표기 방식이 잠시 바뀌었던 PRIME 2에서는 타이틀 화면 BPM 표기가 뒷 부분의 100을 지운 100-107로 변경되었으나, XX에서 원상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