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래 의미}}}에 대한 내용은 [[클리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클리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클리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NELL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COLORS IN BLACK]]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COLORS IN BLACK#s-3.1|3.1]]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COLORS IN BLACK#|]]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2000년에 발매된 윤상의 3집 음반}}}에 대한 내용은 [[CLICHÈ]]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CLICHÈ#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CLICHÈ#|]]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래 의미: }}}[[클리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클리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클리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NELL의 노래: }}}[[COLORS IN BLACK]]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COLORS IN BLACK#s-3.1|3.1]]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COLORS IN BLACK#|]]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2000년에 발매된 윤상의 3집 음반: }}}[[CLICHÈ]]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CLICHÈ#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CLICHÈ#|]]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음반 목록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width=25%> ||<width=25%> ||<width=25%> ||
TN
'''싱글'''
(2016.02.03)TR
'''싱글'''
(2016.06.20)Maiden Voyage
'''EP'''
(2017.02.23)Maiden Voyage Ⅱ
'''EP'''
(2017.08.05)[[AI, THE PLAYLIST| ]]AI, THE PLAYLIST
'''정규 1집'''
(2018.03.10)IMNOTSPECIAL
'''EP'''
(2018.05.09)Maiden Voyage III
'''EP'''
(2018.11.17)L I F E
'''EP'''
(2019.3.14)[[Kid Milli/음반#s-2.3| ]][[BEIGE 0.5| ]][[Cliché(음반)| ]][[BEIGE| ]]BOY
'''싱글'''
(2020.01.26)BEIGE 0.5
'''정규 1.5집'''
(2020.04.17)Cliché
'''합작(w. dress)'''
(2021.04.27)BEIGE
'''정규 2집'''
(2023.05.30)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1000> 음반 ||<width=50%> 방송 출연 ||
우주비행 파김치갱 Kid Milli - VINXEN 디스전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Cliché 클리셰 | |
| |
아티스트 | Kid Milli, dress |
발매 | |
장르 | 힙합(얼터너티브 힙합, 익스페리멘탈 힙합, 팝 랩, 록 랩, 트랩, 붐뱁, 테크노하우스, 하이퍼 팝) |
길이 | 41:29 |
유통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레이블 |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 Indigo Music |
1. 개요
2021년 4월 27일에 발매된 Kid Milli와 dress의 합작 앨범. 앨범 제목인 클리셰는 사전적인 의미의 클리셰라기보단, 정규 1집 이후 지속적으로 스타일 변화[2]를 꾀했던 키드밀리가 '고유의 색을 잃었다', '예전 스타일이 더 낫다'는 평가가 끊이질 않자, '그러면 그냥 예전 스타일로 할게'라는 의미로 붙인 것. 실제로 이 앨범에서는 키드밀리가 직전까지 해오던 여러 시도들이 배제되고 비교적 정규 1집과 비슷한 스타일의 랩을 하고 있으며, 타이틀 곡인 Cliché에서는 '니네가 시킨대로 했으니까 돈이나 내'라며 리스너들을 간접적으로 디스하고 있다.완성된 비트에 랩을 얹는 것이 아니라, 키드밀리가 임의의 비트에다 랩을 해서 드레스에게 넘기면 드레스가 그 랩에 맞춰 다시 비트를 찍는 특이한 방식으로 제작된 앨범이다.[3] 신선하다는 평이 많지만 부작용도 생겼는데, 두 사람이 원하는 트랙 배치가 각자 달랐던 듯하다. 그 결과 음원판은 사운드의 유기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피지컬은 이야기의 유기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트랙 순서가 제각각 다르게 발매되었다.
상당히 실험적이고 풍성한 사운드가 특징이며, dress의 프로듀싱 능력이 빛을 발했다.
2. 트랙리스트
트랙리스트 | |
<rowcolor=white> # | 제목 |
1 | |
2 | TITLE |
3 | |
4 | Blow |
5 | Citrus |
6 | |
7 | Intro |
8 | Leave My Studio (Feat. 선우정아) |
9 | |
10 | |
11 | TITLE Midnight Blue (Feat. 끝없는잔향속에서우리는) |
12 | Outro |
CD ONLY | |
13 | Downtowner |
14 | Interview.01 |
- 피지컬[7]과 음원의 트랙순서가 다르다. 피지컬의 트랙 순서는 8-6-7-3-2-10-1-9-4-11-12-5-13-14.
2.1. V I S I O N 2021 (Feat. ron)
키드밀리 ron |
Yeah 2020 놀면서 다 보냈어 |
2.2. Bittersweet (Feat. ron)
키드밀리 ron |
Fuck sleep |
2.3. Challenge
키드밀리 |
난 직원과 안 얘기해 사장 데려와 여기에 |
2.4. Blow
키드밀리 |
Ok ok ok money blow |
2.5. Citrus
키드밀리 |
Think I’m fallin in love 갈색 향기 |
2.6. Face & Mask (Feat. ron)
"Face & Mask" 가사 |
|
어두운 분위기의 트랩 비트로 verse 2까지 가다가 이후 비트체인지가 이루어져 좀 더 밝은 분위기의
붐뱁 비트로 바뀐다.
2.7. Intro
"Intro" 가사 |
|
2.8. Leave My Studio (Feat. 선우정아)
"Leave My Studio" 가사 |
|
2.9. Cliche
"Cliche" 가사 |
|
2.10. Bankroll (Feat. Okasian)
"Bankroll" 가사 |
|
2.11. Midnight Blue (Feat. 끝없는잔향속에서우리는)
"Midnight Blue" 가사 |
|
2.12. Outro
키드밀리 |
흐릿하게 잊혀져 |
2.13. 앨범 크레딧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bgcolor=black><color=white> 앨범 크레딧 ||
<rowcolor=white> #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1 | V I S I O N 2021 (Feat. ron) | Kid Milli, ron | dress, Kid Milli, ron | dress |
2 | Bittersweet (Feat. ron) | Kid Milli, ron, CHE | ||
3 | Challenge | Kid Milli | dress, Kid Milli | |
4 | Blow | |||
5 | Citrus | dress, Kid Milli, glowingdog | ||
6 | Face & Mask (Feat. ron) | dress, Kid Milli, ron | dress, Kid Milli | |
7 | Intro | dress | ||
8 | Leave My Studio (Feat. 선우정아) | Kid Milli, 선우정아 | dress, Kid Milli, 선우정아 | |
9 | Cliche | Kid Milli | dress, Kid Milli | |
10 | Bankroll (Feat. Okasian) | Kid Milli, Okasian | ||
11 | Midnight Blue (Feat. 끝없는잔향속에서우리는) | Kid Milli, 안다영 | dress, Kid Milli, 끝없는잔향속에서우리는 | dress, 끝없는잔향속에서우리는 |
12 | Outro | Kid Milli | dress, Kid Milli, 안다영 | dress, 안다영 |
13 | Downtowner (CD Only) | dress, Kid Milli | dress | |
14 | Interview.01 (CD Only) | - |
3. 평가
온음 연말결산 2021년 총결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온음이 2022년 발표한 "2021년 총결산"의 선정 결과이다. 전체 후보 목록은 이곳에서 열람 가능하다. | |||||||||||||||||||
올해의 앨범 | 올해의 트랙 | 올해의 아티스트 | 올해의 신인 | |||||||||||||||||
환상의 나라 | 늑대가 나타났다 | 정재일 | aespa | |||||||||||||||||
잔나비 | 이랑 | |||||||||||||||||||
올해의 록 앨범 | 올해의 록 트랙 | 올해의 랩/힙합 앨범 | 올해의 랩/힙합 트랙 | 올해의 알앤비/소울 앨범 | ||||||||||||||||
환상의 나라 | Pause | Cliché | 60 BPM | GAUSSIAN | ||||||||||||||||
잔나비 | TRPP | Kid Milli, dress | HEARTCORE | 유라 | ||||||||||||||||
올해의 알앤비/소울 트랙 | 올해의 일렉트로닉 앨범 | 올해의 일렉트로닉 트랙 | 올해의 포크 앨범 | 올해의 포크 트랙 | ||||||||||||||||
적외선 카메라 | SCA1 (Side A) | 소무-독경 | 페트리코-장필순 | 늑대가 나타났다 | ||||||||||||||||
원슈타인 | SoundSupply Service | 해파리 | 장필순 | 이랑 | ||||||||||||||||
올해의 팝 앨범 | 올해의 팝 트랙 | 올해의 케이팝 앨범 | 올해의 케이팝 트랙 | |||||||||||||||||
LILAC | 마음 | 혼돈의 장: FREEZE | Savage | |||||||||||||||||
아이유 | 오헬렌&최솔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aespa | |||||||||||||||||
'''' ← '''' → '''' |
- IZM에서 3점을 받았다.랩 스타의 삶에 느낀 회의, 성공 이후의 과시, 그 끝의 회한과 고민을 마주하는 키드 밀리의 서사는 다단하게 얽히다가도 유기적이고 명징한 아티스트의 고백을 피워낸다. 시국에 대한 사유와 예술에 대한 의구심을 담은 'Face & mask'의 메시지가 특히 와닿는다. 내면 깊숙이 가라앉는 후반부에서 일종의 동정심을 유발한다는 점도 흥미롭다. 그의 개인적 결핍과 인간적 면모는 사랑에 목마른 'Cliché'와 조곤조곤 랩을 읊조린 'Outro'의 가족과 타자를 향하는 시선에서 빛난다.
[1] ‘말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narrare" 에서 유래한 단어로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실화나 허구의 사건들을 묘사하는 것. 위의 숫자들은 후술할 키드밀리가 내러티브를 중점으로 구상했던 트랙리스트 순서로, 피지컬 CD에선 이 순서로 수록되었다.[2] 싱잉랩, 멈블랩 등의 소위 말하는 최신 트랜드.[3] 저스트뮤직의 명반으로 평가받는 파급효과 또한 이와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A] Face & Mask 싱글을 통하여 선공개됨.[A] [B] Bankroll 싱글을 통하여 선공개됨.[7] 키드밀리가 리스너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다는 곡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