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15:02:06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CNo.
#!if 문서명2 != null
, [[유적의 넘버즈]]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CNo. [ 보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tablewidth=100%> 유희왕CNo.(카오스 넘버즈) 카드
CNo.1 CNo.2 CNo.3 CNo.4 CNo.5 CNo.6 CNo.7 CNo.8 CNo.9 CNo.10
CNo.11 CNo.12 CNo.13 CNo.14 CNo.15 CNo.16 CNo.17 CNo.18 CNo.19 CNo.20
CNo.21 CNo.22 CNo.23 CNo.24 CNo.25 CNo.26 CNo.27 CNo.28 CNo.29 CNo.30
CNo.31 CNo.32 CNo.33 CNo.34 CNo.35 CNo.36 CNo.37 CNo.38 CNo.39 CNo.40
CNo.41 CNo.42 CNo.43 CNo.44 CNo.45 CNo.46 CNo.47 CNo.48 CNo.49 CNo.50
CNo.51 CNo.52 CNo.53 CNo.54 CNo.55 CNo.56 CNo.57 CNo.58 CNo.59 CNo.60
CNo.61 CNo.62 CNo.63 CNo.64 CNo.65 CNo.66 CNo.67 CNo.68 CNo.69 CNo.70
CNo.71 CNo.72 CNo.73 CNo.74 CNo.75 CNo.76 CNo.77 CNo.78 CNo.79 CNo.80
CNo.81 CNo.82 CNo.83 CNo.84 CNo.85 CNo.86 CNo.87 CNo.88 CNo.89 CNo.90
CNo.91 CNo.92 CNo.93 CNo.94 CNo.95 CNo.96 CNo.97 CNo.98 CNo.99 CNo.100
CNo.101 CNo.102 CNo.103 CNo.104 CNo.105 CNo.106 CNo.107 CNo.1000
바리에이션
CNo.32 CNo.39
카오스 이매지너리 넘버즈
CiNo.1000 }}}}}}}}}

벡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엄브럴 · 고르고닉 · No.
서브 에이스 에이스
No.43 혼백괴뢰귀 소울 마리오네터
CNo.43 혼백괴뢰귀신 카오스 마리오네터
ZEXAL
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샤이닝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CNo.5 망롱룡 카오스 키메라 드래곤
OCG
No.5 망롱룡 데스 키메라 드래곤
}}}}}}}}} ||

No.96 블랙 미스트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마리스보라스 · 카오스 · No.
서브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 진화체
ZEXAL
CNo.69 데스 메달리온 카오스 오브 암즈
CNo.92 위해허룡 Heart-eartH Chaos Dragon
카오스 필드
ZEXAL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No.96 블랙 미스트
ZEXAL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CNo.96 블랙 스톰
}}}}}}}}} ||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파일:NumberC65KingOverfiend-JP-Anime-ZX-NC.png
나오너라! CNo.65! 수많은 원한을 감고 있는 심판의 마왕! 「재단마왕 저지 데블」!
現れろ、CNo.65!数多の怨念を纏いし裁きの魔王!「裁断魔王ジャッジ・デビル」!

-유희왕 ZEXAL II 제102화 中 블랙 미스트-
1. 설명
1.1. 원작1.2. OCG
2. 관련 카드

1. 설명

1.1. 원작

파일:external/static4.wikia.nocookie.net/434px-NumberC65KingOverfiend-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CNo.<rp>(</rp><rt>카오스 넘버즈</rt><rp>)</rp></ruby>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일어판명칭=<ruby>CNo.<rp>(</rp><rt>カオスナンバーズ</rt><rp>)</rp></ruby>65 <ruby>裁断魔王<rp>(</rp><rt>さいだんまおう</rt><rp>)</ruby>ジャッジ・デビル,
영어판명칭=Number C65: King Overfiend,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소재=어둠 속성 레벨 3 몬스터 × 3,
효과1=이 카드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 또는 수비력을 1000 포인트 내린다.,
효과3=이 카드가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를 랭크 업하여 엑시즈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4=●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가 되어 발동할 수 없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NumberC65KingOverfiend-JP-Anime-ZX-Sealed.png파일:NumberC65KingOverfiend-JP-Anime-ZX-ConceptArt.jpg
뉴트럴체 설정화

유희왕 ZEXAL II에서 No.96 블랙 미스트RUM-바리언즈 포스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를 랭크 업해서 카오스 엑시즈 체인지한 몬스터.

자신 효과로 아스트랄봉인검의 검사의 효과를 무효화하고 전투로 파괴해서 블랙 미스트와 함께 아스트랄을 패배 일보직전까지 몰았지만, 바로 다음 턴에 듀얼의 전개를 예측하고 있었던 아스트랄의 함정 카드 '슈페리얼 오버레이'[1]에 의해 파괴된다.

이후 블랙 미스트(96)가 다시 듀얼을 할 때는 등장하지 않았고, 거기다 아스트랄 & 유마와의 듀얼에서 패배한 이후, 아스트랄의 소유가 되었어야 했지만, 아스트랄은 블랙 미스트를 쓰러뜨렸음에도 블랙 미스트의 힘을 흡수하지는 못했고, 결과적으로 그가 가진 힘과 넘버즈를 벡터가 얻게 된 것. 그래서 새롭게 변형된 6기 오프닝의 바리안 칠황들의 넘버즈가 나오는 장면에서 이 카드가 등장한 것.

그리고 벡터가 136화에서 바리안 세계에서 낫슈와의 듀얼에서 꺼내 낫슈를 직접 공격해 라이프를 100으로 만들어주지만, 낫슈의 마법 카드에 의해 컨트롤을 빼앗긴다. 벡터는 고작 공격력 1600짜리 몬스터 얼마든지 주겠다며 별 것 아닌 것처럼 취급했으나, 낫슈의 콤보에 공격력이 1600 올라가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을 두 동강 내버리면서 벡터에게 걸려있던 돈 사우전드의 세뇌가 우연의 결과로 풀리게 된다. 카오스화 됐다고는 해도, 본질은 유적의 넘버즈였기에 때문에 가능했던 일.[2]

1.2. OCG

파일:CNo.65 裁断魔王ジャッジ・デビル(SHS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CNo.<rp>(</rp><rt>카오스 넘버즈</rt><rp>)</rp></ruby>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일어판명칭=<ruby>CNo.<rp>(</rp><rt>カオスナンバーズ</rt><rp>)</rp></ruby>65 <ruby>裁断魔王<rp>(</rp><rt>さいだんまおう</rt><rp>)</ruby>ジャッジ・デビル,
영어판명칭=Number C65: King Overfiend,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소재=어둠 속성 레벨 3 몬스터 × 3,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1000 내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을 경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3=●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의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원작의 효과에서 효과 무효화가 빠지고 발동 금지 효과만 남았으며, 타점 하락 효과는 공격력과 수비력 양 쪽에 전부 적용되도록 바뀌었다.

소환 난이도는 매우 높다. 스프라이트이빌트윈, 삼환마 등 레벨 2 어둠 속성 몬스터를 사용하는 덱만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런 덱은 이 카드의 소환에 필요한 RUM을 서치할 만한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대신 효과 텍스트 자체는 강렬하다. 진룡황 V.F.D., No.16 쇼크 마스터, SNo.0 호프 제알 등 각종 금지된 엑시즈 몬스터들처럼 상대의 몬스터 효과 발동을 완전히 봉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카드는 다른 금지된 락 엑시즈 몬스터들에 비하면 턱없이 약한데, 효과 봉인 범위가 오로지 필드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거기다 자체 타점도 1600으로 매우 낮은 축에 속하여 상대가 데스피아의 도화 알베르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처럼 공격력이 조금 높은 메인 덱 전개용 몬스터를 일반 소환한 다음 이 카드를 전투파괴하면 그대로 끝이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타점 약화 효과가 붙어 있지만, 이 효과가 스펠 스피드 1의 기동 효과라서 자기 보호 능력이 없는 것은 마찬가지.

원본인 재단마인과 달리 재단마이 되어 더 이상 마인(魔人) 카드는 아니게 되었다. 큰 의미는 없다.
수록 시리즈
2013-10-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SP-KR048 | 섀도우 스펙터즈
2013-07-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SP-JP048 | シャドウ・スペクターズ [ SHADOW SPECTERS ]
2021-04-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NCF1-JP119 | No. COMPLETE FILE -PIECE OF MEMORIES- 特典カード
2013-11-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HSP-EN048 | SHADOW SPECTERS

2. 관련 카드

2.1.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02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No.65 재단<ruby>마인<rp>(</rp><rt>魔人</rt><rp>)</rp></ruby> 저지 버스터,
일어판명칭=<ruby>No.<rp>(</rp><rt>ナンバーズ</rt><rp>)</rp></ruby>65 <ruby>裁断<rp>(</rp><rt>さいだん</rt><rp>)</rp></ruby><ruby>魔人<rp>(</rp><rt>まじん</rt><rp>)</rp></ruby>ジャッジ・バスター,
영어판명칭=Number 65: Djinn Buster,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3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소재=어둠 속성 레벨 2 몬스터 × 2,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상대 필드의 엑시즈 소재보다 많을 때 발동 가능.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엑시즈 소재가 있었으면 파괴를 회피할 수 있었지만 이 당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는 봉인검의 검사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사용했기 때문에 0.[2] 다만 벡터는 돈 사우전드에게 자신의 인생이 이용당했단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이후 세뇌가 깨져 개심한 척 연기해 낫슈를 끝장내려고 했으나 벡터를 의심하고 있던 낫슈가 대비책을 마련해 두어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