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3:12:07

C12형 증기기관차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000> 일본국유철도 C12형 증기기관차
国鉄C12形蒸気機関車 | JNR Class C12
}}}
파일:Japanese-national-railways-C12-164-20120403.jpg
차량 정보
구분 탱크식 증기기관차
용도 객화겸용 증기 기관차
생산량 293량
차륜배치 기관차 : 2-6-2
제작시기 1932년 ~ 1947년
운행기간 1932년 ~ 1975년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미쓰비시 중공업
가와사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차량 제원
전장 11,350㎜
전폭 - ㎜
전고 3,900㎜
궤간 1,067㎜
중량 50.05t
축중 - t
최고속도 75㎞/h
출력 최대 : 783마력
제동방식 공기제동
1. 개요2. 역사3. 보존4. 기타5. 미디어

1. 개요



일본 철도성 시대부터 일본국유철도시절까지 운용한 탱크 증기 기관차.

2. 역사

보통 지선철도 노선이나 입환기, 소규모 화물열차용 기관차로 설계된 증기 기관차다. 일본 뿐 아니라 대만,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도 사용되었다.

타이완 철로관리국에서는 7기를 운용하였는데, 타이완 철로관리국에서는 이들을 CK120형으로 분류하였다.

3. 보존

파일:JNR_C12_66_20120319.jpg
파일:Japanese-national-railways-C12-164-20120403.jpg
파일:Japanese-national-railways-C12-287-20140325.jpg
파일:C12_167.jpg
총 33대가 보존되었으며, 66, 164,[1] 167[2]호기는 동태보존중이다.

파일:TRA_CK124_in_Ruifang_Station_20150827.jpg
일본의 경우를 제외하면,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CK124[3]가 동태보존 중이다.

4. 기타

파일:프라레일_C12.png
  • 2000년, C12 214를 기반으로 한 프라레일이 출시되어 2023년에 단종되었다. 그러나 그를 대체할려는 C12 50이 2021년에 투입되어 현재까지 진행중이다.[4]

파일:오이가와퍼시.jpg
파일:C12:208호기.jpg

5. 미디어


[1] 164호기는 동태에서 정태로 이동.[2] 동태화되어 가고 있다.[3] 이전 호칭 C11 4호.[4] 파일:프라레일_C12 50.jpg 이렇게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