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5:09:01

C/2024 G3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상세
2.1. 대혜성?
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2024년 4월 19일에 ATLAS가 발견한 2025년의 대혜성이다.

2. 상세

이 혜성은 태양에 매우 가깝게 스쳐 지나가는 선스커터 혜성이며, 이심률이 1 이상이라[1] 주기는 없다.

혜성은 근일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항상 천구상 남반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궤도를 보면 태양계 아래에 있다가 근일점에 잠깐 위로 올라오고 다시 아래로 빠진다.

2.1. 대혜성?

사실 이런 특성만 본다면 평범한 혜성이나, 이 혜성이 주목받은 이유는 혜성의 예상밝기가 0.8등급~-1.5등급 정도로 꽤나 밝았기 때문이다. 이는 충분히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밝기이다. 그러나 혜성이 태양 근처를 지나간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지구에서의 관측은 어려울 수도 있고, 근일점에서의 추정 태양 이각은 5도이다. 혜성의 이각이 늘어난다고 해도 밝기는 빠르게 낮아질 것이며 남반구 하늘로 이동하기 때문에 보기 힘들다.

또한 혜성의 생존 여부를 대략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공식인 7.0+6q[2]를 이용해 도출된 값에 따르면 혜성은 붕괴될 가능성도 있다.

3. 기타

  • 과거에 아틀라스 망원경은 발견 이후 붕괴된 혜성 C/2019 Y4를 발견한 바 있다. 그리고 제 2의 아틀라스 혜성 등장??

4.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1.000013995438.[2] q는 근일점 거리를 의미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