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3:30:48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결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
파일:BPL SEASON 3.png
beatmania IIDX
(07/12 ~ 10/14)
레귤러 스테이지 결산
결승 토너먼트 결산
결승전
SOUND VOLTEX
(01/13 ~ 03/20)
레귤러 스테이지 결산
세미파이널·결승전
드림 매치

1. 최종 순위2. 레귤러 스테이지 최종 순위
2.1. 레귤러 스테이지 상대전적
3. 개인 시상
3.1. PUC 스타 상3.2. 베스트 파티 상3.3. EXCEED GEAR 상
4. 종합 평가5. 팀별 평가
5.1. 우승 (최종 1위) | SILK HAT5.2. 준우승 (최종 2위) | TAITO STATION Tradz5.3. 세미 파이널 탈락 (최종 3위) | APINA VRAMeS5.4. 세미 파이널 탈락 (최종 4위) | GAME PANIC5.5.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5위) | GiGO5.6.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6위) | ROUND15.7.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7위) | LEISURE LAND

[clearfix]

1. 최종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000> 파일:bpl_logo_emblem.png BEMANI PRO LEAGUE {{{#DFFF00 SEASON 3}}}
사운드 볼텍스
챔피언
}}} ||
파일:silkhat.png
순위표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순위 결승 토너먼트 획득 pt
우승 1위 파일:silkhat.png SILK HAT 1위 20
준우승 2위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TAITO STATION Tradz 3위 15
세미파이널
탈락
3위 파일:apina_vrames.png APINA VRAMeS 4위 7
4위 파일:game_panic.png GAME PANIC 2위 5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5위 파일:gigo_cut.png GiGO 5위 -
6위 파일:logo_round-1.png ROUND1 6위 -
7위 파일:leisure_land.png レジャーランド 7위 -

2. 레귤러 스테이지 최종 순위

파일:bpl_logo_emblem.png [[BEMANI PRO LEAGUE SEASON 3|BEMANI PRO LEAGUE SEASON 3]] -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사운드 볼텍스 종목]]
[[틀:BEMANI PRO LEAGUE SEASON 3 SOUND VOLTEX 레귤러 스테이지 순위표|레귤러 스테이지 순위표]]
순위 <colbgcolor=#fff,#444> 경기수 승점 pt 연속 비고
1 파일:silkhat_cut.png SILK HAT 6 15 5 0 1 46 3승
2 파일:game_panic_cut.png GAME PANIC 6 13 4 1 1 50 1무
3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TAITO STATION Tradz 6 10 3 1 2 42 1승
4 파일:apina_vrames_cut.png APINA VRAMeS 6 9 3 0 3 36 1승
5 파일:gigo_cut.png GiGO 6 7 2 1 3 36 1패
6 파일:logo_round-1.png ROUND1 6 4 1 1 4 30 1패
7 파일:leisure_land_cut.png LEISURE LAND 6 3 1 0 5 20 5패
파란색: 세미파이널 진출 | 노란색: 결승 토너먼트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2.1. 레귤러 스테이지 상대전적

파일:bpl_logo_emblem.png BEMANI PRO LEAGUE SEASON 3 - 사운드 볼텍스 종목}}}
레귤러 스테이지 상대 전적'''
팀명\상대 팀 pt 경기 전적
파일:apina_vrames_cut.png 파일:gigo_cut.png 파일:game_panic_cut.png 파일:silkhat_cut.png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파일:logo_round-1.png 파일:leisure_land_cut.png
<colbgcolor=#fff,#444> 파일:apina_vrames_cut.png - 8 4 4 2 8 10 36 3-0-3
파일:gigo_cut.png 6 - 4 8 6 8 4 36 2-1-3
파일:game_panic_cut.png 8 8 - 6 10 6 12 50 4-1-1
파일:silkhat_cut.png 8 4 8 - 8 8 10 46 5-0-1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10 6 2 6 - 10 8 42 3-1-2
파일:logo_round-1.png 4 4 6 6 2 - 8 30 1-1-4
파일:leisure_land_cut.png 2 8 0 2 4 4 - 20 1-0-5
파란색: 강우세 (6pt차 이상 승) | 녹색: 약우세 (6pt차 미만 승) | 노란색: 동률 | 주황색: 약열세 (6pt차 미만 패) | 빨간색: 강열세 (6pt차 이상 패)

3. 개인 시상

3.1. PUC 스타 상

레귤러 스테이지 동안 PUC당 1점, S-PUC당 2점으로 계산한 총점이 제일 높은 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BEMANI PRO LEAGUE SEASON 3|BEMANI PRO LEAGUE SEASON 3]] -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사운드 볼텍스 종목]] PUC 스타 상
<rowcolor=#000,#fff> 순위 <colbgcolor=#f5f5f5,#444> 소속 닉네임 pt
1 파일:apina_vrames.png
APINA VRAMeS
YU11
2
3
4
5

3.2. 베스트 파티 상

중견전 내 한 곡에서 기록한 EX스코어가 가장 비슷한 동일 팀 선수 두 명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두 선수의 기록 일치율로 판정하며, 만약 비율이 같다면 EX스코어가 높을수록 높은 순위에 오른다.
[[BEMANI PRO LEAGUE SEASON 3|BEMANI PRO LEAGUE SEASON 3]] -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사운드 볼텍스 종목]] 베스트 파티 상
<rowcolor=#000,#fff> 순위 <colbgcolor=#f5f5f5,#444> 소속 닉네임 일치율 EX스코어
1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TAITO STATION Tradz
MURAKAMI
350B1

2


3


4


5


3.3. EXCEED GEAR 상

선봉전에서 EXCEED GEAR 스킬 발동으로 획득한 별의 개수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BEMANI PRO LEAGUE SEASON 3|BEMANI PRO LEAGUE SEASON 3]] -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사운드 볼텍스 종목]] EXCEED GEAR 상
<rowcolor=#000,#fff> 순위 <colbgcolor=#f5f5f5,#444> 소속 닉네임
1 파일:silkhat.png
SILK HAT
STR
2
3
4
5

4. 종합 평가

5. 팀별 평가

5.1. 우승 (최종 1위) | SILK HAT

파일:silkhat.png SILK HAT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000> 승 승점 pt
5 0 1 15 46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1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C7C8C8><colcolor=#000><rowcolor=#000>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10 10
결과 승리 승리 }}}
<rowcolor=#000> 최종 결과 비고
우승
SILK HAT 선수별 결산
<colbgcolor=#C7C8C8><colcolor=#000><rowcolor=#000>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DAIKI. <colbgcolor=#C7C8C8><colcolor=#000> 레귤러 스테이지 9 5 1 2 17
세미 파이널
결승전
STR 레귤러 스테이지 10 5 3 2 21 EXCEED GEAR 상 수상
세미 파이널
결승전 BPL 로열로더 달성
082 레귤러 스테이지 6 1 3 2 8
세미 파이널
결승전
실크 햇의 사운드 볼텍스 팀은 지난 시즌 결과와는 별개로 2021 시즌과 시즌 2 IIDX 종목에서 2번 내리 꼴지를 당하는 실패를 겪은 실크 햇에게 첫 결승 토너먼트 진출과 소속 선수의 첫 개인상 등 내세울 수 있는 성과를 준 바 있었는데, 그랬던 사운드 볼텍스 팀이 기어이 차기 시즌에서 레귤러 스테이지 1위 및 최종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지난 시즌 대비 경쟁력이 하락한 몇몇 잔류 선수들과 달리 기존 선수 다이키와 오야부가 여전히 좋은 폼을 보여주었고, 신규 선수 스토라는 팬들의 기대에 걸맞게 실크 햇의 또 다른 강력한 힘이 되어주었으며, 레귤러 스테이지에서는 다른 우승 후보 팀들을 제치고 최종 1위를 차지하는 대성과를 썼다. 그 기세와 경기력을 결승 토너먼트에서도 보여준 덕분에 실크 햇은 새로운 BPL 우승 경력팀에 등극하게 되었다.

5.2. 준우승 (최종 2위) | TAITO STATION Tradz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 TAITO STATION Tradz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000> 승 승점 pt
3 1 2 10 42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3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F00><colcolor=#000><rowcolor=#000>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10 5
결과 승리 패배 }}}
<rowcolor=#000> 최종 결과 비고
준우승
TAITO STATION Tradz 선수별 결산
<colbgcolor=#F00><colcolor=#000><rowcolor=#000>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XD*LEVI. <colbgcolor=#F00><colcolor=#000> 레귤러 스테이지 6 3 2 1 21
세미 파이널
결승전
MURAKAMI 레귤러 스테이지 9 3 5 1 12 베스트 파티 상 수상
세미 파이널
결승전
350B1 레귤러 스테이지 9 2 4 3 11 베스트 파티 상 수상
세미 파이널
결승전
역대급 로스터를 꾸리면서 상당한 기대를 모은 만큼 레귤러 스테이지를 통과하자마자 레귤러 스테이지 2위인 게임 패닉을 작살내면서 이번 시즌도 결승 무대에 올라 디펜딩까지 단 한 경기만을 남겨두게 되었으나, 보기보다 훨씬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실크 햇에게 서서히 기세가 꺾인 끝에 패배하면서 결국 이번 시즌은 준우승으로 시즌을 마무리짓게 되었다.

지난 시즌에도 그랬지만,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의 이번 시즌 역시 경기 일정이 불균형해지는 피해를 보는 등 쉽지만은 않았다. 또한, 역대급 슈퍼팀이라는 기대 치고는 아쉬움이 느껴지는 상황도 적지 않았는데, 레귤러 스테이지 자체가 초고레벨 체급과는 별개로 흐르는 양상이 강한 점과 레귤러 스테이지 초반에 할당된 경기가 적었던 점, 그리고 지난 시즌 결승전에서 맞붙었던 기고에게 무승부를 허용한 점으로 인해 당장은 높지 않은 순위에 위치했었고, 상위권에 위치했던 게임 패닉에게 2대 10으로 탈탈 털리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그래도 엄연히 슈퍼팀이라는 세간의 평가답게 상위권 팀인 실크 햇과 게임 패닉에게만 패배하고 나머지 팀들은 기고를 빼면 전부 승리하면서 나름대로 이길 경기를 잘 이긴 덕분에 역대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의 팀들 중에선 가장 좋은 레귤러 스테이지 결과를 거뒀다.

5.3. 세미 파이널 탈락 (최종 3위) | APINA VRAMeS

파일:apina_vrames.png APINA VRAMeS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FFF> 승 승점 pt
3 0 3 9 36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4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0057B5><colcolor=#FFF><rowcolor=#FFF>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7 -
결과 패배 }}}
<rowcolor=#FFF> 최종 결과 비고
세미 파이널 탈락
APINA VRAMeS 선수별 결산
<colbgcolor=#0057B5><colcolor=#FFF><rowcolor=#FFF>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YU11 <colbgcolor=#0057B5><colcolor=#FFF> 레귤러 스테이지 PUC 스타 상 수상
세미 파이널
결승전 -
KND*48TE 레귤러 스테이지
세미 파이널
결승전 -
PAPER. 레귤러 스테이지
세미 파이널
결승전 -
유이치의 생일 버프에 힘입어 레귤러 스테이지 후반부에 극적으로 세미파이널 진출을 확정짓는데 성공하고 이어서 2연속 우승을 노렸으나, 끝내 BPL 신곡에서 무릎을 꿇으면서 이번 시즌도 세미파이널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하지만 선수들의 집단 컨디션 불량 및 유이치의 굴욕패 등으로 만신창이가 된 채로 나가떨어졌던 저번 세미파이널에 비하면 이번에는 경기의 흐름만 놓고 보면 확실히 괜찮은 경기를 펼쳤고, 다른 전원 재계약 팀들인 기고와 레져 랜드는 아예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탈락하면서 재계약 팀들 중에선 제일 성공한 결과를 거뒀다.

5.4. 세미 파이널 탈락 (최종 4위) | GAME PANIC

파일:game_panic.png GAME PANIC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231815> 승 승점 pt
4 1 1 13 50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2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ffcb21><colcolor=#231815><rowcolor=#231815>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5 -
결과 패배 }}}
<rowcolor=#231815> 최종 결과 비고
세미 파이널 탈락 레귤러 스테이지 최다 pt
BPL 신곡 전승
GAME PANIC 선수별 결산
<colbgcolor=#ffcb21><colcolor=#231815><rowcolor=#231815>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KANEKO <colbgcolor=#ffcb21><colcolor=#231815> 레귤러 스테이지
세미 파이널
결승전 -
KN5 레귤러 스테이지
세미 파이널
결승전 -
PURAIMU 레귤러 스테이지
세미 파이널
결승전 -
KAC에서 좋은 모습을 거둔 선수들과 함께 기대를 끌어모았고, 이후 사볼 종목 첫 퍼펙트 승리를 만들고부터 연승을 거듭하여 지난 시즌의 어정쩡한 모습에서 환골탈태하는데 성공했고, 게임 패닉의 큰 특징이었던 BPL 신곡 전승도 유지하면서 이번 시즌에서 제일 큰 발전을 이뤄낸 팀이 되었다.

허나 이러한 화려한 레귤러 스테이지때의 모습와 달리 마지막 라운드 원 전에서 무승부를 거두면서 레귤러 스테이지 1위를 놓치고, 이어지는 세미파이널에서 바로 아랫순위였던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에게 패배하여 결국 또 다시 세미파이널 탈락이라는 허무하고 아쉬운 끝맺음을 짓게 되었다. 게임 패닉 입장에선 어느새 4회 연속 세미파이널 탈락(...)을 겪게 되었지만, 그래도 그 과정이 서서히 좋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게임 패닉이라는 팀이 점차 강해지고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5.5.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5위) | GiGO

파일:gigo_cut.png GiGO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fff> 승 승점 pt
2 1 3 7 36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5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006CDC><colcolor=#fff><rowcolor=#fff>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 -
결과 }}}
<rowcolor=#fff> 최종 결과 비고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GiGO 선수별 결산
<colbgcolor=#006CDC><colcolor=#fff><rowcolor=#fff>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H.R.-- <colbgcolor=#006CDC><colcolor=#fff> 레귤러 스테이지 7 5 0 2 14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SIRON. 레귤러 스테이지 10 4 3 3 13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DPE 레귤러 스테이지 7 1 3 3 9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지난 시즌 준우승팀 답게 쟁쟁한 경기를 보여주는 한편, 기고가 선수 전원과 재계약을 체결하는 동안 새로운 선수로 전력을 보강한 몇몇 팀들에게 패배하면서 어느새 중위권에서 멸망전을 벌이게 되었고, 결국 경쟁에서 밀린 채로 레귤러 스테이지가 종료되면서 그와 동시에 기고의 시즌도 마무리짓게 되었다.

에이스 호우라이는 첫 경기부터 카와쨩에게 대장전 0대 6 패배로 경기 역전패를 당하는 굴욕과 함께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경기에서도 승리와 pt를 쌓기는 했지만, 체급이 제일 높은 선수가 주로 맡는 대장전에서의 성적은 곡 3승 6패, 세트 1승 2패에 최종 획득 pt는 1지명 중에서 제일 pt가 낮은 카와쨩과 딱 1pt 차이라 그렇게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시론은 묘하게 존재감이 옅었던 지난 시즌과 달리 팀원들 중 제일 많은 세트를 맡으면서 모습을 자주 비췄다. 유일한 대장전 출전이었던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 전에서 무재배를 짓고, 실크 햇 전에선 화려한 실력으로 승승장구하는 스토라를 상대로 승리하는 활약을 보여주었으며, 성적 역시 같은 2지명 선수들 중에서 중간 정도는 하면서[1] 팀에 힘을 보탰다.

데프는 선수를 골고루 기용하는 기고답게 이번 시즌에서도 대장전을 두 번 맡는 등 다른 팀원들 못지 않게 역할이 무거웠고, 그런 상황에서도 볼을 노브곡으로 4대 2 업셋을 찍는 무시못할 활약을 보여주면서 분투를 벌였다. 다만 지난 시즌과 달리 패배수가 좀 더 많았고, 같은 3지명 선수인 아피나 브레임즈의 페이퍼에게 대장전을 2대 4로 패배하여 기고를 탈락 위기로 몰아넣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지난 시즌 기고는 패배가 결승전 딱 한 번 뿐이었을 정도로 경기력이 좋았으면 좋았지 결코 나쁘지 않았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실크 햇과 게임 패닉이 더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슈퍼팀이라는 기대를 받은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보다 더 견고한 더블 에이스 팀이 되면서 다른 팀들이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는 위치까지 올라간 바람에 기고는 지난 시즌과 전혀 다른 상황에서 결승 토너먼트 진출 경쟁에 나섰다. 특히 남은 대진도 기고와 인접한 순위에 있던 라운드 원과 아피나 브레임즈[2]였기에 그 중요도는 컸지만, 앞의 경기에서 호우라이와 시론의 코스트를 많이 소비하는 바람에 데프에게 통나무를 맡겨야 했다.
다행히 라운드 원 전은 데프가 업셋승을 일궈내면서 승리했고 이어지는 아피나 브레임즈가 기고 전 대장전 선수로 3지명 선수 페이퍼를 기용하면서 잘만 하면 충분히 진출각이 보이는 상황이었지만 결국 아피나 브레임즈 전 패배로 자력 진출이 좌절되었고, 이어지는 경기에서 아피나 브레임즈의 탈락 가능성이 모두 소멸하고, 할만한 경기가 하나 남았던[3] 타이토 스테이션 트래즈가 승점을 추가하는 것을 지켜보며 최종 5위로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탈락하는 결말을 맞아야 했다.

같은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팀들인 라운드 원, 레져 랜드와 비교해봐도 각자 서로 다른 이유로 일찍이 하위권 자리에 앉은 나머지 두 팀과 달리 기고는 적어도 1월 한달동안은 결승 토너먼트 진출권에 있었으며, 선수들의 평균 성적 역시 함께 중위권 경쟁을 했던 팀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즉, 기고의 탈락에는 같은 시즌의 IIDX 팀과 비슷하게 중요한 순간에 이기지 못했다는 점이 패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비슷한 결말을 두 번 내리 당한 셈이다.

5.6.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6위) | ROUND1

파일:logo_round-1.png ROUND1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fff> 승 승점 pt
1 1 4 4 30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6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d80c18><colcolor=#fff><rowcolor=#fff>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 -
결과 }}}
<rowcolor=#fff> 최종 결과 비고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ROUND1 선수별 결산
<colbgcolor=#d80c18><colcolor=#fff><rowcolor=#fff>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BOLL <colbgcolor=#d80c18><colcolor=#fff> 레귤러 스테이지 8 5 0 3 14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XD*POTE. 레귤러 스테이지 6 2 1 3 7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REIK 레귤러 스테이지 10 3 1 6 9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이래저래 말이 많았던 이번 시즌 진행의 최대 피해 팀. 적어보이면서도 큰 변화를 거치면서 올해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지만 혼자 불균형한 일정을 받은 와중에 경기 하나가 맨 뒤로 연기되는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떨어지면서 제대로 먹구름이 꼈고, 선수들 모두 나름대로 분투를 벌였지만 결국 그 동안 쌓여간 패배와 경기가 뒷날에 몰린 영향으로 인한 스트래티지 카드 짬처리의 피해, 그리고 고난같은 경기 일정에 굴복하면서 이번 시즌도 하위권을 거두며 탈락하고 말았다.

볼은 대장전 보다는 선봉전, 중견전 위주로 출전을 했다보니 상대적으로 낮은 체급의 선수를 자주 만난 덕에 세트승이 많기는 했으나 대장전에서는 유이치에게 2대 4로 패배, 3지명 선수인 데프에게 본인의 특기인 노브 패턴으로 타선곡과 자선곡을 패배하는 굴욕을 당하면서 전패했고, 획득 pt 역시 같은 1지명 중에서 제일 적은 pt를 기록한 카와쨩과 불과 1pt밖에 차이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부족한 성과를 거뒀다.

포테사츠 역시 지난 시즌에 이어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고, 하위 지명 선수인 레이카가 많은 푸시를 받고 그만큼 성과를 낸 덕분에 이번 시즌에서도 평소의 인기만큼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그래도 선봉전에선 같은 2지명 선수인 요바테와 피콜텍스를 모두 이기면서 메가믹스 배틀에서는 나름대로 존재감을 보였다.

신규 선수 레이카는 팀에서도 작정하고 경험치를 주면서 밀어준 덕분에 많은 경기를 뛰게 되었고, 시즌 동안 레져 랜드의 에이스 카와쨩을 업셋해서 라운드 원의 첫 승리를 확정짓거나 레비안과의 BPL 신곡에서도 초접전을 보여주는 등 전임자 마히나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준수한 경기력과 무시못할 고점을 보여주었다.

2연속 내리 하위권으로 고배를 마시기는 했지만, 그래도 다른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팀들에 비하면 희망을 비춘 시즌이었다. 감독으로 직책을 전환한 마히나를 비롯해 감코진들이 시즌 초반에 실험 로스터를 통해 2월에 예정된 고된 일정을 소화하기 위한 경험치 확보에 나서는 그럴싸한 전략을 세우는 등 라운드 원의 준수한 경기 전략을 이어갔고, 신규 선수 레이카를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육성해냈으며, 상위권 팀이었던 게임 패닉과의 경기에선 간만에 고점이 터지면서 1위 사수에 바쁜 게임 패닉에게 고춧가루를 뿌리기도 했다. 지난 시즌 한 번도 못 해본 승리를 드디어 따낸 것도 라운드 원 나름대로 의미가 깊은 성과가 되었지만 아쉽게도 그것이 이번 시즌의 유일한 승리가 되었고, 3경기의 경기 연기를 감안해도 라운드 원이 거둔 성적이 총 1승 1무 4패로 꼴지 레져 랜드보다 딱 1무 차이기 때문에 정밀 큰 변화와 성장을 이뤘다면 다음 시즌이 열렸을 때 그를 증명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5.7.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최종 7위) | LEISURE LAND

파일:leisure_land.png LEISURE LAND
시즌 결과
레귤러 스테이지
<rowcolor=#fff> 승 승점 pt
1 0 5 3 20
{{{#!wiki style="margin:-16px -11px" 순위 7위
결승 토너먼트
<colbgcolor=#ff1d84><colcolor=#fff><rowcolor=#fff> 경기 세미 파이널 결승전
pt - -
결과 }}}
<rowcolor=#fff> 최종 결과 비고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 전체 최저 pt
BPL 최다 연패 경신(5연패)
LEISURE LAND 선수별 결산
<colbgcolor=#ff1d84><colcolor=#fff><rowcolor=#fff> 닉네임 성적 출전 수 획득 pt 비고
KAWACH <colbgcolor=#ff1d84><colcolor=#fff> 레귤러 스테이지 8 3 1 4 13 1지명 최저 pt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PICOLTEX 레귤러 스테이지 10 2 1 7 5 2지명 최저 pt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PNT*EEB 레귤러 스테이지 6 1 0 5 2 3지명 최저 pt
전체 최저 pt
세미 파이널 -
결승전 -
경기력을 충분히 입증받은 선수들과 한 시즌 더 함께하기로 결정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아피나 브레임즈에게 대패배를 당하면서 기세가 꺾이더니 이어지는 게임 패닉 전에서 퍼펙트 패배를 당하고부터는 전혀 다른 팀이 된 것마냥 이어지는 경기들에서 졸전을 펼치며 줄패배를 거둔 끝에 창단 첫 꼴지 + BPL 최초 시즌 5연패 + 각 지명 최저 pt라는 처참한 결말과 함께 BPL S2 IIDX 종목 준우승 이후부터 이어진 레져 랜드의 하락세의 정점을 찍었다.

에이스 카와쨩은 첫 경기인 기고 전에서 호우라이를 대장전에서 세트 째로 꺾어 역전승을 일궈내는 차력쇼를 펼치며 이번 시즌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나 싶었지만, 레져 랜드가 빠른 속도로 추락하면서 심적 압박을 크게 느낀 나머지[4] 푸라이무와 레이카에게 업셋을 허용하는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끝내 마지막 실크 햇 전에선 중견전과 대장전 모두 패배[5]하면서 무너지고 말았다.

피콜텍스는 출전한 10세트 중 무려 7세트나 패배하면서 부진했다. 거기다가 아피나 브레임즈 전과 게임 패닉 전에서 중견전과 대장전을 맡았으나 전패를 기록하면서 팀의 몰락의 시발점이 되어버렸다.

펜타는 레귤러 스테이지 여섯 경기동안 딱 한 번밖에 승리를 챙기지 못하는 모습을 비추면서 이번 시즌에서 가장 추락한 선수가 되었다. 어쨌든 마지막 실크 햇 전에서 힘겹게 다이키를 업셋하면서 마히나의 뒤를 잇는 전패 선수가 되지는 않았지만,[6] 지난 시즌에서 보여주었던 초각성 폼은 완전히 사라진 모습이었다.
[1] 엄청난 저력을 보여주며 에이스에 준하는 활약을 펼친 신규 선수 켄고와 스토라, 지난 시즌에서 실제로 에이스 포지션을 맡았던 무라카미보다는 포스가 약하긴 하지만, 나머지 2지명 선수들인 요바테, 포테사츠, 피콜텍스는 시론과 비교했을 때 매우 부진한 성적을 받았다.[2] 특히 기고의 마지막 상대인 아피나 브레임즈는 기고와 상황이 거의 똑같았다. 즉, 푸른색 더비에서 기고가 이겼다면 짐을 싸는 쪽은 아피나 브레임즈가 되었을 것이다.[3] 21경기 뒤로 미뤄졌던 3경기 라운드 원 전으로, 대장전이 레비안 vs 레이카가 되면서 타이토의 승률이 높은 경기가 되었다.[4] 이번 시즌 심정을 기록한 카와쨩의 노트에 따르면 기고 전 때부터 이번 시즌을 비관적으로 느꼈다고 한다. 그래도 팀원들의 격려와 스트래티지에 힘입어 기고 전은 승리로 마무리지었지만, 같은 날 이어서 진행된 아피나 브레임즈전에서 카와쨩은 선봉전을 승리했지만 피콜텍스와 펜타가 전패하는 바람에 이겨야만 한다는 중압감이 더더욱 커지게 되었고 (2월 경기가 어려울 것이라 느낀 것도 한몫했다.), 결국 다음날 게임 패닉 전에서 하위 지명 선수인 푸라이무를 상대로 게임을 복잡하게 풀어내려다 업셋패를 기록하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다.[5] 중견전에서도 두곡 모두 4위를 기록하면서 부진했다.[6] 전패를 목전에 앞둔 상태에서 끝내 승리를 쟁취한 것에 감정이 복받쳤는지 무릎을 꿇으면서 이겼다고 소리지르며 기뻐했, 팀원들 역시 펜타를 감싸면서 축하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