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4387f><colcolor=#ffffff> 5·18기념재단 五一八記念財團 The May 18 Foundation | |
| |
창립일 | 1994년 8월 30일 [1] |
이사장 | 윤목현 / 제16대 |
주소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쌍촌동) |
웹사이트 | |
대표전화 | 062-360-0518 |
1. 개요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의 민주정신과 대동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1994년 8월 30일에 뜻을 같이하는 광주시민, 해외 동포를 포함한 온 국민의 기금과 관련 피해자들의 보상금을 모아 설립되었다. 대한민국의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2005년부터 국비 보조사업인 '광주 민주, 인권, 평화지원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선양사업과 교육문화사업, 교류협력사업, 학술연구, 진상규명사업 등 다양한 방면의 기념사업을 전개하고 있다.2. 소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9d0f><bgcolor=#ffffff,#1c1d1f>5월은 명예가 아니고 멍에이며, 채권도 이권도 아닌 채무이고, 희생이고, 봉사입니다.[2]
윤한봉, 5.18기념재단 창립선언문 中 ||
윤한봉, 5.18기념재단 창립선언문 中 ||
(2016년부터 2024년까지의 로고.)
1980년대 후반에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5.18 민주화운동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 당시 학살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이를 위한 단체가 필요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1994년 8월 30일 5.18기념재단이 공식적으로 출범했으며 조비오 신부가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5.18 민주화운동의 민주정신과 대동정신을 기념하고 계승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 광주광역시청 근처에 위치한 5.18기념문화센터에 소재하고 있다.
3. 활동
- 기념사업 및 추모사업 - 선양사업
- 진상규명사업 - 진상규명 및 왜곡대웅, 기록물 아카이브, 디지털 아카이브 관리
- 학술연구 - 학술대회·포럼·세미나 개최, 연구논문 발간, 연구자 지원 및 양성
- 교육, 문화사업 - 대상별 교육연수, 교육자료 개발, 청년활동가 양성, 오월길 안내해설사 양성,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문화예술 아카이브, 전시 공연
- 장학사업
- 홍보, 출판사업 - 소식지 <주먹밥>, 뉴스레터, 인식도 조사
- 자선사업
- 시상사업 - 광주인권상, 5.18문학상, 5.18언론상, 힌츠페터국제보도상
- 국내외 민주인권단체와 연대사업 - 국내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연대, UN 및 국제 단체 연대, 국내외 활동가 연수
- 기타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3.1. 시상사업
3.1.1. 광주인권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인권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인권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 5.18문학상
오월문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오월문학 창작활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5.18기념재단과 한국작가회의, 계간 문학들이 공동주최하며 미등단 작가를 대상으로 공모전을 개최하는 신인상과 발간된지 2년 내 기성작가의 저서를 대상으로 하는 본상 두 가지 부문으로 구성된다. 신인상 공모전은 2005년부터, 본상은 2016년부터 제정해 운영 중이다. 신인상은 시, 소설, 아동문학 부문을 별도로 시상하며, 수상작에는 시 300만원, 소설 500만원, 아동문학 3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본상작에는 1,0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5.18문학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5.18문학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 5.18언론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5.18언론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5.18언론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4.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위르겐 힌츠페터는 광주 5.18 민주화운동의 실상을 전 세계의 알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은인' 독일 ARD의 가장 유명한 기자다. 한국영상기자협회는 이를 기려 5.18기념재단과 함께 매년 11월에 전 세계의 영상기자를 대상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보호하는데 공로가 있는 작품을 다섯 부문에 선정하여 시상한다. 상금은 각 부문 한화 1,000만원 정도로 상금 규모가 굉장히 큰 편이다. 2025년에 5회를 맞이한다. 시상식은 짝수해는 광주에서, 홀수해는 서울에서 개최한다.4. 역대 이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 | 5·18기념재단 역대 이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조철현 | 제2대 이기홍 | 제3대 김동원 | 제4대 윤영규 | 제5대 이광우 |
제6대 강신석 | 제7대 박석무 | 제8대 이홍길 | 제9대 윤광장 | 제10대 김준태 | |
제11대 오재일 | 제12대 차명석 | 제13대 이철우 | 제14대 정동년 | 제15대 원순석 | |
제16대 윤목현 |
||<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59d0f><rowbgcolor=#14387f> 대수 || 이름 || 임기 ||
초대 | 조철현(曺哲鉉) | 1994.08 ~ 1996.08 |
2대 | 이기홍(李基洪) | 1996.11 ~ 1999.07 |
3대 | 김동원(金東源) | 1999.07 ~ 2000.10 |
4대 | 윤영규(尹永奎) | 2000.10 ~ 2001.09 |
5대 | 이광우(李光宇) | 2001.09 ~ 2002.12 |
6대 | 강신석(姜信錫) | 2003.01 ~ 2004.03 |
7대 | 박석무(朴錫武) | 2004.03 ~ 2006.08 |
8대 | 이홍길(李洪吉) | 2006.08 ~ 2008.04 |
9대(보선) | 윤광장(尹光將) | 2008.04 ~ 2008.12 |
9대(재선) | 2009.05 ~ 2010.12 | |
10대 | 김준태(金準泰) | 2011.01 ~ 2013.01 |
11대 | 오재일(吳在一) | 2013.01 ~ 2015.01 |
12대 | 차명석(車明錫) | 2015.01 ~ 2018.01 |
13대 | 이철우(李哲佑) | 2018.05 ~ 2021.04 |
14대 | 정동년(鄭東年) | 2021.05 ~ 2022.05 |
15대 | 원순석(元順錫) | 2022.07 ~ 2025.07 |
16대 | 윤목현(尹穆鋗) | 2025.07 ~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