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5:52:34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

파일:ICC CHAMPIONS TROPHY LOGO (2025~).svg파일:ICC CHAMPIONS TROPHY LOGO WHITE (2025~).svg


역대 ICC 챔피언스 트로피
{{{#!wiki style="margin: -1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rowcolor=#ffffff> 1회
( 1998년 )
2회
( 2000년 )
3회
( 2002년 )
4회
( 2004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A]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A]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rowcolor=#ffffff> 5회
( 2006년 )
6회
( 2009년 )
7회
( 2013년 )
8회
( 2017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잉글랜드·웨일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잉글랜드·웨일스
<rowcolor=#ffffff> 9회
( 2025년 )
10회
( 2029년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A] 당시 대회 명칭은 『ICC 녹아웃 트로피』[A]
}}}}}}}}} ||

파일:2025 ICC CHAMPIONS TROPHY LOGO.svg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진출 과정
<colbgcolor=#FFF,#111><colcolor=#0A01FE,#00EC00>
조별리그
A조 <colbgcolor=#FFF,#111> B조
녹아웃
준결승 결승
}}}}}}}}} ||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2025 ICC Champions Trophy
2025 آئی سی سی چیمپئنز ٹرافی
파일:2025 ICC CHAMPIONS TROPHY LOGO.svg
<colbgcolor=#0A01FE><colcolor=#00EC00> 주최 <colbgcolor=#ffffff,#111><colcolor=#000,#e2d7d0> 국제 크리켓 평의회
(International Cricket Council)
개최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경기 방식 ODI (원데이 인터내셔널)[2]
대회 기간 2025년 2월 19일 ~ 2025년 3월 9일
(19일)
본선 참가국 개최국 파키스탄 포함 8개국
경기 수 15경기
(조별리그 12경기 + 녹아웃 3경기)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회 결과
우승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준우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공동 3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이전 대회
2017년
현재 대회 ▶ 이후 대회
2029년

1. 개요2. 상세3. 참가국 목록4. 개최지5. 조 편성6. 대회 진행
6.1. 조별리그6.2. 토너먼트
7. 대회 결과8. 여담

1. 개요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는 국제 크리켓 평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ODI(One Day International) 크리켓 대회로서, 2017년 이후 8년 만에 열리는 9번째 챔피언스 트로피이다. 동시에 파키스탄에서 열리는 최초의 챔피언스 트로피이기도 하다.[3] 2025년 2월 19일부터 3월 9일까지 대회가 진행된다.

2. 상세

해당 대회에서는 개최국인 파키스탄을 비롯해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뉴질랜드, 아프가니스탄, 잉글랜드, 방글라데시까지 8개국이 참가한다. 이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년 전 2023 크리켓 월드컵의 성적에 기반하여 출전 자격을 얻었다.[4]

파키스탄의 경우에는 1996 크리켓 월드컵(인도·스리랑카와 공동 개최) 이후 28년 만에 ICC 주관 국제 대회를 주최하게 되며,[5]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는 만큼 강력한 스핀 볼링과 기술적인 타격 중심의 경기가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파키스탄 당국이 해당 대회 개최를 통해 자국에서 하향세를 보이는 크리켓 열기를 다시 불러일으키고, 자국의 강력한 홈 경기력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위에서 상술한 3개의 경기장에 첨단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현대적인 경기 관람 환경을 제공시키도록 할 예정이다.

경기 내용은 조별리그(2×6경기), 준결승(2경기), 결승전으로 이루어지며, 각 팀은 4팀씩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게 된다. 조별리그에서는 각 팀이 3경기를 치르고,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3. 참가국 목록

국가 CWC 순위 ODI 랭킹[6] 출전 횟수 최고 성적
<colbgcolor=#FFF,#111><colcolor=#000,#e2d7d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개최국)
<colbgcolor=#00EC00><colcolor=#0A01FE> 5위 <colbgcolor=#FFF,#111><colcolor=#000,#e2d7d0> 3위 <colbgcolor=#FFF,#111><colcolor=#000,#e2d7d0> 9회[파키스탄] <colbgcolor=#FFF,#111><colcolor=#000,#e2d7d0> 우승[PAK]201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위 1위 9회[인도] 우승[IND]2002, 201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2위 4위 9회[남아공] 우승[SA]1998]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위 2위 9회[호주] 우승[AUS]2006, 200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위 5위 9회[뉴질랜드] 우승[NZL]2000]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6위 8위 1회[아프간] 첫 진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8] 7위 7위 9회[잉글랜드] 준우승[ENG]2004, 2013]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8위 9위 6회[방글라데시] 준결승[BAN]2017]

4. 개최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개최지 경기장 수용인원
라호르 가다피 스타디움
(Gaddafi Stadium)
34,000명
카라치 내셔널 스타디움
(National Stadium)
30,000명
라왈핀디 라왈핀디 크리켓 스타디움
(Rawalpindi Cricket Stadium)
20,000명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개최지 경기장 수용인원
두바이 두바이 국제 크리켓 경기장
(Dubai International Cricket Stadium)
25,000명

인도 대표팀이 선수들의 안전 문제 및 정치적인 긴장을 이유로 개최국인 파키스탄으로의 입국을 거부하면서,[23] ICC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랍에미리트두바이에서 대회를 준비하게 되었다.

5. 조 편성

A조 B조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개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6. 대회 진행

※ 결과표를 읽을 때 유의할 사항
1. 무승부. 두 팀 사이의 점수가 50오버 상에서 서로 똑같을 때
2. NR노리절트(No-Result). 우천 취소 등으로 인해 서스펜디드가 선언될 때 기록.
3. NRR네트 런 비율(Net Run Rate). 서로 대결한 두 팀 간의 런(득점, Run) 개수에 각 팀의 확정 오버(Over) 수를 나누어 뺀 값으로, 이긴 팀이 NRR의 해당 절댓값의 플러스(+)를 차지하고 진 팀이 NRR의 절댓값의 마이너스(-)를 가져가게 된다. 단, 두 팀 중에 한 팀 이상이 ODI 기준으로 50오버를 채우지 못한 채 10아웃을 당하게 되면 확정 오버 수가 몇이든 상관없이 NRR 상의 오버 수가 50으로 계산되어 (팀의 런 개수)/50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경우 두 팀에게는 상관이 없을지 몰라도 한 팀만 10아웃을 당하게 되면 아무리 같은 점수 상에 있더라도 누적 NRR을 비교할 때 상당히 불리해진다.

6.1. 조별리그

6.1.1. A조

순위 국가 경기 NR NRR 승점
<colbgcolor=#00EC00><colcolor=#0A01FE> 1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3 3 0 0 0 0.715 6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3 2 0 1 0 0.267 4
3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3 0 0 2 1 -0.443 1
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3 0 0 2 1 -1.087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A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A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A조#|]][[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A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2. B조

순위 국가 경기 NR NRR 승점
<colbgcolor=#00EC00><colcolor=#0A01FE> 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 2 0 0 1 2.395 5
2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 1 0 0 2 0.475 4
3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3 1 0 1 1 -0.990 3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 0 0 3 0 -1.159 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B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B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B조#|]][[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토너먼트

<rowcolor=#00EC00>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준결승|{{{#00EC00 준결승}}}]]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결승|{{{#00EC00 결승}}}]]
{{{#!wiki style="margin: 5px -10px"<rowcolor=#00EC00>
준결승 1경기 (2025년 3월 4일 18:00, 두바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후공) 267/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선공) 264
인도의 4위켓 차 승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rowcolor=#00EC00>
결승 (2025년 3월 9일 18:00, 두바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후공) 254/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선공) 251/7
인도의 4위켓 차 승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rowcolor=#00EC00>
준결승 2경기 (2025년 3월 5일 18:00, 라호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후공) 312/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선공) 362/6
뉴질랜드의 50런 차 승리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준결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준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준결승#|]][[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준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결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결승#|]][[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파키스탄/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준결승 1경기가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에 할당되었다. A조에서 인도가 결선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하면서 두바이에서 펼쳐질 준결승 1경기에 자동으로 배정되었다.

7. 대회 결과

2025 ICC 챔피언스 트로피 우승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3번째 우승)

8. 여담

  • 2009년부터 2017년까지 크리켓 공이 그려져 있는 로고를 사용해 왔다가 이 대회부터 위에서 상술한 것처럼 텍스트 중심의 로고로 리뉴얼하였는데, 위의 디자인 자체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텍스트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 인도가 이 대회를 우승하면서 챔피언스 트로피 단독 최다 우승 국가(3회)로 올라갔다. 이 대회에서 우승을 만끽한 인도 선수단 중 일부 선수들이 강남스타일 말춤 세리머니를 보이면서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 #


[1] 단, 인도 선수단에 한해 아랍에미리트에서도 대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2] 1오버 당 투구 수 6개로 규정하여 50오버, 즉 300개의 투구 수로 제한하여 경기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3] 사실은 17년 전에 2년제로 개최하던 시절 2008년에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치안 및 보안 문제로 인하여 무산된 바 있다.[4] (풀리그 성적 기준)
CWC 1위: 인도
CWC 2위: 남아프리카 공화국
CWC 3위: 호주
CWC 4위: 뉴질랜드
CWC 5위: 파키스탄 (개최국 자격)
CWC 6위: 아프가니스탄
CWC 7위: 잉글랜드
CWC 8위: 방글라데시
[5] 파키스탄 단독 개최로는 이 대회가 최초였지만, 인도 대표팀이 파키스탄 입국을 거부하면서 명목상 단독 개최로 그쳤다. 이전에 파키스탄에서 개최된 ICC 주관 크리켓 대회는 공동 개최로만 이루어졌다.(1987 CWC, 1996 CWC)[6] 2024년 11월 19일 기준.[파키스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PAK] [인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IND] [남아공]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SA] [호주]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AUS] [뉴질랜드]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NZL] [아프간] 2025[18] 웨일스ECB를 구성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웨일스 크리켓 국가대표팀은 존재하지 않는다.[잉글랜드] 1998, 2000, 2002, 2004, 2006, 2009, 2013, 2017, 2025[ENG] [방글라데시] 2000, 2002, 2004, 2006, 2017, 2025[BAN] [23] 2024년 12월 19일 기사 (알자지라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