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tablebordercolor=#333e48> | 2025 OWCS 챔피언스 클래시 경기 일정 |
승자조 | 패자조 | |
결승 | ||
결산 |
|
1. 개요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의 결승 경기의 기록을 작성한 문서이다.2. 경기 전 정보
2.1. 승부예측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 | Team Falcons 759명(52%)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d10028><tablebordercolor=#d10028> Crazy Raccoon 740명(48%) | | }}} |
3. 경기 내용
<rowcolor=#000> 항저우 e스포츠 센터 (항저우) | |||||||||||||||||||
| 2 | 4 | | ||||||||||||||||
Team Falcons | Crazy Racco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결과 | 우승 |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결승전 선발 라인업 | ||
| <colbgcolor=#f06314> | |
<colbgcolor=#02be6e><colcolor=#012b6a> Team Falcons | <colbgcolor=#d10028><colcolor=#000> Crazy Raccoon | |
최한빈 (Hanbin) | | 박준빈 (Junbin) |
김동현 (Proper) | | 이재원 (LIP) |
정학용 (Stalk3r) | | 채희상 (HeeSang) |
권준 (Fielder) | | 성유민 (CH0R0NG) |
한현석 (ChiYo) | | 김진서 (Shu) |
결승전 (2025. 03. 16.) | ||||||||
| | | | | | <colcolor=#fff> | ||
오아시스 | 수라바사 | 루나사피 | 66번 국도 | 이스페란사 | 서킷 로얄 | |||
| 2 | 1 | 1 | 2 | 0 | 3 | 2 | |
| 1 | 3 | 0 | 3 | 1 | 4 | 4 |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6세트=
, 문서명_선밴1=오리사, 초상화_선밴1=오리사, 팀로고_선밴1=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1=겐지(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겐지, 팀로고_후밴1=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2=마우가, 초상화_선밴2=마우가, 팀로고_선밴2=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후밴2=토르비욘, 초상화_후밴2=토르비욘, 팀로고_후밴2=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3=아나(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아나, 팀로고_선밴3=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3=캐서디, 초상화_후밴3=캐서디, 팀로고_후밴3=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4=젠야타, 초상화_선밴4=젠야타, 팀로고_선밴4=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후밴4=해저드, 초상화_후밴4=해저드, 팀로고_후밴4=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5=브리기테, 초상화_선밴5=브리기테, 팀로고_선밴5=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5=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후밴5=트레이서, 팀로고_후밴5=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6=라마트라, 초상화_선밴6=라마트라, 팀로고_선밴6=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6=주노(오버워치), 초상화_후밴6=주노, 팀로고_후밴6=Crazy Raccoon 로고.svg)]
Player of the Match | |
3.1. 1세트
3.2. 2세트
3.3. 3세트
3.4. 4세트
3.5. 5세트
3.6. 6세트
| 박준빈 (Junbin) | ⇆ | 최수민 (MAX) | |
4. 총평
결국 C팔전이 돌고 돌아 다시 한번 더 성사됐다. 이번 챔피언스 클래시는 중국팀이 참전했고, 여러 해외 팀에 한국인 코치나 감독이 기용되면서 해외 팀의 수준도 엄청나게 상승했다. CR과 팔콘 둘 다 결승전에 쉽게 올라가지는 못했고, 치열한 경쟁 속에 결승전에서 다시 한번 더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치열한 토너먼트가 있었음에도, 결승전은 앞선 토너먼트보다 더욱 치열한 경기가 되었다.4.1. 우승 - Crazy Raccoon
라쿤은 2일차에 나이트메어를 상대로 부족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며 패배했고, 패자조에서 VP를 상대로 1세트를 어이없게 내주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2일차의 5번째 매치에서 강팀인 OA를 상대로 각성하여 3:0 승리를 거두며 부활을 알렸고, 이후로 패자조 결승에서 나이트메어를 다시 만나 3:0으로 복수를 성공하였고 아시아 우승자였던 팔콘을 상대로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며 4:2 승리를 거두며 아시아에서의 복수를 성공하게 되었다.여담으로 2일차의 앞선 두 경기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3번째 경기에서 선수들의 집중력이 현저히 달라졌는데, 이는 문병철 감독의 기강 잡기(...)가 원인이 아니냐고 추측하는 커뮤니티 여론이 있었다. 당시 유행하던 밈인 퉁퉁퉁퉁 사후르 밈과 엮이며 문문문문 사후르 밈이 생겨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