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0:41:57

202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결승전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e4002b 1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1982 RSO 1983 FCB 1984 ATH 1985 ATM 1988 RMA
1989 RMA 1990 RMA 1991 FCB 1992 FCB 1993 RMA
1994 FCB 1995 DEP 1996 FCB 1997 RMA 1998 MLL
1999 VAL 2000 DEP 2001 RMA 2002 DEP 2003 RMA
2004 ZAR 2005 FCB 2006 FCB 2007 SEV 2008 RMA
2009 FCB 2010 FCB 2011 FCB 2012 RMA 2013 FCB
2014 ATM 2015 ATH 2016 FCB 2017 RMA 2018 FCB
2020 RMA 2021 ATH 2022 RMA 2023 FCB 2024 RMA
2025 FCB 2026 ○○ 2027 ○○ 2028 ○○ 2029 ○○

}}}}}}}}}}}}}}}}}} ||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결승전
2024
리야드
2024-25
제다
2026
--

1. 진출팀2. 경기 전3. 선발 라인업4. 경기 내용5. 결과

1. 진출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2. 경기 전

리그 전반기 레알 마드리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0:4 승리를 거뒀기에 바르셀로나의 우세가 점쳐졌다.

3. 선발 라인업

<colcolor=#000,#fff> FC 바르셀로나 라인업 4-2-3-1
CF
9 레반도프스키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22'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36'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7'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11 하피냐
C
파일:득점 아이콘.svg 39', 48'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45+10' 파일:부상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9’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9'[A]
7 페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9’
CAM
6 가비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59’
13 이냐키 페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59’
RW
19 라민 야말 파일:득점 아이콘.svg 22'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59’
20 올모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59’
}}}
LCM
8 페드리
RCM
17 M. 카사도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48'
LB
3 발데 파일:득점 아이콘.svg 45+10'
LCB
5 I. 마르티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28’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5+8'[A]
4 R. 아라우호
C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8’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7'
RCB
2 쿠바르시
RB
23 쿤데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39'
GK
25 슈체스니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56'
SUB 13 이냐키 페냐, 26 아스트랄라가
4 R. 아라우호, 7 페란, 16 페르민
18 파우 빅토르, 20 올모, 21 F. 더 용
24 에릭, 32 H. 포트, 35 제라르 마르틴
감독 한지 플릭

4. 경기 내용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202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결승
2025. 01. 13.(월) 04:00 (UTC+9)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헤수스 힐 만사노
관중: 60,000명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 : 5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5' 킬리안 음바페 (A.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60' 호드리구 고이스 (FK)
파일:득점 아이콘.svg 22' 라민 야말 (A.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36'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PK)
39', 48' 하피냐 (A. 39' 쥘 쿤데, 48' 마르크 카사도)
45+10' 알레한드로 발데 (A. 하피냐)
<rowcolor=#000>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57'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King of the Match: 하피냐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캐스터 해설
윤장현 황덕연

레알 마드리드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바르셀로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colbgcolor=#ff2603> 스코어 5
49% 점유율 51%
19 슈팅 14
6 유효슈팅 8
403 패스 횟수 433
85% 패스 성공률 87%
9 코너킥 5
1 오프사이드 1
14 파울 13
5/0 경고/퇴장 4/1
}}} ||
결장 선수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1 GK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크안드레 테어 슈테겐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0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안수 파티 명단 제외
14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토레 명단 제외
15 DF 파일:덴마크 국기.svg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유스 콜업 선수
번호 포지션 이름 소속
26 GK 파일:스페인 국기.svg 안데르 아스트랄라가 아틀레틱
2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크 베르날 후베닐 A
32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엑토르 포트 후베닐 A
35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제라르 마르틴 아틀레틱
36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지 도밍게스 아틀레틱
42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아틀레틱

경기 초반부터 바르셀로나가 주도권을 잡았다. 전반 3분 라민 야말이 측면에서 중앙으로 파고들어 날카로운 슈팅을 시도한 것이 페를랑 멘디에 굴절되어 절묘한 코스로 연결되었으나 티보 쿠르투아가 막아냈다. 이어 전반 5분에는 측면에서 연결된 크로스를 하피냐가 헤더로 방향을 바꿨지만 쿠르투아가 빠르게 반응해 쳐냈다. 곧이어 상대의 볼을 가로챈 비니시우스 주니오르가 역습을 시도했고, 비니시우스의 패스를 받은 킬리안 음바페가 폭발적인 스피드와 개인기술로 알레한드로 발데를 쉽게 따돌리며 정교한 슈팅으로 골망을 흔들었다. 그렇게 레알 마드리드가 선제골을 기록하며 기분좋게 출발하는 듯했다. 그러나...

선제골을 내준 바르셀로나가 경기를 주도하며 공세를 펼쳤고,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절묘한 스루패스를 받은 라민 야말이 침착하게 오렐리앵 추아메니를 벗겨내고 정확한 슈팅을 시도했고, 이 볼이 골문 구석으로 빨려 들어가며 동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다 전반 28분에 바르셀로나는 부상을 입은 이니고 마르티네스가 나가고, 로날드 아라우호가 들어갔다. 이후에도 경기는 바르셀로나가 주도하는 상황에서 전반 35분 에두아르도 카마빙가가비를 향해 태클을 시도하는 것이 몸에 컨택이 생기고 말았고, VAR 끝에 페널티킥이 선언됐다. 그리고 레반도프스키가 깔끔하게 마무리하며 경기는 바르셀로나가 역전에 성공했다. 이후에도 바르셀로나의 기세는 엄청났다. 전반 39분 쥘 쿤데가 추아메니와 루카스 바스케스의 방심을 틈타 얼리 크로스를 올려 쇄도하던 하피냐가 예술적인 헤더로 골망을 흔들었다. 그렇게 점수가 벌어진 상황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추가시갓 코너킥에서 호드리구가 어이없는 패스 미스를 범했고, 이것이 역습으로 연결되어 하피냐의 도움을 받은 알레한드로 발데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4-1 스코어가 된 채 전반전이 마무리되었다.

레알 마드리드는 후반 시작과 함께 카마빙가를 대신해 다니 세바요스를 투입해 변화를 줬다. 그러나 추가골의 몫은 바르셀로나였다. 후반 3분 마르크 카사도가 빠른 역습을 시도해 레알 마드리드의 뒷공간을 가르는 패스를 건넸고, 이 볼을 잡은 하피냐가 확실하게 마무리하며 팀의 5번째 득점을 만들었다. 그러던 후반 11분에는 음바페가 환상적인 라인 브레이킹에 이은 슈팅 페이크로 보이치에흐 슈체스니의 퇴장을 유도해내며 변수를 만들어냈고, 그러자 곧바로 바르셀로나는 이냐키 페냐다니 올모를 투입하며 수적 열세에 대비했다. 슈체스니의 퇴장으로 만들어진 후반 15분 프리킥 찬스에서는 호드리구가 파 포스트를 노린 킥으로 골망을 가르며 한 골 따라잡는 데 성공했다. 그러다 경기 막바지에는 킬리안 음바페가 환상적인 턴에 이은 힐패스로 주드 벨링엄에게 득점 찬스가 만들어졌으나 쥘 쿤데의 태클에 의해 저지되었고, 곧바로 음바페가 솔로 플레이에 이은 날카로운 슈팅을 시도했으나 페냐의 선방에 막히며 추가 득점에 실패한 채 경기는 5-2 승리로 종료되었다.

5. 결과

2024-2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FC Barcelona
15번째 우승

지난 엘 클라시코에 이어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완벽히 압도하며 이번 시즌 내내 완벽한 천적 관계로 만들었다.

전반 이른 시간에 선제골을 먹혔지만 이후 무려 4골을 연달아 득점하며 최고의 공격 집중력을 보여주며 4-1로 리드하며 전반을 끝냈다. 후반 시작과 거의 동시에 또 골을 넣어 5-1이 되었지만, 골키퍼 보이치에흐 슈체스니가 퇴장당해 대신 이냐키 페냐가 들어오고 프리킥으로 1골을 추가한 후 의도치 않은 10:11 경기를 치렀지만 내려앉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압박하는 등 수적 열세의 상황에서도 대등 이상의 수준 높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이번 시즌 최고의 경기력으로 레알 마드리드의 영혼까지 탈탈 털었다.

말 그대로 레알 마드리드의 대굴욕이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을 경기였는데, 바르셀로나 키퍼 슈체스니가 위험한 태클을 날려 퇴장 당해 수적 열세가 나오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더 점수 차가 벌어졌을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바르셀로나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A] 경기 중이 아님[A] 경기 중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