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2024-25 시즌 | ||||
플레이오프 | 리그 스테이지 (서아시아 / 동아시아) | 16강 | 파이널 스테이지 | 결승 |
|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결승전 | ||||
2023-24 | → | 2024-25 | → | 2025-26 |
파일: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세리모니.jpg | |
| |
2024-25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 |
미정 | |
Player Of the Match | 미정 |
|
ACL Elite Final Jeddah 2025 |
1. 개요
|
2. 진출 구단
| |
알 아흘리 SFC | 가와사키 프론탈레 |
2.1. 알 아흘리 SFC
2.2. 가와사키 프론탈레
2.3. Road to the Final
| <colbgcolor=#B9A073> 팀 | | ||||||||
<colbgcolor=#fff> 대진 | 결과 | 리그 스테이지 | <colbgcolor=#fff> 대진 | 결과 | ||||||
| 1:0 승 (홈) | 경기일 1 | | 0:1 승리 (원정) | ||||||
| 0:2 승 (원정) | 경기일 2 | | 0:1 패배 (홈) | ||||||
| 1:2 승 (원정) | 경기일 3 | | 2:0 패 (원정) | ||||||
| 5:1 승 (홈) | 경기일 4 | | 3:1 승 (홈) | ||||||
| 1:2 승 (원정) | 경기일 5 | | 0:3 승 (원정) | ||||||
| 2:2 무 (홈) | 경기일 6 | | | ||||||
| 1:3 승 (원정) | 경기일 7 | | 0:4 승 (원정) | ||||||
| 4:2 승 (홈) | 경기일 8 | | 2:0 승 (홈) | ||||||
서아시아 2위 (7승 1무 0패 승점 22점) | 리그 스테이지 순위 | 동아시아 2위 (5승 0무 2패 승점 15점) |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녹아웃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5:1 승 | 1:3 승 (원정) | 2:0 승 (홈) | 16강 | | 4:1 승 | 1:0 패 (원정) | 4:0 승 (홈) | ||
| 3:0 승 | 8강 | | 3:2 승 (A.E.T.) | ||||||
| 3:1 승 | 준결승 | | 2:3 승 | ||||||
11승 1무 0패 (32득점 10실점) | 합계 성적 | 8승 0무 3패 (23득점 9실점) |
3. 경기 전 예측
4. 상대 전적
5. 라인업
| |
6. 경기 내용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 ||
주심: | ||
관중: 명 | ||
| ||
알 아흘리 SFC | 가와사키 프론탈레 | |
# | # | |
- | | - |
<rowcolor=#28024F>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
Man of the Match: |
국내 중계 | ||
| 캐스터 미정 | 해설자 미정 |
6.1. 전반전
6.2. 후반전
7. 총평
7.1. 경기 총평
7.2. 우승: 미정
7.3. 준우승: 미정
8. 여담
- K리그는 21세기에 개막한 모든 아챔 무대에서 총 23번의 결승 무대가 열릴 동안 만약 결승전이 단판으로 열릴 경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시절에 2번,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시절에 6번으로 8번 모두 결승 진출의 기록을 갖고 있었으나, ACL 엘리트로 개편된 이번 대회에서는 유일하게 토너먼트에 오른 광주 FC가 8강에서 탈락하며 이 기록이 마감되었다.
- 2016년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우승한 이후 J리그는 3년 연속으로 결승 진출 팀을 배출하며 우승 2회 준우승 1회를 거뒀고, 이후 울산 현대의 우승, 포항 스틸러스의 준우승으로 다시 K리그가 2회 연속 결승 진출, 이후 이번 시즌 가와사키가 결승에 올라가며 J리그는 다시 3년 연속 결승 진출 팀을 배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는 현재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 중인 상황에서 가와사키가 또다시 사우디 팀을 꺾고 역사에 남을 우승을 만들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 가와사키의 결승 진출로 중동 팀들간의 맞대결은 2005년 이후로 20년 동안 열리지 않게 되었고, 매년 1팀씩 동아시아쪽 클럽이 결승에 진출하는 기록은 유지되었다.
- 가와사키가 우승하면 정성룡은 2010년 이후로 15년 만에 AFC 챔피언스 리그에 우승하는 기록을 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