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2:06:09

2024 이스포츠 대학리그

파일:2024_이스포츠 대학리그 로고.png
2024 이스포츠 대학리그
<colbgcolor=#6779b9> 대회 기간 2024년 7월 ~ 2024년 11월 24일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 파일: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CI.svg
파일: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심볼.svg 파일:부산정보산업진흥원 로고.png
경기장 부산이스포츠경기장
후원 파일:한국콘텐츠진흥원 CI.svg파일:한국콘텐츠진흥원 흰색 CI.svg 파일:우리금융그룹 로고.svg [1]
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svg 파일:넥슨 로고.svg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역대표
선발전
수도/강원권
호남/제주권
충청권
영남권
전국 본선 1일차
9월 21~22일
2일차
9월 28~29일
3일차
10월 12~13일
4일차
11월 2~3일
결선진출전
11월 9일
전국 결선
11월 23~24일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6779b9> LOL 우승 <colbgcolor=#6779b9> FC 온라인 우승
LOL 준우승 FC 온라인 준우승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다시보기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참가팀
2.1. LOL 시드권 선발대학2.2. LOL 지역 대표2.3. FC 온라인 시드권 선발대학2.4. FC 온라인 지역 대표
3. 대회 진행
3.1. 지역대표 선발전
3.1.1. 수도/강원권3.1.2. 호남/제주권3.1.3. 충청권3.1.4. 영남권
3.2. 전국 본선
3.2.1. LOL
3.2.1.1. 순위표
3.2.2. FC 온라인
3.2.2.1. 순위표
3.3. 결선 진출전
3.3.1. LOL3.3.2. FC 온라인
3.4. 전국 결선
3.4.1. LOL3.4.2. FC 온라인
4. 상금5. 자격제한6. 2024년 변경점7. 앰배서더8. 중계진

[clearfix]

1. 개요

MAKE YOUR E-SPIRT
2024년에 개막한 이스포츠 대학리그에 대한 문서이다.

2. 참가팀

2.1. LOL 시드권 선발대학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6779b9> 파일:2023_이스포츠 대학리그 로고.png 2024 이스포츠 대학리그
LOL 시드권팀
}}}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파일:학교법인 경희학원 심볼.svg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강남대학교
ON:WE
경희대학교
ESPers
계원예술대학교
ARKADE
광운대학교
PUB
국제대학교
e스포츠과
단국대학교
M.O.D.E
파일:대경대학교 UI.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동아대학교 UI.svg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대경대학교
DKG
동국대학교
NIRVANA
동아대학교
Game Crew
동양대학교
NBM
부산대학교
Ultimate
서울대학교
이스포츠부
파일:수성대학교 UI.svg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신구대학교 UI.svg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오산대학교 UI.svg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메타버스크리에이터과
서울시립대학교
LEVEL UP
신구대학교
CENTAURS
영남대학교
EVE
오산대학교
RAVENS
전남과학대학교
e스포츠과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파일:청주대학교 UI.svg 파일:POSTECH_emblem.svg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파일:KAIST_emblem.svg
조선이공대학교
JOYS
청주대학교
PLAYLIST
포항공과대학교
POTENTIAL
한신대학교
O.t.h.e.r
홍익대학교
ExP
KAIST
OPTeamus

2.2. LOL 지역 대표


2.3. FC 온라인 시드권 선발대학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6779b9> 파일:2023_이스포츠 대학리그 로고.png 2024 이스포츠 대학리그
FC 온라인 시드권팀
}}}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대경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
FCO
광운대학교
PUB
단국대학교
M.O.D.E
대경대학교
DKG
파일:신구대학교 UI.svg 파일:오산대학교 UI.svg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CENTAURS
오산대학교
RAVENS
청주대학교
PLAYLIST

2.4. FC 온라인 지역 대표


3. 대회 진행

3.1. 지역대표 선발전

  • LOL 종목의 경우 참가 팀 수에 따라 자율로 대전 방식을 정할 수 있다. 진영 선택권은 코인 토스 등을 통하여 정하며 이후 세트는 전 세트 패배 팀이 선택한다.
  • FC 온라인 종목의 경우 싱글 토너먼트 방식으로 한 판 당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3 대 3 엔트리 방식으로 3세트 2선승제 단판으로 진행된다. 진영 선택권은 코인 토스 등을 통하여 승자가 1, 3세트 HOME으로 진행한다.

3.1.1. 수도/강원권

3.1.2. 호남/제주권

3.1.3. 충청권

3.1.4. 영남권

3.2. 전국 본선

3.2.1. LOL

  • 2개 조 12팀으로 나누어 각 팀 당 11경기 단판으로 총 132경기를 진행한다. 진영은 경기 직전 코인 토스를 통해 정해진다.
3.2.1.1. 순위표

3.2.2. FC 온라인

  • 단일조로 각 팀 당 6경기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3 대 3 엔트리 방식으로 3세트 2선승제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총 42경기 진행된다. 경기 직전 코인 토스를 통해 승자가 1, 3세트 HOME으로 진행한다.
3.2.2.1. 순위표

3.3. 결선 진출전

3.3.1. LOL

3.3.2. FC 온라인

3.4. 전국 결선

3.4.1. LOL

  • 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진행 방식은 2021~2022 LCK 플레이오프와 같다.
  • 전 경기 3판 2선승제로 진행한다.
  • 코인 토스를 통해 1세트 진영 선택권을 가지며 이후 세트는 전 세트 패배 팀이 선택한다.

3.4.2. FC 온라인

  • 4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 한 판 당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3 대 3 엔트리 방식으로 3세트 2선승제 단판으로 진행한다.
  • 코인 토스를 통해 승자가 1, 3세트 HOME으로 진행한다.

4. 상금

  • 총 상금 : 3200만 원
    • LOL : 총 1900만 원
    • FC 온라인 : 총 1300만 원
      • 지역대표 선발전
        순위 상금 비고

        1위 50만 원 결선 진출전 참가권

        2위 30만 원

        4강 10만 원
      • 전국 본선
        순위 상금 비고

        1위 200만 원 전국 결선 진출

        2위 100만 원 전국 결선 진출

        3위 80만 원 결선 진출전 참가

        4위 50만 원 결선 진출전 참가

        5~6위 25만 원 결선 진출전 참가

        7~8위 10만 원 결선 진출전 참가

        9~10위 - 결선 진출전 참가
      • 전국 결선
        • LOL

        순위 상금 비고

        우승 200만 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준우승 100만 원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

        3위 80만 원 한국이스포츠협회장상

        4위 50만 원

        6강 20만 원

        MVP 30만 원 후원사 표창
        • FC 온라인

        순위 상금 비고

        우승 200만 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준우승 100만 원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

        3위 50만 원 한국이스포츠협회장상

        4위 20만 원

        MVP 30만 원 후원사 표창
  • 참가자격 기망 등 중대사유로 탈락한 팀은 상금 미지급한다.
  • 입상한 팀이 전국 본선 또는 전국 결선 참가가 불가능할 경우 차순위팀에게 참가권을 부여할 수 있다.

5. 자격제한

  • 2024년 2학기 기준 휴학, 군입대, 대학원, 평생교육원 재학생은 참가가 불가하다.
  • 이원화 캠퍼스의 경우 캠퍼스 혼합으로 팀을 구성할 수 있으며 캠퍼스가 소속된 지역 중 하나를 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 분교는 개별대학으로 인정되여 같은 팀으로 구성할 수 없다.
  • LOL 종목은 본인 명의의 30레벨 이상 라이엇 계정을 보유하지 않거나(직계가족 명의 계정 사용 불가) LCK, LCK CL, 타 국가의 LOL 1부, 2부 리그에 소속된 자는 참가할 수 없다.
  • FC 온라인 종목은 본인 명의의 FC 온라 계정을 보유하지 않으면 참가할 수 없다(직계가족 명의 계정 사용 불가).또한 총 급여는 2조 BP로 제한된다.
  • 모든 종목에서 본인 소유의 모든 계정에 대리 게임, 계정 공유, 어뷰징, 부정행위 프로그램 사용으로 인한 제재자는 참가할 수 없다.

6. 2024년 변경점

  • 배틀그라운드가 종목에서 제외되고 FC 온라인이 추가되었다.
  • 시드권 종목이 LOL과 FC 온라인 두 종목으로 증가하였으며 시드권 팀 수도 20 24팀과 10 7팀으로 증가하였다.
  • 사이버대학 재학 중인 학생들도 이번 년도부터 참가가 가능하다.
  • 총 상금이 3200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 지역 대표 팀들은 전국 본선에 참가하지 않는다. 일반 학생들로 구성된 지역 대표 팀들이 매 번 경기장까지 오고 가는데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실제로 이 때문에 작년에 한 팀이 기권을 했기 때문.
  • 전국 본선 중하위권 팀들에게도 긴장감 조성을 위해 래더 토너먼트 형식의 결선 진출전을 도입하였다.
  • 시드권 팀에 선수와 코칭스태프 외 미디어크루 직군을 추가하여 현장 취재 및 경기장 출입 권한을 부여한다.
  • 시드권 팀에 100만 원 상당을 운영비를 장학금 형태로 지금한다.
  • 자체 중계를 진행하는 시드권 팀에게 클린피드와 옵저빙 권한 제공에 더해 OAP와 디자인 에셋을 지원한다.
  • 시드권 팀 중 지원하는 팀에게는 2학기 대학 축제 부스 운영을 지원한다.
  • 선수들의 랭크 및 경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 기존에 서울에서만 진행되었던 e유니언즈를 4개의 지역 경기장과 연계하여 지방 학생 참여 편의를 제공한다.

7. 앰배서더


8. 중계진



[1]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