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1:01:25

2023-24 SVNS

2023-24 SVNS
<colbgcolor=#ffc> 기간 2023.12.2. ~ 2024.6.2.
팀 수 12팀[1]
대회 결과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첫 우승)
준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회)
강등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 개요2. 참가국3. 시리즈4. 결과 (남자부)
4.1. 결승전4.2. 강등전4.3. 개인 기록
5. 기타

[clearfix]

1. 개요

월드 럭비 주관 세계 최상위 7인제 대회의 25번째 시즌이다. 그리고 SVNS로 대회명을 바꾸고 열린 첫 대회다. 지난 시즌에 비해 팀 수는 16팀에서 12팀으로, 시리즈 수는 10개에서 8개로 줄었다. 7차 대회까지 누적된 성적에 따라 결승 대회인 마드리드 세븐스 및 승강전 참가자가 결정된다.

여자부도 같은 일정으로 진행된다.

전 경기를 럭비패스TV에서 무료로 생중계해준다.

2. 참가국

2022-23시즌 마지막 시리즈였던 런던 세븐스 결과에 따라 강등될 팀을 가렸다. 그 결과 14위였던 캐나다는 살아남고, 12위 우루과이, 13위 케냐, 15위 일본은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로 가게 되었다. 그 말은, 과거엔 꼴찌만 아니면 강등을 면했지만 이제는 8등 밑으로는 강등권이란 얘기다.
  • 오세아니아(4) - 뉴질랜드 (1위), 피지 (3위), 호주 (5위), 사모아 (6위)
  • 남아메리카(1) - 아르헨티나 (2위)
  • 유럽(4) - 프랑스 (4위), 아일랜드 (8위), 영국 (9위), 스페인 (11위)
  • 아프리카(1) - 남아공 (7위)
  • 북아메리카(2) - 미국 (10위), 캐나다 (14위)
2022-23시즌 초청 팀으로 참가했었던 통가, 홍콩, 칠레, 우간다, 독일은 당연히 SVNS가 아닌 챌린저 시리즈에 참가한다.

참가국이 줄면서 각 시리즈 순위에 따른 승점도 조정되었다.
<rowcolor=#fff> 순위 기존 변경
<colbgcolor=#ffc> 우승 22점 20점
준우승 19점 18점
3위 17점 16점
4위 15점 14점
5위 13점 12점
6위 12점 10점
7위 10점 8점
8위 10점 6점
9위 8점 4점
10위 7점 3점
11위 5점 2점
12위 5점 1점
13위 3점
14위 2점
15위 1점
16위 1점

3. 시리즈

<rowcolor=#fff> 순서 장소 경기장 날짜
<colbgcolor=#ffc> 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더 세븐스 스타디움 2023.12.2 ~ 3.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케이프타운 케이프타운 스타디움 2023.12.9 ~ 10.
3 파일:호주 국기.svg 퍼스 퍼스 렉텡귤러 스타디움 2024.1.26. ~ 28.
4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BC 플레이스 2024.2.23. ~ 25.
5 파일:미국 국기.svg LA 디그니티 헬스 스포츠 파크 2024.3.2. ~ 3.
6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홍콩 스타디움 2024.4.5. ~ 7.
7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2024.5.3. ~ 5.
8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드리드 시비타스 메트로폴리타노 2024.5.31. ~ 6.2.
싱가포르 세븐스 이후 종합 9~12위 팀은 마드리드 세븐스에서 챌린저 시리즈 1~4위 팀을 상대하게 된다.

4. 결과 (남자부)

||<tablebordercolor=#c00><#c00><tablebgcolor=#fff><rowbgcolor=#c00><rowcolor=#fff> 구분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케이프타운 || 파일:호주 국기.svg 퍼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 파일:미국 국기.svg LA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프랑스 대표팀은 앙투안 뒤퐁의 합류에 힘입어 19년만에 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누렸다. 올림픽에서 우승하고싶다던 뒤퐁의 꿈도 조금씩 현실화되고 있다.[2]

4.1. 결승전

마드리드에서 대망의 결승 시리즈가 열렸다. 8팀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르고, 조별 상위 2팀이 4강전에 진출한다.
<rowcolor=#fff><colbgcolor=#c00><colcolor=#fff> 국가 승점
A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3승 9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승 1패 6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승 2패 3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패 2점
B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승 9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승 1패 7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승 2패 5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패 1점
4강전
5~8위전

4강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4 : 21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결승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 : 5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1 : 14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3/4위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7 : 10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프랑스는 조별리그에서 아르헨티나에 졌음에도 결승전에서 다시 만나 승리했다. 이로써 프랑스 대표팀은 역사상 첫 시즌 우승을 거머쥐었다.
5~8위전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9 : 14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5/6위전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2 : 7 남아공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1 : 24 남아공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7/8위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1 : 0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4.2. 강등전

싱가포르 대회까지 종합 9~12위였던 미국, 캐나다, 스페인, 사모아가 우루과이, 독일, 칠레, 케냐와 함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상위 4팀은 차기 시즌 SVNS에, 하위 4팀은 챌린저 시리즈로 간다.

방법은 먼저 4팀씩 2개조로 조를 나누고, 조별리그를 통해 A조 1위vsB조 2위 ... A조 4위vsB조 1위로 대진을 짠다. 그리고 여기서 승리하면 된다.
<rowcolor=#fff><colbgcolor=#c00><colcolor=#fff> 국가 승점
A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승 9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승 1패 6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승 2패 3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패 2점
B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승 9점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2승 1패 7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1승 2패 3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3패 2점
최종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0 : 19 사모아 파일:사모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5 : 33 케냐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2 : 10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4 : 2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국과 스페인은 SVNS 잔류, 사모아와 캐나다는 챌린저로 강등, 케냐와 우루과이는 SVNS 승격, 독일과 칠레는 챌린저에 잔류했다. 스페인은 시즌 내내 바닥을 기었는데 마지막에 온 힘을 쥐어짜내 조 1위를 한 것이 매우 컸다.

4.3. 개인 기록

  • 최다 트라이 :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 (32회)
  • 최다 득점 :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 (160점)

5. 기타

앙투안 뒤퐁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2023-24시즌 우승 후 바로 리그가 아닌 7인제로 다시 뛰어들었으며, 발군의 기량을 뽐내며 2주 연속 우승컵을 드는 쾌거를 이뤘다. 뒤퐁뿐만 아니라 올림픽에 15인제 선수들이 대거 도전장을 내밀었기 때문에 판도가 어떻게 바뀔 지 아무도 알 수 없다.


[1] 남자부, 여자부 각 12팀[2] 물론 큰 대회에선 전통적인 강자들이 본래의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게 되겠지만, 극도로 부진하던 프랑스가 갑자기 우승하고, 뒤퐁이 빠지자마자 다시 부진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실제로 15인제 백스들의 기량은 속도를 제외하면 7인제 선수들보다 월등하다. 7인제 최정상급 선수들이 15인제에선 일개 프로 팀의 주전 혹은 그 이하 취급을 받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