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중학교군 ('25~ 中1) | |||
중학교 1학년 | 중학교 2학년 | 중학교 3학년 | |
※ 교과·영역 뒤에 붙은 1, 2, 3는 교과용도서의 분권 표기이며, 행정상 공식 과목 표기는 ‘중학교 1~3학년군 과학’이다. ■ 고등학교 과목 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과목 |
1. 개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한 중학교 과학에 대한 문서이다. 출처(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9) 1학년은 2025년, 2학년은 2026년, 3학년은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그 전까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다.2. 목록
공식적인 과목명은 '중학교 1~3학년군'이다. 교육과정 문서에 따르면 총 23개의 단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에 물리학⋅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영역은 각각 5개씩으로 학년에 따라 다소 불균일하며, 통합 단원은 1학년 맨처음에 1개와 3학년 맨끝에 2개가 배치되었다. 이는 이번 개정에서 시행될 연계자유학기제(1학년 1학기, 3학년 2학기) 및 고등학교 통합과학과의 연계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2.1. 과학 1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1#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1#|]][[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과학 2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2#|]][[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과학 3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3#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3#|]][[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