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Eleição presidencial no Brasil em 1994 | |||||||||
주별 1차 투표 결과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1989년 대선 | → | 1994년 대선 | → | 1998년 대선 | }}} | |||
선거 일시 | 10월 3일 | ||||||||
투표율 | 82.24% | ||||||||
선거 결과 | |||||||||
후보 | [[브라질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페르난두 카르도주 | [[노동자당| 노동자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
결과 | |||||||||
54.28% 34,364,961표 | 27.04% 17,122,127표 | ||||||||
대통령 당선인 | 부통령 당선인 | ||||||||
| |||||||||
사회민주당 페르난두 카르도주 | 자유전선 마르쿠 마시에우 |
1. 개요
1994년에 실시된 브라질 대통령 선거.2. 배경
1989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에게 승리하고 브라질 대통령으로 취임한 페르난두 콜로르는 재임 초기 대대적인 부패척결을 전면에 내세우며 정책을 추진했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인 초인플레이션과 외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게다가 부정축재 스캔들까지 터지면서 지지율이 급락하였고, 결국 1992년 하원에서 탄핵안이 통과되고 브라질 최초의 탄핵된 대통령으로 역사에 남고 말았다.[1]이후 대통령 직무를 승계한 이타마르 프랑쿠는 페르난두 카르도주를 재무장관으로 임명하여 브라질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타개하고자 했고, 프랑쿠의 임기 동안 브라질 정부는 추락한 청렴성과 안정성을 회복하고 남미 전체를 포괄하는 자유무역지대를 발족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프랑쿠는 차기 대선에 출마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차기 대통령을 결정하는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고 있었다.
3. 선거
199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1994. 10. 3.) | ||||||
순위 | 대통령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 여부 | |
부통령 후보 | ||||||
1위 | 페르난두 카르도주 | 브라질 사회민주당 (PSDB) | 34,364,961표 | 54.28% | 당선 | |
마르쿠 마시에우 | 자유전선 (PFL) | |||||
2위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노동자당 (PT) | 17,122,127표 | 27.04% | 낙선 | |
알로이지우 메르카단치 | ||||||
3위 | 이네아스 카르네이루 | 국가질서재건당 (PRONA) | 4,671,457표 | 7.38% | ||
호베르투 가마 | ||||||
4위 | 오레스테스 퀘시아 | 브라질 민주운동 (PMBD) | 2,772,121표 | 4.38% | ||
이리스 지아라우주 | ||||||
5위 | 레오네우 브리졸라 | 브라질 민주노동당 (PDT) | 2,015,836표 | 3.18% | ||
다시 리베이루 | ||||||
6위 | 에스페리지앙 아민 | 개혁진보당 (PPR) | 1,739,894표 | 2.75% | ||
가드니어 곤살베스 | ||||||
7위 | 카를루스 안토니우 고미스 | 국가재건당 (PRN) | 387,738표 | 0.61% | ||
디우통 카를루스 살로모니 | ||||||
8위 | 에르나니 포르투나 | 브라질 기독교사회당 (PSC) | 238,197표 | 0.38% | ||
비토르 노세이스 | ||||||
<rowcolor=#000> 선거인수 | 94,782,803명 | 투표수 | 77,948,464명 | - | ||
<rowcolor=#000> 무효표수 | 14,636,133표 | 투표율 | 82.24% | - |
1차 투표에서 페르난두 카르도주가 과반을 득표하여 결선 투표를 거치지 않고 브라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 정확히는 상원에서 탄핵되기 직전 사임했으나 상원이 이를 씹고 탄핵안을 통과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