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10 minutes(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0 minutes(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0 minutes(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10 minutes(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0 minutes(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0 minutes(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장나라 Sweet Dream (2002년) | ▶ | 이효리 10 Minutes (2003년) | ▶ | 비 It's Raining (2004년) |
| ||||
BoA No.1 (2002년) | ▶ | 이효리 10 Minutes (2003년) | ▶ | 신화 Brand New (2004년) |
서울가요대상 대상 | ||||
BoA <No.1> (2002년) | → | 이효리 <10 Minutes> (2003년) | → | 신화 <Brand New> (2004년) |
1. 개요
<rowcolor=#fff> 트랙 | 제목 | 작곡 | 작사 | 편곡 |
4 TITLE | 10 Minutes | 김도현 | 메이비 | 김도현 |
핑클 멤버 이효리의 솔로 데뷔 앨범 〈Stylish…〉의 타이틀 곡. 핑클에서 솔로로 데뷔한 이효리를 한순간에 톱스타로 올려놓은 곡이다. 2003년의 최대 히트곡 중 하나였다.
그동안 요정, 발라드, 정장섹시 등 다양한 컨셉을 시도하던 핑클에서 솔로로 나와 이효리가 본인만의 힙합 섹시 컨셉을 처음 선보인 곡으로, 가창력이 엄청 뛰어나진 않은 이효리가 본인만의 강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살린 곡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곡 이후 이효리는 본인 특유의 털털한 매력과 선곡안으로 'U-Go-Girl', 'Chitty Chitty Bang Bang' 등 히트곡을 내놓으며 솔로 가수로 대성하고,[1] 예능에서도 활약하며 그야말로 이효리 신드롬을 일으킨다.
가사는 자긴 다른 여자의 남자를 10분 안에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이다. 후술하듯이 구전 동요로 쓰일 정도로 당시 어린이들에게도 유명한 곡이었는데, 아이들이 부르기에는 가사가 좋지 않아 가수 김현철이 키즈팝 장르의 곡들을 만들게 된 계기가 되었다.
가사를 쓴 메이비는 원래 피플크루에게 주려고 썼던 가사라고 밝혔다.[2]
개사되어 구전 동요로도 자주 쓰였고, 보통 'Just One 10 MINUTES' 부분은 몬더그린 때문에 '젖소 백 마리'로 개사된다. 당시 39800원 밈이 유명해서 젖소 100마리를 그 가격에 판다는 개사가 많다. 이 노래가 논스톱 시리즈가 한창 진행 중일 때 나왔는데, MC몽이 논스톱에서 가사의 첫 소절을 젖소 백 마리 염소가 되는 시간으로 개사하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라디오스타에서 신정환이 MC였을 당시 성시경이 게스트로 나올 당시 이 노래를 소개하였는데 젖소 털미니? 음메~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
코미디하우스 '10분 토론' 코너의 로고송으로 차용했다.
위 뮤직비디오 영상의 47초와 48초 사이에 데뷔하기 전의 에픽하이 멤버 3인이 출연하였다.[3]
미세스 다웃파이어(뮤지컬)에서 임창정이 맡은 다웃파이어가 loop box scene 도중 이 곡의 한 소절을 부른다.
2024년 3월 22일쯤부터 텐미닛 영상들이 해외에서 눈빛이 너무 멋있다, 무대서 아우라가 너무 멋있다, 스타일이 쿨하다 등의 반응을 얻으며 엄청 화제가 되면서 텐미닛과 이효리스타일이 힙하다며 주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전세계 트위터, 릴스, 쇼츠, 틱톡 등에서 Y2K, 2000's 스타일로 꾸미는 '텐미닛 챌린지'가 2024년 5월 초 기준 한달째 1위를 하는 등 엄청 인기를 끌면서 자연스레 BGM으로 쓰이는 텐미닛과 당시 활동 영상들도 덩달아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챌린지를 떠나서 요즘 유행하는 2000s 메컵영상 공식 BGM으로 자리 잡았다.
이 추세에 텐미닛이 Spotify 글로별 데일리 바이럴 차트 11위를 차지하고 써클차트, 유튜브, 틱톡 등 국내 소셜차트에도 2위를 하는 등 뜻밖의 월드와이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정리글
2. 가사
10 minutes |
Just One 10 MINUTES 내 것이 되는 시간 순진한 내숭에 속아 우는 남자들 Baby 다른 매력에 흔들리고 있잖아 용기 내봐 다가와 날 가질 수도 있잖아 어느 늦은 밤 혼자 들어선 곳 춤추는 사람들 그 속에 그녀와 너 왠지 끌리는 널 갖고 싶어져 그녀가 자릴 비운 그 10분 안에 지루했던 순간이 날 보는 순간 달라졌어 (I'm telling you) 오래된 연인 그게 아니던 중요한 사실은 넌 내게 더 끌리는 것 I say 너의 그녀는 지금 거울을 보며 붉은색 립스틱 화장을 덧칠하고 Baby 높은 구두에 아파하고 있을걸 나는 달라 그녀와 날 비교하진 말아줘 짧은 순간이 아니라고 했잖아 영화 속에 갇힌 우리가 되는 거야 영화 속 10분 1년도 지나쳐 어때 겁먹지는 마 너도 날 원해 지루했던 순간이 날 보는 순간 달라졌어 (I'm telling you) 오래된 연인 그게 아니던 중요한 사실은 넌 내게 더 끌리는 것 Just one 10 MINUTES 내 것이 되는 시간 모든 게 끝난 후 그녀가 오고 있어 Baby 붉은 립스틱 촌스럽기도 하지 내게 와봐 이제 넌 날 안아 봐도 괜찮아 Don't tell a lie just be yourself 힘들게 둘러 대지마 널 떠나 달라 말을해 (have it your way) Bling Bling shine it's right to come 사랑에 빠진 거라고 거짓을 말할꺼면 모두 없던 걸로 해 I say 너의 그녀는 지금 거울을 보며 붉은색 립스틱 화장을 덧칠하고 Baby 높은 구두에 아파하고 있을걸 나는 달라 그녀와 날 비교하진 말아줘 Just one 10 MINUTES 내 것이 되는 시간 순진한 내숭에 속아 우는 남자들 Baby 다른 매력에 흔들리고 있잖아 용기 내봐 다가와 날 가질 수도 있잖아 Just one 10 MINUTES Just one 10 MINUTES |
[1] 다만 때문에 2002년 이후 사실상 활동 중단 상태긴 했지만, 그래도 해체는 아니라 멤버들 솔로 활동 여부를 보면서 그룹 활동도 병행하려 했던 핑클이, 이효리 스케줄이 너무 바빠지다 보니 제대로 된 활동도 못하고 2005년 디지털 앨범만 하나 내놓은 채 사실상 활동을 마무리짓고 만다. 이에 대해선 이효리도 당시엔 나만 생각했다며 리더인데 그런 것도 몰랐다고 이후 멤버들에게 미안함을 표하기도 했다. 사실 적당히만 잘됐어도 병행 가능했을 텐데, 너무 잘된 게 어찌 보면 독이 된 셈.[2] 나중에 이 사실을 안 MC몽이 너무 안타깝다고 말하기도 했다.[3] 출연 계기는 뮤직비디오 감독과의 인연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