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01:47:26

/lcg/


[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문서:/lcg/ 또는 /lcg/ 또는 림컴일레븐)]
/lcg/ - Limbus Company General
Rig the Fear, Save the Bus
파일:Lcg_logo.png
팀 아이콘 파일:50px-lcg_icon.png
창단연월 2023년 5월
현재순위 6위 (VGL 21)
역대최고순위 3위 (VGL X-2)
역대최저순위 6위 (VGL 21)
매니저 Limbabs
주장 DANTEEEEHHHHHH
홈구장 Floor of General Works
1. 소개2. 로스터
2.1. 현역2.2. 조건부 현역 및 비현역
3. 특징
3.1. 데뷔 ~ VGL 22 이전3.2. VGL 22
4. 주요 기록
4.1. 대회별 상세

[clearfix]

1. 소개

림컴일레븐 대피소 중계방(구 중계방)
전경기 유튜브 재생목록

/vg/ League(이하 VGL)에 참가 중인 림버스 컴퍼니 대표팀. 전작들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프로젝트 문 게임 특성 상 로보토미 코퍼레이션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의 등장인물이나 배경도 팀의 구성요소를 이룬다.

홈구장은 도서관 총류의 층, 전용구는 울음 두꺼비. 경기장 입장 시 앤섬은 In Hell We Live, Lament, 선수 불문 첫 골 혼은 봉이 아빠 전투 브금, 경기 승리 시 앤섬은 이스마엘 버전 사라지네

4장 출시 후 할 일 없던 림컴 플레이어들에게 소개된 뒤, 데뷔하자마자 높은 성적을 거두면서 국내에서 /bag/ 다음으로 유명해지며 림컴일레븐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본진인 4chan에서도 인기가 많아서 VGLX-2 준결승전 때는 1971명이 시청하며 VGL 역대 최대 시청자수를 갱신하였다. 각종 4챈컵 대회들의 유튜브 하이라이트 채널인 Hugh Janus Jr. 기준으로도 /bag/, /pol/과 함께 조회수가 가장 높은 팀으로 자리잡았다.

2. 로스터

2.1. 현역

VGL 22 친선전 기준으로 선수들의 실제 인게임 등번호는 1~99 내에서 바뀌었으나, 공식 위키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않는다 보니 매경기 출전하는 주전 선수들의 등번호를 확인할 수 없어 부득이하게 기존 1~23 내에서 표기한다. 주전 로스터는 ☆ 표시.
  • 1 GK CLAPPED☆ : 팀의 유일한 골키퍼. 특이하게도 VGL 22 이전까지 골드 티켓을 투자한 골키퍼였던지라 데뷔 시즌 당시 신들린 세이브 능력을 보여줘서 시즌 MVP 골키퍼를 수상한 바 있다. 하지만 VGL 22에서는 티켓을 너맞매에게 투자하게 되어 이전만큼의 활약을 기대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 2 CB Outism
  • 3 CB K-Corp Hongnigger☆ : K사 3등급 적출직. 이전엔 K-Corp Glownigger라는 닉네임을 한 일반 직원과 READ라는 홍루가 따로 있었다가 VGL 21에 들어와 통합되었다.
  • 4 CB Who?
  • 5 CB FAT FUCK
  • 6 DMF F.L.A.V.O.U.R: 새우 머리를 한 원양어선 작업복을 입고 뛴다. 이전 닉네임은 K.Y.S(Keep Yourself Sane)
  • 7 CMF Bongbong☆ : 4chan의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세이브 이어달리기 중 인기 캐릭터였던 파란 머리 황혼종 직원 봉봉. VGL 22에서 새롭게 실버 티켓을 받고 몬조와 미드필더진을 떠받치게 되었다.
  • 8 SS BEHEAD HEATHCLIFFS☆ : 이전 닉네임은 GRAZE THE GRASS. 이상과 등번호와 포지션[1]을 맞바꿨으며, 실버 티켓도 양도받아 새롭게 주전으로 출전한다. 캐서린도 로스터에 포함된걸 봐선 6부 스토리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 9 SS DANTEEEEHHHHHH 파일:주장 아이콘.svg☆ : 현 /lcg/ 주장. 골 혼은 전투 우세시 브금. 처음부터 골드 티켓을 받아 데뷔 시즌부터 공격진의 핵심이었으며, 특히 가공할 중거리킥 능력과 무릎 끓고 엔진 시동 세리머니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그 후로는 기복이 조금 심해진 편.
  • 10 AMF Ship it MONZO☆ : 모델링은 매드니스 컴뱃의 등장인물인 포보스 감독. 과거 Monzo라는 깃허브 아이디를 가진 프로젝트 문 직원이 Do Not ship(올리지 마시오)이라고 떡하니 적힌 개발 폴더를 실수로 빌드에 포함시켜서 유출한 적이 있었는데, 이 사건을 비롯해 프로젝트문의 모든 실수는 대표 김지훈이 의도적으로 지시한 것이라는 의미로 Ship it Monzo밈이 탄생했다.# 즉, Monzo만을 이야기하면 김지훈이 아니라 익명의 해당 직원을 의미하지만 명칭이 'Ship it MONZO(올려라 몬조)'라는 지시문이라는 점에서 김지훈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lcg/에서는 선수 초상화 아이콘으로 조율자 옷을 입은 김지훈을 사용하여 구분하고 있다. 골 혼은 Children of the City가 나오는데 이는 김지훈 대표가 프로젝트 문 음악중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라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단테, 너맞매와 더불어 공격수 트리오로 유명하며 특히 팀이 어수선할때 분위기 환기성 골을 자주 넣어주는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VGL 22에선 공격형 미드필더로 내려갔다.
  • 11 CF You Want to Score Goals? Victoriously?☆ : 데뷔 당시부터 단테, 몬조와 함께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VGL 22에선 아예 단수어의 티켓을 더 투자받았다. 데뷔 당시에는 원본 '너 맞아볼래? 매우?'의 모델링을 사용했지만 이후 해당 개체가 분홍신에게 홀린 버전인 '또각또각? 걸어!'의 모델링으로 바뀌었다. 골 혼은 전용 전투 브금. 중계 중에 슛을 때리면 해설들에 닉네임 "You wanna score goals? Victoriously?" 를 외쳐주고, 골이 들어갔다면 "Yes! I love the city I live in!" 이라고 매끄럽게 받아친다.
  • 12 DMF IDEAL: 데뷔 시즌에선 주전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던 선수. /lcg/ 공격의 윤활유라는 얘기까지 들을 정도로 맹활약했으나, VGL 22에선 히스클리프와 등번호와 포지션을 맞바꾸면서 백업으로 물러났으며, 시즌 전까지 이런저런 포변이 잦았던 선수. 발목작살 오감도킥이나 자동차에게 치이는 몸개그를 포함한 명장면을 다수 뽑아냈던지라 아쉬움을 자아냈다. 홈 유니폼을 입을 시 깨진 거울로 이뤄진 날개가 달려있었다. 골 혼은 전용 테마곡인 Fly, My Wings.
  • 13 CB RULES OF THE BACKSTREET
  • 14 CB Faust is Smart!
  • 15 CMF COUPON BLAST☆ : 유래는 관련 밈.
  • 16 CB THE FAULT LIES WITH YOU: 시즌마다 닉네임을 바꿔가며 출전한다. 이전 닉네임은 MIND WHIP→YOU ARE NOT READY→MY COMPASS. VGL 21부턴 머리 끝이 청록색으로 물든 모습으로 나온다.
  • 17 CB +1 to Player Slot - No Contribution
  • 18 DMF E(NT)E(R): E.G.O 각성 상태로 출전. 이전 닉네임은 그냥 ENTER였으나 NTR을 강조하도록 바뀌었다
  • 19 CMF Trust The plAn: 하늘에서 후광이 비치는 이펙트로 관심을 끈다.
  • 20 CMF Dripsault: 모델이 관절의 움직임 없는 고정값이라 손을 앞으로 가지런히 모으고선 꼿꼿이 선 자세[2]로 호버링하며 움직이고, 태클을 당해도 넘어지지 않는다.
  • 21 DMF DEFRAUDED☆ : 이전 닉네임은 Do Your Dailies, Dante. 데빌 메이 크라이 5버질을 팔레트 스왑한 모델을 사용한다.
  • 22 CMF lol&: VGL 21부터 주전으로 자주 출전했던 미드필더였지만, 팬들의 뒷목을 잡게 만드는 허접함을 자주 보여주면서 9급 미드필더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결국 VGL 22에선 벤치행.
  • 23 CB The Ultimate *cough* Cuck

2.2. 조건부 현역 및 비현역

조건부 현역
  • Hmmmm nyes, Zena: /pcrg/의 kot 처럼 재즈잭 신비한 캬루콘을 기반으로 패러디된 신비한 제나콘으로 모델링했다. 정규대회인 VGL에선 지금은 출전하지 않지만, 친선전을 비롯한 비공식전에서는 계속 출전한다.

비현역

3. 특징

3.1. 데뷔 ~ VGL 22 이전

상당한 공격형 팀으로, 키 플레이어 너 골 넣어볼래? 이기게?(너맞매), 단테, 몬조(김지훈) 등이 맹공을 펼치며, 수비진이 다소 부실한 대신 높은 스탯을 받은 골키퍼 클랩드(단수어)가 고군분투하고 있다. 한편 아이디얼(이상)과 같은 미드필더 포지션의 롤랑은 떨어지는 경기력 때문에 팀의 구멍으로 지적받았음에도 출장하는 경기가 많아서 욕을 얻어먹었다.[3] 문제는 그렇다고 롤랑을 무작정 대체하기에는 팀 구성 규칙 상 좋은 스탯의 캐릭터를 더 만들 수 없어서 다른 같은 포지션 선수들의 경기력도 그다지 좋지 않았다는 것.

3.2. VGL 22

그래서 VGL 22에서는 공격에 좀 더 힘을 싣기 위해 골키퍼의 스탯을 빼서 구멍이던 중미에 스탯을 좀 더 주게 되어 더 공격성을 더하게 되었다. 아예 수미도 없이 수비 제외 전원 공격이라는 전술도 고려했다가 정규시즌 로스터는 어느 정도 조율한 모양새다.

한편으론 4chan리그 팀들은 보통 1CF 2SS 2AMF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lcg/는 지난 시즌 공미의 지나친 혹사를 교훈으로 수비를 3백 + 수미 1명을 두는 대신 골키퍼의 스탯을 빼서 스트라이커와 중미를 보강한다는 선택지를 택했다.

4. 주요 기록

  • VGL X-2 (2023.06) - 3위
  • VGL 21 친선전 (2023.09) - 3전 1승 2패
  • VGL 21 (2023.12) - 서바이벌 라운드 2차전 탈락
  • MobaBowl 2024: End of Service (2024.01) - 패자조 1라운드 탈락
  • VGL 22 친선전 (2024.03) - 3전 2승 1패
  • VGL 22 (2024.06)
  • 공식전 전적: 13전 8승 2무 3패 (61.5%)
  • 비공식전 전적: 8전 3승 5패 (37.5%)

4.1. 대회별 상세

  • VGL X-2
    • 데뷔 대회. B조에서 /mmg/를 1:0, /sgg/를 3:2로 잡고 광기와 이성의 맞대결, 일명 Sanity Bowl로 주목받은 /akg/와의 경기에서 3:4의 근소한 차이로 명승부를 펼치며 주목을 받았고,[4] 해당 리그를 계기로 /lcg/와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마이너 갤러리 사이에 교류가 생기며 /lcg/에서 자주 쓰이는 신비한 제나콘이 디시콘으로도 등록되었다. 본선 토너먼트에서는 16강 /psg/팀과의 경기에서 4대1로 승리, 8강 /feg/팀과의 경기에서 4대1로 승리하였으나 4강 /smtg/팀과의 경기에서는 에이스 단테의 컨디션 난조와 상대팀의 견고한 수비에 막혀 2대0으로 패배했다. 이후 3위 결정전에서 /indie/팀[5]에게 4대0으로 승리하며 첫 출전 대회에서 3위에 오르는데 성공한다. 해당 대회에서 클랩드는 무려 27세이브로 2위와 2배 이상의 차이를 벌리며 골키퍼 MVP로 선정되었고,[6] 팀 내에서 최다 득점/보조 점수를 올린 에이스 단테가 /vg/ 팀에 합류하게 되었다.
  • VGL 21 친선전
    • /fgog/나 /dbg/와는 정상적인 경기를 했으나 /bag/를 상대로는[7] 매니저가 대놓고 부채꼴 포메이션의 예능전술을 시전하여 1:9라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 VGL 21
    • 300광기, 크루밍(크로머), 라 메히까나 필트로(아이드), K사 적출직이 빠지거나 다른 선수와 통합되었으며 KYS(료슈), 나였어(동랑), 계획을 믿어라(아인), 일퀘나 깨십쇼, 단테(베르길리우스)가 새로 합류했다. B조에서 1승 2무로 2위를 한 뒤 진출한 서바이벌 라운드 1차전에는 /alg/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뒤이은 2차전은 지난 VGLX2 준결승 상대였던 /smtg/와의 리매치가 열렸고, 복수에 실패하며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 MobaBowl 2024: End of Service
    • 승자조 1차전에서 /gbpen/에게 패한 뒤 패자조 1라운드에 /bag/와 또 만나게 되었고, 김정은 얼굴을 걸어놓은 채로 열린 한국겜 더비에서 2대2 무승부로 연장전 없이 바로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4대3으로 석패하면서 참가팀들 중 가장 먼저 탈락했다.
  • VGL 22 친선전
    • VGL21동안 부진했던 단테가 제 기량을 찾았다. /pg/를 상대로는 7:2, /hgg2d/를 상대로도 5:3으로 통쾌한 승리를 맛보았다. 마지막 3경기에선 /akg/에게 3:5로 패하며 VGLX-2 때 패배를 갚아주는데는 실패했다.
  • VGL 22


[1] 정확히는 몬조를 미드필더로 내려보내고 세컨드 스트라이커 자리에 올라갔다.[2] 원본은 오공이 By Any Means Necessary라고 써진 노스페이스 패딩에 슈프림 티를 입고 집행 뫼르소와 동일한 포즈를 취한 Drip Goku이다.[3] 사실 롤랑뿐만이 아니라 제나, 필립을 포함한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출신 팀원들이 별로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줬다.[4] 심지어 직전 /sgg/와의 경기에서 아이디얼이 옐로카드를 받고 1경기 출전정지를 당해 전력에 공백이 있는 상태였다. 이후 두 팀 모두 본선 토너먼트까지 진출했기에 /akg/와 결승에서 복수전을 치르길 바라는 팬들이 많았지만, /akg/가 16강에서 /dbg/에게 역전패당함으로써 아쉽게도 무산되었다.[5]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출신인 고요한 오케스트라가 있어 경기 전부터 /lcg/ 팬들에게 주목받았고, 매니저도 이를 알고 있었는지 고케스트라가 등판하자마자 배신자를 처단하겠다는 듯이 로보토미에서 파견온 혼종급 직원 봉봉을 필두로 8명을 포워드에 들이박는 센스를 보여주었다. /lcg/가 워낙 공격적인 팀이며 골키퍼의 능력치 또한 월등히 높고 후반 막바지에 3대0 스코어 였기에 가능한 예능 플레이. 물론 그래놓고 한골 더 넣었다[6] 참고로 이번 시즌에 /lcg/의 총 득점 수가 26점이다. 골보다 세이브가 많다.[7] 입장 시 합동 앤섬으로 애국가가 나왔고, 골을 넣을 때마다 우측 상단 김정은 얼굴이 커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