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2 20:40:45

히폴리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히폴리테를 다루는 창작물}}}에 대한 내용은 [[히폴리테/창작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폴리테/창작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폴리테/창작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히폴리테를 다루는 창작물: }}}[[히폴리테/창작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폴리테/창작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폴리테/창작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아마조네스 여왕
히폴리테
Ιππολύτη | Hippolyta
파일:히폴리테.jpg
출신 아마조네스 테미스퀴라
부모 아레스 (아버지)
오트레레 (어머니)
자매 펜테실레이아
안티오페
멜라니페

1. 개요2. 일대기3. 대중매체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

아마조네스의 여왕이자 선대 여왕 오트레레와 군신 아레스의 딸인 반신으로, 안티오페펜테실레이아의 자매.[1] 영어로는 '히폴리타(Hippolyta)' 라고 표기한다.

테세우스아마존을 공격하자 왕이 납치되었는데, 이 왕이 안티오페 또는 히폴리테라는 설이 있다. 테세우스의 왕비가 되어 아들 히폴리토스를 낳았다.

셰익스피어의 명작 '한여름 밤의 꿈'은 테세우스와 히폴리테의 이야기를 다룬 것이다.

2. 일대기

선대 여왕 오트레레와 군신 아레스의 딸로 아마존을 통치하다가 헤라클레스와 엮이게 된다. 헤라클레스헤라가 내린 광기로 인해 자신의 가족을 몰살하면서 죄값을 치르기 위해 12가지의 업을 하게 되었는데, 9번째 과업이 '아마존 여왕의 허리띠 가져오기'였기 때문이다. 과업이 허리띠를 가져오는 것인 이유에 대해서는 이것이 아레스가 직접 아마존에게 선물한 보물이기에 에우뤼스테우스가 자신의 딸 아드메테에게 선물하려 했기 때문이라는 설과, 아마존이란 부족의 성격에서 기인한다는 설이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아마존헤라클레스 항목을 참조.

헤라클레스가 아마존으로 오자 소문으로만 듣던 대영웅의 늠름한 모습을 보고 그에게 첫눈에 반해 버린 히폴리테는 최상급의 환대로 헤라클레스를 맞이한다. 또한 헤라클레스가 허리띠를 요구하자 흔쾌히 승낙하는 대신 자신과 결혼하여 헤라클레스를 닮은 늠름한 여자아이를 낳게 해 달라고[2] 제안[3]하는 등, 얘기도 술술 풀려갔던지라 그대로라면 과업 중 가장 무난한 것이 되었을 것이다.[4]

그러나 헤라클레스에게 과업을 내린 원흉인 헤라는 교류 한번에 과업을 완수하는 전개를 바라지 않았다. 특히 헤라클레스 일가를 앞서 박살내버린 헤라 입장에서 자신의 손녀가 그의 새로운 가족이 된다는 사실에 분노해, 이번에는 자신이 직접 개입하기로 결정한다. 헤라는 즉시 아마존 전사로 변신하여 아마존 전사들을 선동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변신한 헤라가 "헤라클레스가 우리들의 여왕을 납치하려 한다!"라고 속였다는 것이다. 변신한 헤라가 "여왕이 헤라클레스에게 빠져 우리를 버리고 그와 함께 가려고 한다"라며 선동해 아마조네스들이 침실로 들이닥쳐 그를 죽인 전승과, 침실서 얌전히 자고 있던 히폴리테를 돌연사시키고 다음날 아침 수발을 들러 온 전사가 이를 헤라클레스가 죽인 거라고 오해하게 만들었다는 전승도 있다.

헤라의 선동에 분노한 아마존 전사들은 히폴리테의 침실로 쳐들어가 헤라클레스를 공격한다. 이에 놀란 헤라클레스는 여왕이 자신을 죽이기 위해 같잖은 수작을 부린 것으로 오해한다. 히폴리테 역시 놀라 자신은 필사적으로 결백하다고 주장하지만 소용이 없었다. 결국 헤라클레스는 히폴리테를 살해하고 그녀의 허리띠를 직접 가져간다.

반면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의하면, 자매 멜라니페가 헤라클레스에게 납치당하자, 히폴리테는 멜라니페의 몸값으로 헤라클레스에게 자신의 허리띠를 줬다고 한다.

비블리오테케 요약 5장 2에서는 테세우스와 결혼한 아마조네스족이 안티오페가 아니라 히폴리테로 나오며, 자신을 배신한 테세우스와 파이드라의 결혼식에 난입해 아마조네스 족을 거느리고 테세우스의 하객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의도치 않게 자매인 펜테실레이아가 죽였다고 기록됐다.[5] 반대로 테세우스가 죽였다는 전승, 테세우스를 둘러싼 자들이 문을 닫고 히폴리테를 죽였다는 전승도 기록됐다.[6]

3. 대중매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폴리테/창작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폴리테/창작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폴리테/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 헤라클레스의 12과업 중 헤라의 하수인의 방해가 아닌, 헤라 본인이 직접 방해한 과업이다. 그 이유는 가정의 수호신으로서 헤라클레스에게 저주로 착란을 일으켜 자신의 일가족인 메가라와 자식들을 가정폭력으로 죽이게 만든 장본인으로서, 자신의 입을 닦은 채로 트집잡아 과업을 내렸지만 히폴리테의 심리를 예상하지 못하고 또다시 헤라클레스의 가족이 생긴다는 돌발상황이 터지자 본인이 직접 개입해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직접 개입은 어렵기에 이를 대신해 헤라클레스가 이방인인 점과 히폴리테의 사회적 위치를 이용해 전사들에게 가스라이팅으로 파탄에 성공했다. 반대로 보면 헤라클레스는 또다시 헤라의 심리전에서 패배한 셈.[7][8] 하지만 이와 별개로 헤라클레스가 히폴리테 여왕을 죽이자마자 황금 허리띠를 손쉽게 가져가게 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헤라클레스에 대한 일말의 방해는커녕 헤라클레스만 실컷 도와준 꼴이 되었다. 가정이라는 분야를 민감해하는 헤라 입장에서는 그냥 죄인인 헤라클레스가 감히 가정을 꾸리는 일을 막는 것만이 최우선이었던 모양.
  • 문명 2에서 알렉산드로스 3세와 함께 그리스 문명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는 각 문명마다 남녀 지도자를 한 명씩 배정하려 했고, 마땅한 여성 지도자가 딱히 안 보일 경우 무리수를 남발했기에 생긴 일. 문명 6에서는 영웅 및 전설 모드를 활성화할 시 소환할 수 있는 영웅 유닛으로 등장한다.

5. 관련 문서



[1] 무조건 여동생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구스타프 슈바브와 댄 시먼스는 히폴리테가 언니, 폴 임은 히폴리테를 동생으로 기록하는 등, 서적마다 기록이 다르다. 아예 혈연관계 같은 건 전혀 없는 완전 남남인 전승도 있으니 자매설로 알게 된 사람들은 본인들의 주장을 내세우는데 다소 주의. 생판 남인 설은 헤라클레스, 테세우스 등이 활약하던 아르고호 원정 시대와 트로이 전쟁과의 시간차가 너무 지나치게 멀다[9]는 이유로 부정하는 것이 주된 이유다. 토머스 불핀치가 대표적. 이 때문에 자매설과 남남설이 서로 간에 "우리가 원조고 너네가 후대창작"이라고 종종 언쟁이 벌어지기도 한다.[2] 사실 헤라클레스만큼이나 히폴리테 입장에서도 환영할 일이긴 하다. 아마존은 여성구성원들이 주류가 된 사회인만큼 외부의 남자들로부터 씨를 강제로 취하곤 했는데, 여왕이 아무나 동침할 수도 없는 만큼 후계자를 위해선 아주 신체건강하고 늠름한 인물의 씨가 필요했다. 그런데 그리스 역대 최고의 영웅만큼 훌륭한 씨가 어디 있겠는가.[3] 참고로 히폴리테는 상기했듯 군신 아레스의 딸이고, 헤라클레스는 잘 알려진 대로 제우스의 서자이므로 둘은 숙부-조카딸이다...... 물론 부모자식이나 형제끼리도 신명나게 해대는 그리스 신화의 특성을 보면 이 정도는 그렇게 가까운 것도 아니다(...).[4] 실제로 몇몇 만화에서는 이 과업이 헤라클레스와 히폴리테 둘만의 계약으로 술술 풀리는 방식으로 종료됐다고 표현하기도 한다.[5] 펜테실레이아는 프리아모스에게 살인죄를 정화받고 그 은혜로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를 도왔다.[6] 출처 -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332P | 천병희 역[7] 하지만 헤라클레스는 훗날 헤라가 아닌 켄타우로스 네소스에게 속아넘어간 데이아네이라가 자신을 살인미수를 해서 또다시 심리전에 패배당한다. 그나마 훗날 헤라가 헤베를 신부로 삼아주는 마지막에서야 가족에 대한 저주를 벗어났다.[8] 사실 심리전이라고 하기도 힘든게, 헤라클레스를 꼬드겨 히폴리테에 대한 의심을 심어준 것도 아니고 아마존 전사들을 속여 그를 공격한 것이다. 헤라클레스 입장에선 남자들에게 적대적인 것으로 유명한 전사 부족 사이에 있는데 여왕이 환대해놓고 부하들이 갑자기 공격한 셈이니, 히폴리테를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심리전보다는 신의 권능으로 농락한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