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카야마현 선거구 | 히로시마현 선거구 | 야마구치현 선거구 | |||
| <colbgcolor=#a0a0a0,#5f5f5f> 2028년 개선 | ||||||
| 아오키 가즈히코 | 오노다 키미 | 미야자와 요이치 | 미카미 에리 | 에지마 기요시 | ||
| 2031년 개선 | ||||||
| 데가와 모모코 | 코바야시 코이치로 | 니시타 히데노리 | 모리모토 신지 | 기타무라 쓰네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e2b832"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돗토리 1구 | 돗토리 2구 | 시마네 1구 | 시마네 2구 | 오카야마 1구 |
| 이시바 시게루 | 아카자와 료세이 | 가메이 아키코 | 타카미 야스히로 | 아이사와 이치로 | |
| 오카야마 2구 | 오카야마 3구 | 오카야마 4구 | 히로시마 1구 | 히로시마 2구 | |
| 야마시타 다카시 | 가토 가쓰노부 | 유노키 미치요시 | 기시다 후미오 | 히라구치 히로시 | |
| 히로시마 3구 | 히로시마 4구 | 히로시마 5구 | 히로시마 6구 | 야마구치 1구 | |
| 사이토 데쓰오 | 소라모토 세이키 | 사토 고지 | 고바야시 후미아키 | 고무라 마사히로 | |
| 야마구치 2구 | 야마구치 3구 | ||||
| 기시 노부치요 | 하야시 요시마사 | ||||
| <rowcolor=#fff>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 신타니 마사요시 | 히라오카 히데오 | 히라누마 쇼지로 | 히라바야시 아키라 | 이시바시 린타로 |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 후쿠다 겐 | 쓰무라 게이스케 | 요시다 신지 | 테라다 미노루 | 아즈마 가쓰야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b1c4f><tablebgcolor=#7b1c4f> | 히로시마현 제5구 広島県第5区 | }}} | |||
| | ||||||
| <colbgcolor=#7b1c4f><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98,078명 (2024) | |||||
| 상위 도도부현 | 히로시마현 | |||||
| 하위 행정구역 |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 | |||||
| 국회의원 | | 사토 고지 | ||||
1. 개요
히로시마현의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현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의 사토 고지.
2. 상세
===# 구 히로시마 5구 (1996-2022)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제58-60대 내각총리대신인 이케다 하야토가 이 지역들을 기반(구 히로시마 제2구)으로 당선되었다.[1] 이케다 사후에는 그의 둘째 딸 이케다 키코의 남편이자 데릴사위인 이케다 유키히코 전 외무상이 지역구를 이어받게 된다. 유키히코 전 외무상이 2004년 사망하자, 이케다 하야토의 셋째 딸인 콘도 나오코의 딸 케이코의 남편인 테라다 미노루[2]까지 3대에 걸쳐 사위 세습이 이뤄졌다.
2.1. 신 히로시마 5구 (2022-현재)
구 6구였던 이 곳은 지역구 의원이었던 국민신당 당수 가메이 시즈카의 강력한 지역 기반이었다. 가메이 의원이 자민당에 몸담고 있을 때는 자민당 지지세가 강했으나, 자민당을 나온 이후부터는 야당 지지세가 조금 강해졌다. 현재 주고쿠 지방 지역구 중의원 중 유일하게 입헌민주당 의원이 현역인 지역구다. 현재도 가메이 시즈카가 야권 후보인 사토 고지를 지원하고 있기에 히로시마에서 유일하게 야권이 힘을 낼 수 있는 중의원 지역구로 남았다.[3]여담으로, 기업인 호리에 타카후미가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히로시마 6구의 명칭이던 이곳에 출마했으나 84,000여 표를 얻고 낙선했다.
3. 역대 국회의원
| | |||
| <rowcolor=#000>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이케다 유키히코[4]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2004년 | 테라다 미노루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미타니 미츠오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테라다 미노루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4년 | 사토 고지 | |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아키군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78,769표 | 1위 |
| | 50.51% | 당선 | |
| | 미타니 미츠오 | 71,287표 | 2위 |
| | 45.71% | 낙선 | |
| | 마츠모토 스스무 | 5,888표 | 3위 |
| 3.78%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 투표율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
이케다 하야토 전 총리의 사위인 이케다 유키히코 전 외무대신이 사망하면서 발생한 보궐선거로, 재무성 출신 관료이자 이케다 전 외무대신의 조카사위인[5] 테라다 미노루가 처음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구 혼고초 지역),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구 아키츠초 지역), 에타지마시 일부(구 에타지마초 지역),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97,383표 | 1위 |
| | 49.62% | 당선 | |
| | 미타니 미츠오 | 91,121표 | 2위 |
| | 46.43% | 비례당선 | |
| | 카쿠타니 스스무 | 7,765표 | 3위 |
| 3.96%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 투표율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 오노미치시 일부 (구 세토다초 지역),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 에타지마시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미타니 미츠오 | 99,770표 | 1위 |
| | 50.88% | 당선 | |
| | 테라다 미노루 | 93,594표 | 2위 |
| | 47.73% | 낙선 | |
| | 츠카모토 요시테루 | 2,738표 | 3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1.49%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249,071표 | 투표율 73.18%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73,182인 | ||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 오노미치시 일부,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 에타지마시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99,842표 | 1위 |
| [공] | 63.06% | 당선 | |
| | 미타니 미츠오 | 49,356표 | 2위 |
| [7] | 31.17% | 낙선 | |
| | 오자키 히카루 | 9,126표 | 3위 |
| 5.76%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50,855표 | 투표율 61.70%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65,314인 | ||
미타니 미츠오 의원은 낙선 이후 2017년, 2021년 구레시 시장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하였다.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 오노미치시 일부,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 에타지마시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95,52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공] | 77.71% | 당선 | |
| | 오자키 히카루 | 27,406표 | 2위 |
| 22.28%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28,461표 | 투표율 50.52%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59,578인 | ||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rowcolor=#000>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 오노미치시 일부,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 에타지마시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86,193표 | 1위 |
| [공] | 67.10% | 당선 | |
| | 하시모토 고토에 | 27,912표 | 2위 |
| | 21.73% | 낙선 | |
| | 오자키 히카루 | 14,356표 | 3위 |
| 11.18%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28,461표 | 투표율 51.64%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56,815인 | ||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rowcolor=#000> 히로시마현 제5구 구레시, 타케하라시, 미하라시 일부, 오노미치시 일부, 히가시히로시마시 일부, 에타지마시 일부, 토요타군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테라다 미노루 | 87,434표 | 1위 |
| [공] | 67.7% | 당선 | |
| | 노무라 고지로 | 41,788표 | 2위 |
| | 32.3%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선거인수 | 242,034인 | 투표율 54.52% |
|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 129,222표 | ||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rowcolor=#000000> 히로시마현 제5구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세라군, 진세키군 | |||
| <rowcolor=#373a3c,#dddddd> 득표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사토 고지 (佐藤公治) | 82,297표 | 1위 |
| [11] | 53.37% | 당선 | |
| | 고지마 도시후미 (小島敏文) | 60,796표 | 2위 |
| [공] | 39.43% | 낙선 | |
| | 이노하라 마유미 (猪原真弓) | 11,106표 | 3위 |
| 7.20%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154,199표 | 투표율 53.07%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298,078인 | ||
||<-6><tablealign=center><bgcolor=#00469c><tablebgcolor=#ffffff,#191919><tablebordercolor=#00469c> 국회의원 선거 (히로시마 5구)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히로시마현 선거구가 1개 줄어들면서, 미하라시, 오노미치시, 후추시, 미요시시, 쇼바라시 , 세라군, 진세키군로 새로 재편되었다. 이름만 5구이지, 사실상 기존 6구 지역에 구 4구의 미하라시 부분 및 구 5구의 오노미치시 부분을 붙인 형태이다.
입헌민주당에선 선거구 재획정 이전 구 6구의 지역구 현역인 사토 고지 중의원의 출마가 내정되었다.
자유민주당에서도 4연속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된 고지마 도시후미 의원이 출마한다. 이번에는 73세가 넘은 이유로 중복 입후보가 불가해 석패율 구제가 안 되는 상황. 즉 소선거구에서 패배하면 바로 낙선하게 된다.
공산당에서는 이노하라 마유미 후보가 출마한다.
선거 결과 야권 분열 상황에서도 현역인 사토 고지 후보가 더 큰 격차인 13% 차이로 고지마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고지마 후보는 결국 낙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