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제왕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1~10대 |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 | ★ | ★★ | ★★ | ★★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 | ★★★★ | ★ | ★ | ★ | |
11~20대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 | ★★ | ★ | ★★ | ★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 | ★★★ | ★ | ★ | ★★★★★ | |
21~30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 | ★★★ | ★ | ★★ | ★★★★★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 | ★★★★★ | ★ | ★★★★★ | ★★★ | |
31~40대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 | ★★★★★ | ★ | ★★ | ★★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 | ★★★ | ★★★ | ★ | ★★★★ | |
41~50대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 | ★★★ | ★★ | ★★ | ★ | |
46대 | 47대 | 48대 | 49대 | 50대 | |
★★ | ★★★ | ★ | ★★ | ★★ | |
51~60대 | |||||
51대 | 52대 | 53대 | 54대 | 55대 | |
★★★★★ | ★★ | ★★ | ★ | ★★★★ | |
56대 | 57대 | 58대 | 59대 | 60대 | |
★★★★ | ★ | ★★ | ★ | ★★ | |
61~68대 | |||||
61대 | 62대 | 63대 | 64대 | 65대 | |
★★★ | ★ | ★★★ | ★★★★ | ★★★ | |
66대 | 67대 | 68대 | |||
★ | ★ | ★★ | |||
특별회차 배틀제왕 | |||||
1호 | 2호 | 3호 | 4호 | ||
| | | | }}} |
| ||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 흑룡 | |
구호 | 검은 용의 부활 | |
파일럿 | 정재호 | |
소속 | - | |
차체 형태 | 수평회전 디스크형 | |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 제5대 / 2연승 | |
승률 | 17전 9승 8패 0.529 | |
출전 | <colbgcolor=#eeeeee,#191919> 배틀제왕전 | 제8회-제10회 / 제5대 배틀제왕 |
기타 | 제2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로봇파워 4대천황전 제1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
1. 역사
당시 대다수의 디스크형 배틀로봇들과 다르게 강철을 주재료로 사용해 타격 면에서는 동시대의 같은 디스크형 로봇들을 상대로 위력적인 면모를 보인 위력적인 어태커였다.[1]로봇파워 개막전에서 사방불패2와의 접전 끝에 패배한 이후 정식전에 출전해 트라이던트를 상대로 타격 위주의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며 배틀제왕전에서 사방불패2와 맞닥뜨렸다. 경기는 흑룡의 완전한 열세였는데, 판정으로 넘어간다면 당연히 사방불패2의 승리라고 확신했던 그 순간, 사방불패2의 실축으로 작동중지가 되면서[2] 흑룡이 제5대 배틀제왕에 등극하게 되었다.
비록 어부지리로 등극한 감이 적지 않지만 배틀제왕으로서의 강한 모습으로 2연승 때 메카를 상대로 메카의 측면을 회전디스크로 강하게 공격하여 메카를 작동불능으로 만들어버리면서 KO승을 하면서 2연승에 성공했다. 3연승 도전때 백러쉬를 상대했을 때는 패배했지만 좋은 승부를 보였다.
그러다가 제1회 로봇파워 왕중왕전 8강에서 백러쉬의 디스크를 강타함과 동시에 크게 일그러뜨리면서 판정승과 동시에 설욕전을 치르고 4강에 진출했지만 4강 상대였던 트라이던트의 빗면 리프트에 속수무책으로 부진한 끝에 함정에 빠져버리면서 패배했다.
이후 공식전에 두루 참가했지만 다소 부진한 전적으로 배틀제왕전의 문턱에 오르지 못했고,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서는 예선 탈락까지 겹치면서 악재가 이어졌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오랜만에 공식전에 출전했지만 리뉴얼된 사방불패2의 공격 한 번에 강철 디스크가 완전히 박살났고, 그 후의 추가타에 바퀴가 날아가며 전복되더니 그대로 공격중지가 되면서 패배한 후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2. 기타
가족 단위로 이룬 로봇 중 유일하게 배틀제왕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고[3], 로봇가족이라는 덕과, 흑룡이라는 이름 덕에 배틀제왕이 될 때 흑룡이 승천하는 CG를 선보이는 특별 대우가 존재했었다.[4]사방불패2와의 경기가 끝난 후 더욱 강력해진 모습으로 흑룡2를 제작한다고 했지만 끝내 만들어지지 않았다.
초창기 배틀로봇 환경에서 비교적 열세였던 수평회전디스크로서[5] 유일하게 성적이 좋은 편이었다. 잘 기억되지는 않지만 초기 리프트 강자였던 트라이던트와 1:1의 전적을 가지고 있고 백러쉬에게도 강한편이어서 전적이 동점이다.[6]
타나토스와 휴프노스의 파일럿인 윤동우 파일럿이 굉장히 싫어했다.
윤동우 파일럿은 자신이 운영하던 네이버 카페에서 휴프노스와 흑룡의 대결 당시 분명 공격중지 선언이 되었음에도 바퀴를 타격했다고 주장하며 대기실까지 찾아가서 항의했다고 한다. 또한 3라운드에서 사방불패2에게 패배 직후 아버지로 추정되는 인물이 난동을 부렸다고도 주장했다. [7]
흑룡을 싫어하게 된 계기는 흑룡의 파일럿 가족들이 조종하는 또 다른 로봇인 비스마르크2와의 경기 당시 파일럿의 아버지가 찾아와서 로봇이 조금 문제가 있으니 공격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하고 경기 땐 아무렇지도 않게 구동이 된채로 기습 공격을 해서 승리를 갈취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또한 당시 윤동우 파일럿이 운영하던 네이버카페에 올라온 글이며 이전에 있었던 타나토스와 흑룡의 대결 당시엔 이런 악연이 일어나기 전이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1] 대표적으로 흑룡의 2연승 때 도전자였던 메카와 훗날 수평회전 디스크형의 자존심이었던 런지와의 경기를 들 수 있다.[2] 이때 나온 자막은 이렇다. 사방불패2: 내가 왜 그랬을까..../흑룡: 아자! 이겼다!![3] 망치도 있긴하지만 삼촌 조카기준이기 때문에 생략.[4] 2연승 당시 흑룡의 승천CG가 보였다.[5] 극 초창기는 수직회전 디스크형이나 블레이드형, 드럼형이 공격형으로서 좋은 파괴력을 보여주었다. 역전된 것은 스텔스의 등장과 런지의 업그레이드 이후[6] 그 1패가 꽤 컸다는 것이 흠..[7] 정작 왜 난동을 부렸는지에 대해선 서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