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9:03:39

흑기사 괴물/드라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작 웹툰의 괴물에 대한 내용은 흑기사 괴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 시리즈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949494><tablecolor=#660000>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2020)
||<width=33%>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 로고.png
(2023)
||<width=33%> ||
[ 등장인물 ]
##엔딩크레딧 순서대로 기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1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949494>
파일:sweethome1.png
파일:sweethome2.png
파일:sweethome3.png
파일:sweethome4.png
파일:sweethome7.png
파일:sweethome5.png
파일:sweethome6.png
파일:sweethome9.png
파일:sweethome8.png
파일:sweethome10.pn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2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sweethomes2-1.jpg
파일:sweethomes2-2.jpg
파일:sweethomes2-3.jpg
파일:sweethomes2-4.png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sweethomes2-7.jpg
파일:sweethomes2-5.jpg
파일:sweethomes2-8.jpg
파일:sweethomes2-6.jpg
파일:sweethomes2-9.jpg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3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660000><tablewidth=100%><width=1000> 등장인물 ||<-3><width=80%><colbgcolor=#949494>시즌 1시즌 2시즌 3 ||
괴물 시즌 1시즌 2시즌 3
설정 그린 홈까마귀부대
줄거리 음악 원작과의 차이점 원작

흑기사 괴물
파일:mon11.png
1. 개요2. 특징3. 정체4. 극중 행적5. 여담

[clearfix]

1. 개요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에 등장하는 괴물.

2. 특징

오른팔이 칼날같이 생긴 무수한 깃털에 의해 날개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모양새대로 날개 하나하나는 평범한 깃털과는 급이 다를 정도로 단단하고 날카로운 듯하며, 심지어 엄청나게 뜨겁기까지 한 듯하다.[1]
은유야, 나는 보여, 괴물이 된 사람들의 욕망이. 그들이 어떤 환상 속에서 살고 있는지 보인다고. 그 꿈 속에서 다들 행복하게 그렇게 살아. 그런데 누나는 거기서도 불행해. 멈춰야 해. 내가 해야 돼.
— 시즌2 8화, 괴물이 된 이경을 흑기사 날개로 제압하며
접촉시 괴물화된 사람의 욕망. 즉 심상세계에 침입이 가능하며, 괴물화된 정신을 정상화시키는것도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2]
얘 다쳤잖아. 좀 쉬라고 둬. 아파 죽으려고 해서 나왔구만 이거 섭함. 다 네들 때문에 이런거 아냐?
— 시즌2 8화, 괴물화가 된 이경과 사투를 벌이고 나서 기력 소진으로 본래 인격 대신에 악마의 인격이 발현한 현수가 은유에게 항의하며
욕망과도 교대가 가능하다. 악마의 인격이 발현된 현수의 말로는 그가 괴물과 인간의 중간이 되어 본래의 인격을 유지하는 대신에 번아웃이 오거나 생명에 위협을 느낄 경우 욕망이 통제하는 거래를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차현수의 심성이 너무나도 선했던 탓인지 욕망이 발현된 인격도 현수가 아프다며 그를 위해 항변하는 정도 외에는 남에게 해를 끼치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는다.

3. 정체

파일:mon11-1.png
과거 모습
발현된 욕망 정의명[3]으로부터 그린 홈의 생존자들을 지키는 것

4. 극중 행적

정의명으로부터 그린 홈의 주민들을 지키기 위해 현수가 괴물화한 모습이다. 순식간에 정의명을 자신의 날개에서 나오는 고열로 녹여서 죽이지만 괴물의 야성을 주체하지 못해 주민들을 공격하게 된다.[4] 이 과정에서 현수가 두 발로 걸어서 나오는 두식을 괴물로 오인하여 죽이게 되고 그 여파로 정신이 돌아오게 된다. 그동안 함께 생존해왔던 동료들을 자기 손으로 죽이는 실수를 한 현수는 괴물화에 의해 두식에 대한 기억을 거의 잃지만 눈물 한 줄기를 흘리며 완전히 잊지는 않은 모습을 보인다.

시즌 2부터는 편상욱에 기생한 정의명과의 싸움에서 다시 한번 각성하더니 이후로는 이성을 유지하며 자유롭게 괴물의 힘을 다룬다. 다만, 8화에서 현수가 흑기사 괴물이 갖는 영혼 중화 능력을 써서 번아웃으로 긴 휴식을 취하고 있었는데, 이 틈을 타서 괴물의 인격이 발현되어 현수와 은유가 대화를 하고 있었다.

5. 여담

  • 원작에서는 본인이 덕질하던 애니메이션인 <마리아는 하늘에서> 속 수호기사 라이언과 비슷한 모습인 기사처럼 변했지만 드라마로 오며 애니메이션 덕후 설정이 게임 덕후로 설정으로 바뀌어 변한 모습이 흑기사가 아닌 다른 모습이 되었다.[5] 사실 이를 흑기사 괴물로 부르는 것이 맞는지조차 의문스럽다. 흑기사라는 이름과 연관성이 없어서인지 보다 가까운 불사조 괴물이라고도 불린다.[6]
  • 시즌2 8화에서 괴물의 인격이 발현되어 차현수가 이은유와 마주하는 장면이 밈의 소재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악마 차현수가 느끼한 눈빛으로 이은유에게 "그러게. 뭐할까? 뭐할래?"라고 말하는 장면은 넷플릭스 공식 유튜브에서 섹시한 악마 짤로 쓰였다. 역설적이게도 차현수의 괴물 인격이 다른 괴물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선하면서도 동시에 본래 차현수보다 더 강인함이 드러나는 장면이다.

[1] 콘크리트를 깃털로 자를수 있으며, 심지어 자르고 지나간곳은 금세 녹기까지 했다. 드라마 시즌 2에서는 아스팔트를 녹인다.[2] 괴물이 된 서이경이 시즌3에서 재등장하기 때문이다.[3] 정의명은 이때 현수가 괴물화하는 것을 보고 박수를 치며 감탄했다.[4] 정의명의 숙주 육신만 소멸했을 뿐, 완벽하게 죽이지는 못했다. 그 뒤로도 여러 육신에 들어가거나 검붉은 액체 상태로 돌아다닌다.[5] 원작의 기사같은 모습에서 오른팔이 칼날 깃털 달린 날개로 변했다. 이게 최종 상태인지는 몰라 섣불리 판단할 수는 없지만 원작의 모습과 공통점이 보이지는 않는다.[6] 작중 대부분의 괴물들이 인간일 적의 모습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것을 보면 불완전한 상태로 보인다. 현수는 한쪽 팔만 변화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