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21:57:59

회색기러기

회색기러기
greylag goose
파일:기러기 커플.jpg
학명 Anser anser
(Scopoli, 1769)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닭기러기상목(Galloanserae)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아과 기러기아과(Anserinae)
기러기속(Anser)
회색기러기(A. anser)
멸종 위기 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생김새3. 생태4. 기타

1. 개요

파일:ㅎㅅㄱㄹㄱ.jpeg.jpg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기러기의 일종. 두 아종으로 나뉘며, 유럽, 북아프리카에서 월동하는 anser와 인도, 중국 등지에서 월동하는 rubrirostris가 있다.

2. 생김새

'기러기'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가진 새다.

전체적으로 몸통은 회백색이며 그 색깔이 큰기러기보다 밝다. 분홍빛 부리를 가졌으며, 허리는 회색이다. 크기는 75~90cm 정도로 쇠기러기보다 조금 크고 큰기러기와 비슷한 편이다.

3. 생태

유라시아 대륙 중북부에서 번식하며 유럽, 북아프리카, 중국, 인도 등지에서 월동한다. 다른 기러기들과 비슷하게 물 고인 논이나 얕은 강가에서 잠을 자다가 수확이 끝나고 난 논에서 낱알을 주워먹는다. 다른 나라에서는 풀이 많고 편평한 초원에서도 잘 사는데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한다. 우리나라에는 미조(길잃은새)로 도래하며 주남저수지, 천수만,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 일부 개체들은 경안천 등에 매년 겨울에 찾아온다. 우리나라에 도래한 아종은 중국, 인도 등지에서 월동하는 rubrirostris이다.

주로 먹이는 풀, 새싹, 콩, 보리, 밀, 볍씨, 조, 수수인데 물 근처에 자란 식물도 따먹는다.

천적은 시베리아호랑이, 사자, 아무르표범, 치타, 스라소니, , 늑대, 붉은여우, 북극여우, 우수리승냥이, 너구리, 유럽불곰, 반달가슴곰, 수달, 줄무늬하이에나, 점박이하이에나, 수리부엉이,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흰매 등의 육식동물들이다.

4. 기타

  • 부리색만 봐도 거위를 떠올릴 듯 인상이 가축과 비슷한데, 실제로도 유럽 거위의 조상이다.[1]

[1] 중국 거위의 조상은 개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