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3:21:01

황재훈(고고학자)

황재훈
Hwang Jae Hoon
출생일 1979년
학력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 / 학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인류학 /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학 전공 / 박사)
현직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약력 전남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 연구소 연구원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원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지린대학 변강고고연구센터 교환연구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전임연구원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1. 개요2. 저술 및 연구실적3. 기타

1. 개요

대한민국고고학자.

2. 저술 및 연구실적

  • 황재훈 교신저자, 2025,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이주와 문화변동 연구 -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
  • 황재훈, 2024, 「고고학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DB)- C14 데이터베이스화와 관련하여」
    황재훈, 2024, 「공렬토기의 기원과 편년에 대한 학사적 검토」
  • 황재훈, 2024, 「청동기시대 분묘의 축조와 취락 경관의 구축」, 학진등재학술지
  • 황재훈, 2024, 「호서지역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사회의 이주와 정착」
    황재훈, 2024, 「청동기시대 금강유역의 인구분포변동 연구」
  • 황재훈 공저, 2023,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인구분포변동 연구」, 『고고학』22-1, 중부고고학회
  • 황재훈, 2022, 「강화도 지석묘의 분포와 특징」, 『강화 고인돌 조사 학술연구 용역 보고서』, 강화군·백두문화재연구원
  • 황재훈, 2022,「연천군 지석묘 유적의 특징과 의미」, 『연천군지』
  • 황재훈 공저, 2022, 「남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과 유통」, 『한국고고학보』2022-2, 한국고고학회
  • 황재훈, 2022, 「선사사대 사적의 지정·보존·관리 현황과활용 방안」, 『문화재』 55-2, 국립문화재연구원
  • 황재훈 공저, 2022, 「한국고고학에 있어 방사성탄소연대 활용의 문제점과 대안검토」, 『한국상고사학보』116, 한국상고사학회
  • 황재훈, 2022, 「섬진강-탐진강임유역 청동기시대 유적의 편년과 전개」, 『호서고고학』52, 호서고고학회
  • 황재훈, 2021,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영남고고학』 90, 영남고고학회
  • 황재훈, 2021,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과 전개」, 『호서고고학』 48, 호서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20, 「충청, 전북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제작기술적 특징과 성격」, 『호서고고학』 46, 호서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9, The old wood effect revisited: a comparison of radiocarbon dates of wood charcoal and short-lived taxa from Korea,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11, SPRINGER HEIDELBERG
  • 황재훈 공저, 2018,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 『한국고고학보』 107, 한국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7, POPULATION FLUCTUATION AND THE ADOPTION OF FOOD PRODUCTION IN PREHISTORIC KOREA: USING ADIOCARBON DATES AS A PROXY FOR POPULATION CHANGE, RADIOCARBON 59, UNIV ARIZONA DEPT GEOSCIENCES
  • 황재훈, 2017,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특징과 변천」, 『호남고고학보』 56, 호남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7, 「중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동향 - 공렬토기의 확산과 문화변동에 주목하여 -」, 『영남고고학』 78, 영남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6, 「방사성탄소연대의 고목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92, 한국상고사학회
  • 황재훈 공저, 2016, AMS Dates from Two Archaeological Sites of Korea: Blind Tests, RADIOCARBON 58, UNIV ARIZONA DEPT GEOSCIENCES
  • 황재훈, 2015, 「서북한지역 지석묘 연구 검토 -형식 및 편년을 중심으로-」, 『고고학』 14, 중부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5, Temporal fluctuation of human occupation during the 7th-3rd millennium cal BP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QUATERNARY INTERNATIONAL 384,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 황재훈 공저, 2015, 「C-14연대 분석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시론」, 『호남고고학보』 50, 호남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5, Sedentism, settlements, and radiocarbon dates of neolithic Korea, Asian Perspectives 54, University of Hawaii Pressuhpjourn
  • 황재훈, 2015,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검토 -형식 편년과 유형론, 그리고 방사성탄소연대-」, 『고고학』 14, 중부고고학회
  • 황재훈, 2014,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의 시간성 재고 ― 14C연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92, 한국고고학회
  • 황재훈, 2012,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75, 한국상고사학회
  • 황재훈, 2010, 「湖西-湖南地域松菊里式土器의 時·空間性」, 『한국고고학보』 77, 한국고고학회
  • 황재훈 공저, 2010, HOMOGENEITY IDEOLOGY VERSUS STATUS DISTINCTION : CHANGES IN BURIAL SYSTEM IN THE SOUTHWESTERN KOREAN BRONZE AGE, Monumental Questions, Prehistoric and protohistoric sciences, Uispp
  • 황재훈, 2009, 「경기지역 무문토기시대 묘제의 형식과 지역성 검토」, 『고고학』 8, 중부고고학회
  • 황재훈, 2009, 「전남지역 선송국리~송국리단계의 인구분포변동」,『호서고고학』20, 호서고고학회
  • 황재훈, 2007, 「전남지역 지석묘 출토 마제석촉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연구』 3,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 황재훈, 2006, 「전남지역 지석묘의 형식분류와 변천-개별 지석묘군의 축조순석 분석을 통해서-」, 『한국상고사학보』 53, 한국상고사학회

3. 기타



[1] 충청타임즈, 2021년 1월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