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0:23:27

홈랜더(모탈 컴뱃)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 더 보이즈의 홈랜더에 대한 내용은 홈랜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모탈 컴뱃 1의 출전 캐릭터
[ 펼치기 · 접기 ]
||플레이어블 캐릭터||

*🔒 = 해금 전용 캐릭터
*금색 = DLC 캐릭터 / 주황색 = 게스트 캐릭터
*전용 챕터가 있는 캐릭터는 붉은색으로 표기
카메오 캐릭터

*🔒 = 해금 전용 캐릭터
*금색 = DLC 캐릭터
*플레이어블과 중복인 캐릭터는 초록색으로 표기
NPC 캐릭터
*그 외 네임드 NPC: 캐시 케이지, 잭키 브릭스, 타카하시 타케다, 쿵 진


파일:모탈컴뱃로고.png
모탈 컴뱃의 게스트 캐릭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모탈 컴뱃(2011)|{{{#white 모탈 컴뱃}}}]]
크레토스 프레디 크루거
[[모탈 컴뱃 X|{{{#white 모탈 컴뱃 X}}}]]
제이슨
부히스
프레데터 레더페이스 에일리언
[[모탈 컴뱃 11|{{{#white 모탈 컴뱃 11}}}]]
스폰 터미네이터 조커 로보캅 람보
모탈 컴뱃 1
옴니맨 피스메이커 홈랜더
}}}}}}}}} ||
<colbgcolor=#e6e6e6><colcolor=#22326b> 홈랜더
Homelander
파일:모탈 컴뱃 1 홈랜더 프로필.png
본명 존 길먼(John Gillman)
출신지 어스렐름, 미국
종족 인간
성별 남성
능력 초능력
진영
성우 제이크 그린[1](모탈 컴뱃 1)
파일:모탈 컴뱃 1 홈랜더 배경.png

1. 개요2. 모탈 컴뱃 1
2.1. 성능2.2. 평가2.3. 기타

[clearfix]

1. 개요

Homelander

만화 더 보이즈의 등장인물. 더 보이즈 세계관에서 '세계 최강의 슈퍼히어로'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만화가 원작이지만, 외모나 행적은 드라마 시리즈를 기반으로 두는 듯하다.[2]

모탈 컴뱃 1의 다섯 번째 DLC 캐릭터이자 세 번째 게스트 캐릭터로 출시되었다.

인트로에선 같은 슈퍼맨 계열 캐릭터인 옴니맨을 늙은이 취급하며 무시하거나 아들내미 관리나 잘하라며 욕을 한다. 반대로 홈랜더가 부모의 애정을 갈구하는 성향을 반영하여 옴니맨에게 아버지의 역할을 갈구하는 대사를 치다가 홈랜더가 일언지하로 거절하는 인트로도 존재한다.


▲ 예고편

예고편에서 젖병에 담긴 우유를 게걸스럽게 마시는 장면은 드라마 속 매들린 스틸웰의 모유를 먹는 장면의 패러디.[3][4]

2. 모탈 컴뱃 1

파일:모탈 컴뱃 1 홈랜더.png
  • 페이탈리티
    • 상대에게 강력한 어퍼컷을 날려 구름보다 높이 날려보내 지나가던 여객기와 부딪히게 하고, 비행기에 달라붙은 채 간신히 살아있던 상대의 머리를 잡아다 엔진에 던져넣어 확인사살한다. 엔진이 박살난 여객기는 불타면서 추락하는데, 살려달라는 승객들의 절규를 보면서도 경례만 하면서 무시한다.[5] 옴니맨, 사이렉스의 페이탈리티와 함께 민간인 피해가 묘사되는 페이탈리티다.

    • 상대의 양 다리를 먼저 히트비전으로 잘라 버리고 상대의 눈에 다시 히트비전을 쏴 천천히 가열하면서 머릿속을 녹여버리며[6], 상대가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자 출력을 늘려 얼굴을 완전 터뜨리고, 몸을 반토막낸다.
개인 스토리 결말에서는 대충 어떻게 모탈 컴뱃의 시간선에 들어왔는지와 엔딩 이후의 행적이 간략하게 묘사된다. 어찌저찌 대중 앞에서만은 그 또라이기질을 꾹 참고 있던 드라마판과는 달리, 모탈컴뱃에 참여하기 전에는 아예 대놓고 군대와 홀로 맞짱을 뜨는 슈퍼빌런이 되어 있었으나[7] 타이밍 좋게도 이세계의 포탈이 열리면서 악마들이 침공하자 이들을 무찌르고, 인류의 적에서 다시 인류의 구원자로 등극하게 된다. 그런데 악마들이 타고 온 포탈이 왠지 몰라도 여전히 열려있었고, 그걸 타고 들어갔더니만 모탈 컴뱃의 세계로 들어오게 된 것. 마지막에는 이 시간선은 나만을 위한 것이라고 기뻐하며 리우 캉키타나를 포함한 네더렐름 전사들을 여럿 끔살시키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2.1. 성능

2.2. 평가

2.3. 기타

홈랜더와 마찬가지로 슈퍼맨 패러디 캐릭터인 옴니맨도 같이 게스트 캐릭터로 출연했다. 과거 더 보이즈 제작진과 인빈시블 제작진은 홈랜더가 아무리 날뛰어도 옴니맨 보다 약하다 발언한적이 있는데, 이 때문인지 기본 동작에서 부터 옴니맨 보다 약하게 연출 된 동작이 많다. 처음부터 전투종족인 빌트럼인에 군인 출신인 옴니맨은 순간이동을 연상케 할 정도로 비행속도도 빠르고, 주먹질과 발차기도 하나하나 절도있게 표현되는 반면에 홈랜더의 경우 비행속도가 옴니맨보다 다소 느리게 연출되고, 주먹질과 발차기도 박력이 덜하다.[8] 대신 옴니맨에겐 없는 히트비전이 공격 기술로 자주 나온다.[9]

미러전 인트로를 보면 자기는 결국 보우트의 배우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며 회의감을 느끼는 홈랜더도 있으나, 대부분은 우월주의에 빠져 적개심을 드러내는 쪽이 많다. 다른 시간선의 홈랜더는 같은 홈랜더라며 둘 다 우월한 존재라고 말하거나, 때려치고 혼자 하겠다는 쪽을 때려패서 정신교육을 시키겠다는 등 본편과 드라마판에 비해 그나마 아주 조금 덜 폭력적인 모습을 보인다. 미러전의 대사 대부분은 홈랜더가 거울 속 자기 자신의 환상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따왔다.

이스터 에그가 존재한다. 홈랜더의 브루탈리티 중에는 양쪽 귀를 후려쳐 고막을 터뜨려 죽이는 브루탈리티가 있는데, 이를 켄시에게 시전하면 "또다른 쓸모없는 눈 먼 병신이네?"라는 특수 대사가 등장하는데, 이는 더 보이즈 드라마 시즌2에서 블라인드스팟에게 한 대사의 오마주.

아버지를 쏙 빼닮은 인격파탄자답게, 모탈컴뱃에서도 이전에 게스트로 왔다간 조커와 마찬가지로 모든 인물들에게 혐오받는다. 그에게 호감을 표하는 인물은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고 하나같이 대놓고 깔보거나 위협하는 호전적인 대사를 주고받으며, 그나마 별로 적대감이 느껴지지 않는 상호작용이 있는 건 딥과 아쿠아맨의 이상성욕 드립을 치는 피스메이커 정도다. 그마저도 피스메이커도 다른 상호작용 대사들에서는 '평화가 아니라 힘이나 원하는 놈'이라는 등 다른 인물들처럼 홈랜더를 까기 바쁘다.


[1] 기존 배우인 안토니 스타미국 배우 조합의 총파업에 참가했기 때문에 출연이 불투명했으며 안토니 스타 본인도 코믹콘에서 모탈 컴뱃에 성우로 참여하냐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내 목소리가 나오는 게임을 하려면 콜 오브 듀티를 플레이하면 된다'라며 완곡하게 부정한 적이 있다. 모탈컴뱃 팬들은 성우 이름이 등재된 엔딩 크레딧 목록과 전작에서 터미네이터를 연기한 전적을 바탕으로 크리스 콕스라고 예상했으나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작터미네이터와 같이 얼굴 모델이 성우가 아닌 아닌 두 번째 사례가 되었다.[2] 다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으며, 엔딩 부분에서 자기를 공격하려는 전투기 편대를 히트비전으로 폭파시키는 장면이 묘사되는 걸 보면 어찌저찌 아직 그 정도까진 폭주하진 않고는 있는 드라마의 행적과는 달리 결국 아예 대중을 대놓고 적대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 모성을 갈망하고 있어서 에서 나오는 모유를 대신해 대리 만족하는 것(...).[4] 인게임 내에서는 일반 승리모션으로 나온다.[5] 드라마에서 퀸 메이브와 함께 여객기 테러리스트들을 제압하러 왔다가 비행기를 멀쩡히 착륙시킬 수 없게 되자 승객들의 구조를 포기한 후 전부 추락사하게 방치한 장면에서 따왔다.[6] 드라마에서 매들린 스틸웰을 살해한 방법이다.[7] 홈랜더 본인이 '이름도 모를 몇 놈들 좀 레이져로 지져버렸다고 그렇게 징징대는 배은망덕한 애새끼들'라고 투덜대는 걸 보면 드라마에서는 망상으로 그쳤던 시위대 대학살을 진짜로 실행한 시간선인 듯 하다.[8] 정확하게는 펀치는 팔만, 킥은 다리만 흐느적 거리며 움직인다. 다른 몸의 근육을 안쓴다.[9] 히트비전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팔 다리 쓰는 게 귀찮고 게을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