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38><colcolor=#fff> 초대 호주군총참모장 헨리 웰스 Henry Wells KBE, CB, DSO | ||
본명 | 헨리 웰스 경 Sir Henry Wells | |
출생 | 1898년 3월 22일 |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호주 식민지 빅토리아주 카인턴 | ||
사망 | 1973년 10월 20일 (향년 75세) | |
호주 자치령 퀸즐랜드주 야라원가 | ||
국적 |
| |
학력 | 카인턴 고등학교 호주왕립육군대학 | |
복무 | 호주 자치령 육군 (1919~1959) | |
최종 계급 | 중장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말라야 비상사태 | |
재임기간 | 제3대 주한영연방군사령관 | |
1953년 ~ 1954년 | ||
제19대 호주 육군총참모장 | ||
1954년 12월 16일 ~ 1958년 3월 22일 | ||
초대 호주군총참모장 | ||
1958년 3월 23일 ~ 1959년 3월 22일 |
1. 개요
호주의 군인. 6.25 전쟁당시 제3대 주한영연방군 사령관이였다.2. 생애
빅토리아주 카인턴 출신으로 1919년 호주왕립육군대학을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초창기엔 영국 본토에서 복무했으며 귀국 후 제8호주경기병연대 병참장교, 부관을 지냈다. 제9호주경기병연대, 제6기병여단, 소화기학교 교관을 지내다가 1931년 대위로 진급했다. 참모학교를 수료하고 제1호주보병여단 병참, 부관을 맡았다.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제2호주제국군 소속 소령으로 참전했으며 그리스 전역 당시 제1호주군단 제6사단으로 배치되었다. 군단장 토머스 블러미의 참모를 지내다가 그리스에서 후퇴한 후 팔레스타인에 배치되었다가 대령으로 진급 후 북아프리카 전선 제9호주사단[1]에 배치되어 카이로에 있다가 엘 알라메인 전투에 참가했다.
특히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9사단은 12일간 추축군에게 맹공을 퍼부어 승리해 훈장을 수여받았다.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결되고 팔레스타인으로 이동했다가 남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했다. 준장으로 진급하고 제2호주군단 소속으로 뉴기니 전투에서 실전을 치렀으며 1944년 제1군단 소속으로 호주로 귀국해 조지 앨런 베이시 소장이 항공사고로 사망하자 후임으로 퀸즐랜드 방어를 담당하다가 종전을 맞이했다.
1946년 소장으로 진급하고 육군참모차장으로 임명되었고 6.25 전쟁 당시 윌리엄 브리지퍼드 중장의 후임으로 주한영연방군 사령관이 되었고 임기 종료 후 육군참모장에 임명되었으며 말리야 비상사태 당시 호주군을 지휘했다. 그 후 호주군을 통합지휘할 호주군 총참모장이 신설되었고 초대 총참모장이 되어 1년간 재직하고 1959년 예편했다.1973년 사망했다.
[1] 사단장 레슬리 모스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