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0:38:08

헤로데 왕조

헤로데 왕국에서 넘어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 상고대 이집트 신왕국
가나안 민족
페니키아인
히브리 히브리 민족
이스라엘 왕국
유다 이스라엘
오리엔트 제국 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제국
아케메네스제국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하스몬 왕국
로마 제국 헤로데 왕국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제국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툴룬 왕조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셀주크 제국
십자군 전쟁
중근세
예루살렘 왕국
아이유브 왕조 십자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근대
오스만 제국
[[러시아-튀르크 전쟁#s-8|
제7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 자히르 알 우마르 | 알리 베이 알카비르
오스만 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
오스만 제국
[[메흐메드 알리|
알리 왕조
]]
근현대 아랍 반란
OETA 영국
위임통치령
현대 이스라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리아 사막 페트라 메데바 암몬
<colbgcolor=#000000> 상고대 셈계 아모리인
힉소스 아카드 / 수메르 제국
이집트 신 왕조
vs 이스라엘 나바테아 인 에돔 아람인
이스라엘 왕국
에돔 모압 암몬
동방 제국 신 아시리아 제국
신 바빌로니아 제국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
헬레니즘 나바테아 마케도니아 제국
안티노고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나바테아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 티그라네스 2세
히브리 하스몬 왕조
[[로마 제국|
로마 속국
]]
헤로데 왕국
로마 제국 고대 로마
로마 제국
가산 왕국 동로마 제국
vs 이란 사산 조 페르시아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중세
이집트 vs 이라크
아바스 왕조
카르마트 툴룬 왕조
아바스 왕조
이크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셀주크 제국
십자군 다마스 예루살렘 왕국
장기 조
중근세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근대 아랍
민족주의운동
오스만 제국
[[와하브파#이븐 압둘 와하브|
와하비즘의 대두
]] | [[메흐메드 알리|
알리 왕조
]]
아랍 반란
영국 영국 위임통치
[[시리아 아랍 왕국|
시리아 아랍 왕국
]]
대요르단 토후국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현대 요르단 하심 왕국
※ 세부적인 지역은 메데바는 중부 메데바 일대, 페트라는 남부 페트라를 지칭함 }}}}}}}}}}}}

히브리어 הוֹרְדוֹס
고전 그리스어 Ἡρῴδης
한국어 공동번역 성서 헤로데
가톨릭
개신교 헤롯

1. 개요2. 이름3. 역사
3.1. 헤로데 대왕(헤로데 1세) 치세3.2. 헤로데 사두정치3.3.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 치세
4. 역대 국왕

1. 개요

에돔 혈통의 왕가로, 고대 로마의 속국으로서 팔레스타인 지역에 왕국을 세운다.

2. 이름

신약 성경이나 역사 기록에 남은 '헤로데'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는 'Ἡρῴδης(헤로데스)', 히브리어로는 'הוֹרְדוֹס(호르도스)'이다. 가문명을 비롯하여 인명에도 사용된다.

보통 아기 예수를 미리 죽이기 위해 애꿎은 어린애들을 학살한 헤로데왕으로 유명하지만, 사실은 대가 이어진 동명이인 임금이 여럿이다. 성경에서만 따져도 무려 4명, 실제로는 6~7명이라서 착각하기 쉽다. 그나마 성경에서도 구별은 해준다.

영어로는 'Herod'. 뜻은 '영웅의 아들'로서 'Hero'(히어로)와 어원이 같다.

3.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F3FF,#001851> 사마리아 · 유대 · 이두메아 얌니아 · 아스돗 · 파사엘리스 갈릴래아 · 페레아 이투레아 · 골란 고원 · 바타니아 · 트라코니티스 · 아우란티스
기원전 37년~기원전 4년 헤로데 대왕
기원전 4년~기원후 6년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살로메 1세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필립보 2세
6년~10년 (유다이아 속주)
10년~34년 (유다이아 속주)
34년~37년 (시리아 속주)
37년~39년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
39년~40년
40년~41년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
41년~44년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
44년~48년 헤로데 5세
48년~73년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남유다 · 바빌론 예후드 · 예후드 메디나타
하스몬 왕조 · 유다이아
}}}}}}}}}

3.1. 헤로데 대왕(헤로데 1세) 치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로데 대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대인들에 흡수된 에돔의 유력가문 출신인 안티파테르(안티파텔)와 나바테아 왕국의 페트라(요르단강 동쪽)의 공주 키프로스의 둘째 아들, 이 사람이 그 유명한 유아대학살[1]을 했다고 알려진 헤로데왕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신구약 중간사가 대단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나머지 에돔계 유대인인 그가 외국인으로 이스라엘 임금이 되었다는 오해가 한국에 널리 퍼져 있으나 이는 잘못된 관념이다. 에돔보다 유대와 약간 더 거리가 있었던 모압과 암몬조차도 헤로데 왕조 이전 하스몬 왕조 때 유대인으로 동화되어 정체성을 완전히 잃어버린 마당에 그보다 더 거리가 가까운 에돔이 정체성이 있었다는 얘기는 역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헤로데 왕조가 충성심을 얻지 못했다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성직자 계급 중 일부에 불과했으며, 헤로데 대왕 사후 일어난 반란은 헤로데 왕조 자체가 아닌 로마에게 반항하는 반란이었지 헤로데 왕조의 에돔 정체성과는 전혀 무관하다. 하스몬 왕조조차도 다윗 왕가 후손이 아니라는 점 및 제사장과 왕을 겸하는 근거 없는 참칭[2]을 한다는 이유로 성직자 계급에게 백안시당했고 내내 욕을 먹었었다.

현재 이스라엘에서 나름대로 대왕으로 칭송하는 건 아주 당연한 얘기로 헤로데는 어디까지나 유대인이었던 게 이유다. 굳이 혈통적 순수성을 따지자면 이미 느헤미야 때부터 모압, 암몬, 에돔계 인들과 대량혼혈된 나머지 유대인들이 그걸 공개적으로 따질 이유는 없었다. 헤로데가 에돔계로 추적가능한 계보가 있었기에 반왕정 세력인 유대교 주류 지식인에게 욕먹을 개연성이 있었던 것과 이는 별도였다. 또다른 사유는 성서와 본문에서 나오듯, 성전을 재건축했기 때문이다.[3] 내셔널 지오그래픽지에서 현지 취재를 할 때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이, "기독교 나라에서 신약 성경을 근거로 헤로데 대왕을 비하하는 일을 좀 집어쳤으면 한다"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이다. 사실 유대교는 로마 황제를 위해 제물을 바치는 것을 제외하고는 로마 내에서 가장 높은 종교적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고, 헤로데왕은 이를 보호하는 대표적 인물이었으니 그럴만도 하다.

다만 헤로데 대왕에게 안티 세력이 만만찮았던 건 분명한 사실이다. 이조차도 역설적으로 헤로데 대왕 당시 부흥한 이스라엘의 경제 상황과 관련이 있다. 항상 그렇듯 그런 경제부흥이 있으면 늘 상류층에게 먼저 부가 집중되는데, 당대 이스라엘도 예외가 아니었던지라 헤로데 대왕 당시 빈부격차가 더 심해지고 만 것이다. 기회를 잡은 부유층 및 중류층은 별 불만 없었겠지만 그 나머지는 도저히 그렇게 생각할 수가 없었으며 이는 성경 및 성경 외 문헌에서 교차검증된다. 또한 헤로데 왕조 또한 이전 하스몬 왕조의 헬라화 정책을 계승했는데 이 또한 나름대로 재력이 있다한들 종교성은 강한 중류 지식인층에게 지지 받을 정책은 아니었다. 물론 헤로데는 정통성 보강을 위해 이미 아내와 아들까지 두었음에도 이전 왕가인 하스몬 왕조의 공주 마리암과 혼인했었다. 다만 마리암은 이후 처형되었으며 마리암의 자식들 역시 처형되었기에 사실상 하스몬 왕가의 혈통은 단절되었고 이 일로 헤로데 왕조는 유대인들에게 엄청나게 욕을 얻어먹었으며 아우구스투스를 비롯한 국제 사회에서도 공개적인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헤로데에 대한 현대 이스라엘의 고평가는, 현대에는 헤로데의 왕위 비정통성이 아무래도 좋은 문제가 되었고, 잔혹성 또한 기독교계에서 부각했던 것과는 별개로 그렇게 심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영토 확장 등 국익을 증진하고 토목 인프라를 건설하는 노회한 정치인으로서의 면모가 부각되기 때문이다.

3.2. 헤로데 사두정치

기원전 4년 헤로데 대왕은 적자를 남기지 못한 채 사망하고, 그의 영토는 아들(서자) 셋과 여동생에게 분할된다. 하지만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허락을 받은 게 아니었다.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긴 아우구스투스가 이들의 왕의 지위를 인정하나 통치권을 박탈한다.
파일:Herodian_tetrachy.png 파일:map-back-11.png
헤로데 사두정치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필립보 2세 헤로데 필립보 2세
살로메 1세 데카폴리스
|| 헤로데 아르켈라오스(Ἀρχέλαος) ||사실상의 적자. 유대·사마리아·이두메아 상속. ||
헤로데 안티파스 아르켈라오스의 동복 동생. 갈릴래아·페레아 상속.
헤로데 필립보 2세 아르켈라오스의 이복 동생. 이투레아(골란 고원과 바타니아)·트라코니티스 상속.
살로메 1세 헤로데 대왕의 여동생. 얌니아 등 상속.

아르켈라오스는 유대사마리아, 이두메아를 아우르는 가장 넓은 땅을 물려받았으나 강압통치 때문에 기원후 6년에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폐위되어 갈리아에서 죽었다. 그의 영토는 사마리아와 이두메아를 포함하여 그대로 로마 제국의 유다이아 속주가 된다.

다섯째 부인(측실)인 클레오파트라의 아들로 헤로데의 사망 때 갓난아기였던 헤로데 필립보 2세는 바타니아를 물려받는다. 34년 헤로데 필립보 2세는 자식 없이 38세에 죽어 대가 끊기게 되고, 바타니아는 시리아 속주에 편입된다. 그러다가 37년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가 바타니아 왕위에 오른다.

갈릴래아와 페레아는 헤로데 안티파스가 통치하고 있다가 39년 그가 칼리굴라 황제에게 폐위당한 뒤 40년 그의 조카이자 바타니아의 왕인 아그리파스 1세의 손에 들어간다. 41년 아그리파스 1세가 유대 왕위에 오르면서 유다이아 속주는 그의 치하에 자치권을 누렸는데, 44년 그의 사망 이후 유다이아 속주가 다시 로마 제국의 직할령이 되면서 그가 가지고 있던 갈릴래아와 페레아가 유다이아 속주에 편입된다.

3.3.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 치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대 국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로데 왕조/역대 국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당시 해당지역 인구를 토대로 추정하면 2살 이하의 사내아이 약 20여 명을 학살되었을 거라고 추정한다. 가톨릭에서는 이를 근거로 12월 28일을 '무죄한 어린이들의 순교 축일'로 기념한다. 다만 실제 이런 사건이 일어났다는 역사적 기록은 없어서 이 일이 정말로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역사가들이 많다. 복음주의 역사가이자 신학자 제임스 던도 이 일화가 루카스 복음의 엘리샤밧 일화와 마찬가지로 역사성을 별로 담보할 수 없는 건으로 볼 정도다. 헤로데의 잔인성 또한 대단히 과장된 것으로, 친척 척결하는 수준이 오늘날 기준 및 당대 로마 기준으로는 좀 잔인했다지만 당대 오리엔트 군주들보다 딱히 더 나갔던 건 아니었다.[2] 하스몬 왕조가 바로 이 비난을 무마하기 위해 요즘 한국 개신교에서는 친숙할 '왕 같은 제사장' 개념 및 다윗 왕조와 레위 가계의 마쉬아흐를 통합계승하는 마쉬아흐 예언을 발명했었다. 비록 동화되었다고는 할망정 다윗은커녕 레위하고도 무관한 헤로데 왕조는 그런 말을 떠들었다간 공개적 웃음거리가 될 게 뻔하여 이런 개념을 전혀 활용하지 않고 유야무야 묻어버렸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발상을 예수 추종 집단이 교리로 차용하게 된다.[3] 비슷한 이유로 유대인이 아니면서 이스라엘에서 칭송받는 또다른 인물이 있는데 바로 키루스 대왕이다. 그는 유대인들의 바빌론 유수를 끝내고 이스라엘로 돌아가 성전의 재건을 허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