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18:40:44

허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진천군·음성군)
제13대
김완태[1]
제13대
허탁
제14대
민태구

1. 생애2. 선거 결과3. 둘러보기

1. 생애

許沰
1935년 12월 21일 ~ 2001년 11월 15일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호는 삼청(三淸)이다.

1935년 충청북도 충주군 주덕면에서 태어났다. 충주주덕초등학교, 청주사범학교병설중학교, 청주사범학교[2], 연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정치 입문 전에는 음성생극중학교 재단이사장을 지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군·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종근 후보와 신민당 이택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충청북도 괴산·음성군·진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안갑준 후보와 한국국민당 김완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김완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김완태의 별세로 치러진 1990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자유당 민태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민태구 후보, 통일국민당 정우택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2. 선거 결과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2[3]

파일:민주통일당.svg
6,021 (3.04%) 낙선 (5위)
198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4[4]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8,943 (14.02%) 낙선 (4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진천·음성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743 (24.65%) 낙선 (3위)
1990 4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5]
37,441 (54.56%) 당선 (1위) 초선 [6][7]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0,621 (14.67%) 낙선 (3위)

3. 둘러보기

파일:충청북도 구 휘장(1980s).svg 충청북도 제13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청주 갑 청주 을 충주·중원 제천
정종택 오용운 이종근 이춘구
청원 보은·옥천·영동 괴산 진천·음성
신경식 박준병 김종호 허탁
제원·단양
안영기
* 진천·음성 김완태 사망 (1990.1.13.)
}}}
전국구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심볼.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금식 권노갑 김대중 김덕규 김봉호
김영도 김영배 김영진 김원기 김인곤
김정길 김종완 김주호 김충조 김태식
김현 노무현 류인학 류준상 문동환
박상천 박석무 박실 박영숙 신기하
신순범 양성우 오탄 이경재 이교성
이기택 이동근 이상수 이수인 이영권
이재근 이철 이해찬 이협 이희천
장석화 정균환 정기영 정대철 정상용
조세형 조순승 조승형 조찬형 조홍규
채영석 최락도 최봉구 최영근 최훈
한광옥 허경만 허만기 허탁 홍기훈
홍영기 }}}
}}}}}}


[1] 임기 중 작고.[2] 일제강점기인 1941년에 고등학교 과정으로 설립됐으며 1963년 17회 졸업생을 끝으로 약 3,7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면서 사실상 충북 교육계의 대표적인 인맥의 산실이었다.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교지만 국립으로 학비가 저렴한데다 2년 양성과정을 마치면 곧바로 교단을 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부 잘하고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는 선망의 학교였다. 일부 졸업생 중에는 당시 청주의 대표적 명문고인 청주고에 합격하고도 청주사범에 진학할정도로 청주사범은 높은 인기를 끌었다.[3]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제천군·단양군 지역[4] 충청북도 괴산군·음성군·진천군 지역[5] 전임자 김완태 작고[6] 가칭 민주당 (통칭 꼬마민주당) 지지[7] 1990.6.15 민주당 (통칭 꼬마민주당) 창당
1991.9.16 민주당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