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동 | 서 | 영도 | 부산진 갑 | 부산진 을 |
정의화 | 유기준 | 김무성 | 나성린 | 이헌승 | |
동래 | 남 갑 | 남 을 | |||
이진복 | 김정훈 | 서용교 | 박민식 | 김도읍 | |
사하 갑 | 사하 을 | 금정 | |||
배덕광 | 하태경 | 문대성 | 조경태 | 김세연 | |
연제 | 수영 | 사상 | |||
김희정 | 유재중 | 문재인 | |||
* 영도 이재균 의원직 상실 (2013.2.14.) * 해운대·기장 갑 서병수 사퇴 (2014.5.15.) | |||||
◀ 제18대 제20대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동, 재송동, 반여동, 반송동 등 海雲臺區·機張郡 甲 Haeundae–Gijang A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306,144명 (2012) | |||||
상위 행정구역 | 부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 | |||||
이전 선거구 | 해운대구 | |||||
폐지년도 | 2016년 | |||||
이후 선거구 | 해운대구 갑, 해운대구 을 |
1. 개요
해운대구·기장군 갑 선거구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실시되었던 선거구이다. 본래 해운대구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단일 선거구로 선거를 치렀다. 그러나 1995년에 기장군이 부산광역시에 편입된 후 기장군의 인구 상한선이 단일 선거구를 세우는데 미치지 못하면서 해운대구와 기장군을 병합한 후 해운대구의 우동, 중1동, 반송동, 반여동, 재송동을 묶어 해운대구·기장군 갑으로 편성하고 해운대구의 나머지 중2동, 좌동, 송정동과 기장군을 묶어서 해운대구·기장군 을 선거구로 편성하였다. 따라서 이 선거구에는 이름과는 달리 기장군이 속하지 않았다.[1] 이 지역구의 마지막 국회의원은 새누리당 소속의 배덕광 의원이었다.이후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관신도시로 인해 기장군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인구 상한선을 초과해 결국 기장군이 단일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이후로는 본래 이 선거구에 속했던 우동과 중동 그리고 해운대구·기장군 을 선거구에 있던 좌동과 송정동을 묶어서 해운대구 갑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반송동, 반여동, 재송동을 묶어서 해운대구 을로 편성하여 선거구를 재조정하면서 해운대구·기장군 갑 선거구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5대 | 김운환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16대 | 손태인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0년 5월 30일 ~ 2002년 1월 5일[2] |
서병수 | 2002년 8월 8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 |
배덕광 | 2014년 7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좌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석대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운환(金沄桓) | 56,903 | 1위 |
| 49.15% | 당선 | |
2 | 이기택(李基澤) | 55,163 | 2위 |
| 47.65% | 낙선 | |
3 | 박호원(朴鎬源) | 3,687 | 3위 |
| 3.1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9,429 | 투표율 66.45% |
투표 수 | 119,238 | ||
무효표 수 | 3,485 |
개표 결과, 1.5%P(1,740표) 차이로 김운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태인(孫泰仁) | 70,999 | 1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5.79% | 당선 | |
2 | 김운환(金沄桓) | 23,151 | 2위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21.45% | 낙선 | |
4 | 황상모(黃相模) | 13,762 | 3위 |
| 12.7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1,134 | 투표율 51.90% |
투표 수 | 109,572 | ||
무효표 수 | 1,660 |
2.3. 2002년 재보궐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병수(徐秉洙) | 27,961 | 1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9.56% | 당선 | |
2 | 최인호(崔仁昊) | 8,065 | 2위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20.06% | 낙선 | |
3 | 박호원(朴鎬源) | 634 | 4위 |
[[민주공화당(2000년)| 민주공화당 ]] | 1.58% | 낙선 | |
4 | 송관종(宋灌鍾) | 3,536 | 3위 |
| 8.8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7,764 | 투표율 18.76% |
투표 수 | 40,852 | ||
무효표 수 | 656 |
2.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병수(徐秉洙) | 71,913 | 1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5.55% | 당선 | |
3 | 최인호(崔仁昊) | 57,539 | 2위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44.4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0,815 | 투표율 59.53% |
투표 수 | 131,462 | ||
무효표 수 | 2,010 |
||<-5><tablealign=center><bgcolor=#0095da><tablebordercolor=#0095da> 17대 총선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개표 결과 ||
최인호 후보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 버프를 타고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 1위를 독식했고, 선거 당일 MBC 출구 조사에서도 당선유력으로 나왔으나, 개표 결과는 정반대로 서병수 후보의 대승이었다.<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열린우리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서병수 | 최인호 | ||
득표수 (득표율) | 71,913 (55.55%) | 57,539 (44.44%) | +14,374 (△11.11) | 59.53% |
우1동 | 63.41% | 36.59% | △26.82 | 63.46 |
우2동 | 60.23% | 39.77% | △20.46 | 65.20 |
중1동 | 59.27% | 40.73% | △18.54 | 56.52 |
중2동 | 58.37% | 41.63% | △16.74 | 52.97 |
반여1동 | 55.28% | 44.72% | △10.56 | 63.00 |
반여2동 | 51.73% | 48.27% | △3.46 | 53.78 |
반여3동 | 50.82% | 49.18% | △1.64 | 54.53 |
반송1동 | 53.26% | 46.74% | △6.52 | 53.35 |
반송2동 | 52.43% | 47.57% | △4.86 | 57.06 |
반송3동 | 51.97% | 48.03% | △3.94 | 53.60 |
재송1동 | 53.06% | 46.94% | △6.12 | 58.06 |
재송2동 | 53.76% | 46.24% | △7.52 | 57.76 |
후보 | 서병수 | 최인호 | 격차 | |
부재자투표 | 47.64% | 52.36% | ▼4.72 |
여담으로 당선된 서병수는 해당지역에서 국회의원 2번 더하고 부산광역시장을 거쳐[3] 해운대구에서 부산진구로 기반을 옮겨 부산진구 갑 지역에서 출마해 원내복귀를 했고, 최인호는 2010년대 이후로는 낙동강벨트 지역인 사하구로 기반을 옮겨 2012년 총선에서는 사하구 갑 지역에 출마해 아쉽게 낙선하였지만, 2016, 2020년 총선에는 재선에 성공하였다.
2024년에 진행되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산진구 갑 선거구의 서병수 후보는 지역구를 북구 갑으로 옮겨 재선 전재수 후보와 맞붙었으나 낙선했고, 사하구 갑 지역의 최인호 후보는 3선 고지에 오르기 위해서 이성권 후보와 맞붙었으나 낙선했다.
2.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중1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관종(宋灌鍾) | 15,397 | 2위 |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 17.25% | 낙선 | |
2 | 서병수(徐秉洙) | 57,968 | 1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4.97% | 당선 | |
3 | 이병희(李秉熙) | 6,649 | 4위 |
| 7.45% | 낙선 | |
4 | 신지은(申知恩) | 7,066 | 3위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7.92% | 낙선 | |
6 | 백인복(白寅福) | 2,132 | 5위 |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 2.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2,983 | 투표율 38.75% |
투표 수 | 90,283 | ||
무효표 수 | 1,071 |
2.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재송1동, 재송2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병수(徐秉洙) | 68,136 | 1위 |
| 55.52% | 당선 | |
4 | 고창권(高昌權) | 49,431 | 2위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 ]] | 40.27% | 낙선 | |
6 | 송관종(宋灌鐘) | 5,152 | 3위 |
| 4.1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4,146 | 투표율 50.78% |
투표 수 | 123,972 | ||
무효표 수 | 1,253 |
||<-8><tablealign=center><bgcolor=#c9252b><tablebordercolor=#c9252b> 19대 총선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개표 결과 ||
새누리당에선 현역 의원인 서병수가 단수 공천을 받아 4선에 도전했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통합진보당과 야권 연대를 하면서 이곳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고 통합진보당 고창권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출마했다. 그 밖에 정통민주당에서 송관종 후보가 출마했다. 사실상 서병수와 고창권의 1 : 1 매치나 다름없다.<colbgcolor=#eee,#353535> 정당 | 새누리당 | 통합진보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서병수 | 고창권 | ||
득표수 (득표율) | 68,136 (55.52%) | 49,431 (40.27%) | +18,705 (△15.25) | 50.78% |
우1동 | 63.38% | 32.86% | △30.52 | 50.99 |
우2동 | 60.46% | 35.39% | △24.97 | 51.54 |
중1동 | 61.21% | 34.82% | △26.39 | 47.33 |
재송1동 | 54.95% | 41.58% | △13.37 | 51.60 |
재송2동 | 51.43% | 44.83% | △6.60 | 45.60 |
반여1동 | 52.44% | 43.41% | △9.03 | 55.15 |
반여2동 | 55.84% | 39.82% | △16.02 | 44.33 |
반여3동 | 55.44% | 40.38% | △15.06 | 46.55 |
반여4동 | 52.43% | 42.27% | △10.16 | 53.31 |
반송1동 | 53.30% | 42.14% | △11.16 | 44.77 |
반송2동 | 47.95% | 46.87% | △1.08 | 51.54 |
반송3동 | 52.24% | 42.60% | △9.64 | 47.15 |
후보 | 서병수 | 고창권 | 격차 | 투표율 |
국외부재자투표 | 42.04% | 53.87% | ▽11.83 | 35.75 |
국내부재자투표 | 58.08% | 37.33% | △20.75 | 89.40 |
개표 결과 고창권 후보가 40% 이상을 득표하며 크게 선전했지만 탄탄하게 뿌리 박힌 보수세를 넘어서긴 어려웠고 결국 55.52% : 40.27%로 현역 의원 서병수가 15.25% 차로 여유롭게 대승을 거두고 4선 고지에 올랐다. 이 선거에서 당선된 서병수는 부산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고 재보궐선거로 이어지게 된다.
2.7.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해운대구·기장군 갑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재송1동, 재송2동,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반송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덕광(裵德光) | 37,012 | 1위 |
| 65.60% | 당선 | |
2 | 윤준호(尹俊皓) | 19,407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34.3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7,761 | 투표율 22.87% |
투표 수 | 56,670 | ||
무효표 수 | 251 |
그리고 이 선거를 끝으로 기장군이 단일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이 선거구는 해운대구 갑과 해운대구 을로 새로이 조정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