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1. 국가별 보유량
1.1. 총계 순위
| 국가별 총계(취역 + 건조중) | |||||||
| 순위 | 국가 | 총계 | SSBN | SSN[1] | 재래식 잠수함 3,000톤 이상 | 재래식 잠수함 3,000톤 미만 | |
| 1 | 미국 | 69(+10) 척 | 14(+1) 척 | 55(+9) 척 | |||
| 2 | 중국 | 58+ 척 | 6 척 | 6+ 척 | 28+ 척 | 18 척 | |
| 3 | 러시아 | 50(+13) 척 | 12(+3) 척 | 22(+5) 척 | 16(+1) 척 | 0(+4) 척 | |
| 4 | 일본 | 23(+4) 척 | 23(+4) 척 | ||||
| 5 | 북한 | 22+ 척 | (+1)[2] | 22+[3] 척 | |||
| 6 | 대한민국 | 21 척 | 3 척 | 18 척 | |||
| 7 | 인도 | 18(+2) 척 | 3 척 | 7 척 | 9(+1) 척 | ||
| 8 | 튀르키예 | 12(+6) 척 | 12(+6) 척 | ||||
| 9 | 영국 | 10(+2) 척 | 4 척 | 6(+2) 척 | |||
| 9 | 그리스 | 10 척 | 10 척 | ||||
| 11 | 프랑스 | 9(+4) 척 | 4 척 | 5(+4) 척 | |||
| 12 | 이탈리아 | 8(+2) 척 | 8(+2) 척 | ||||
| 12 | 이집트 | 8 척 | 8 척 | ||||
| 14 | 독일 | 6 척 | 6 척 | ||||
| 14 | 노르웨이 | 6(+1) 척 | 6(+1) 척 | ||||
| 14 | 싱가포르 | 6(+2) 척 | 6(+2) 척 | ||||
| 14 | 베트남 | 6 척 | 6 척 | ||||
| 14 | 알제리 | 6 척 | 6 척 | ||||
| 14 | 호주 | 6 척 | 6 척 | ||||
| 14 | 페루 | 6 척 | 6 척 | ||||
| 21 | 이스라엘 | 5 척 | 5 척 | ||||
| 21 | 이란 | 5(+3) 척 | 3 척 | 2(+3) 척 | |||
| 21 | 파키스탄 | 5(+2) 척 | 5(+2) 척 | ||||
| 24 | 브라질 | 4(+3) 척 | 0(+1) 척 | 4(+2) 척 | |||
| 24 | 스웨덴 | 4 척 | 4 척 | ||||
| 24 | 캐나다 | 4 척 | 4 척 | ||||
| 24 | 칠레 | 4 척 | 4 척 | ||||
| 24 | 대만 | 4 척 | 4 척 | ||||
| 24 | 인도네시아 | 4 척 | 4 척 | ||||
| 30 | 스페인 | 3(+3) 척 | 3(+3) 척 | ||||
| 30 | 네덜란드 | 3 척 | 3 척 | ||||
| 3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척 | 3 척 | ||||
2. 원자력 잠수함 목록
2.1. 국가별 SSBN 보유 현황
| SSBN: 국가별 보유 현황 | |||||||
| 척 | 미국 | 러시아 | 중국 | 영국 | 프랑스 | 인도 | |
| 1 | 오하이오급(SSBN-730)/18,750톤 | 보레이급(K-535)/24,000톤 | 진급(411)/11,000톤 | 뱅가드급(S28)/15,900톤 | 르 트리옹팡급(S616)/14,335톤 | 아리한트급(SSBN 80)/6,000톤 | |
| 2 | 오하이오급(SSBN-731)/18,750톤 | 보레이급(K-550)/24,000톤 | 진급(412)/11,000톤 | 뱅가드급(S29)/15,900톤 | 르 트리옹팡급(S617)/14,335톤 | 아리한트급(SSBN 81)/6,000톤 | |
| 3 | 오하이오급(SSBN-732)/18,750톤 | 보레이급(K-551)/24,000톤 | 진급(413)/11,000톤 | 뱅가드급(S30)/15,900톤 | 르 트리옹팡급(S618)/14,335톤 | ||
| 4 | 오하이오급(SSBN-733)/18,750톤 | 보레이급(K-549)/24,000톤 | 진급(414)/11,000톤 | 뱅가드급(S31)/15,900톤 | 르 트리옹팡급(S619)/14,335톤 | ||
| 5 | 오하이오급(SSBN-734)/18,750톤 | 보레이급(K-552)/24,000톤 | 진급(420)/11,000톤 | ||||
| 6 | 오하이오급(SSBN-735)/18,750톤 | 보레이급(K-553)/24,000톤 | 진급(421)/11,000톤 | ||||
| 7 | 오하이오급(SSBN-736)/18,750톤 | 보레이급(K-554)/24,000톤 | |||||
| 8 | 오하이오급(SSBN-737)/18,750톤 | 델타급 IV(K-51)/18,200톤 | |||||
| 9 | 오하이오급(SSBN-738)/18,750톤 | 델타급 IV(K-114)/18,200톤 | |||||
| 10 | 오하이오급(SSBN-739)/18,750톤 | 델타급 IV(K-117)/18,200톤 | |||||
| 11 | 오하이오급(SSBN-740)/18,750톤 | 델타급 IV(K-18)/18,200톤 | |||||
| 12 | 오하이오급(SSBN-741)/18,750톤 | 델타급 IV(K-407)/18,200톤 | |||||
| 13 | 오하이오급(SSBN-742)/18,750톤 | ||||||
| 14 | 오하이오급(SSBN-743)/18,750톤 | ||||||
2.2. 국가별 SSGN 보유 현황
| SSGN: 국가별 보유 현황 | |||||||
| 척 | 미국 | 러시아 | 중국 | 영국 | 프랑스 | 인도 | |
| 1 | 오하이오급(SSBN-726)/18,750톤 | 야센급(K-560)/13,800톤 | |||||
| 2 | 오하이오급(SSBN-727)/18,750톤 | 야센급(K-561)/13,800톤 | |||||
| 3 | 오하이오급(SSBN-728)/18,750톤 | 야센급(K-573)/13,800톤 | |||||
| 4 | 오하이오급(SSBN-729)/18,750톤 | 야센급(K-571)/13,800톤 | |||||
| 5 | 오스카급(K-132)/19,400톤 | ||||||
| 6 | 오스카급(K-442)/19,400톤 | ||||||
| 7 | 오스카급(K-410)/19,400톤 | ||||||
| 8 | 오스카급(K-266)/19,400톤 | ||||||
| 9 | 오스카급(K-186)/19,400톤 | ||||||
| 10 | 오스카급(K-150)/19,400톤 | ||||||
2.3. 국가별 SSN 보유 현황
| SSN: 국가별 보유 현황 | |||||||
| 척 | 미국 | 러시아 | 중국 | 영국 | 프랑스 | 인도 | |
| 1 | 버지니아급(SSN-774)/7,900톤 | 아쿨라 I급(K-331)/12,770톤 | 상급 093(?)/7,000톤 | 아스튜트급(S119)/7,800톤 | 쉬프랑급(S635)/5,300톤[5] | ||
| 2 | 버지니아급(SSN-775)/7,900톤 | 아쿨라 I급-개량형(K-419)/12,770톤 | 상급 093(?)/7,000톤 | 아스튜트급(S120)/7,800톤 | 쉬프랑급(S636)/5,300톤 | ||
| 3 | 버지니아급(SSN-776)/7,900톤 | 아쿨라 I급-개량형(K-461)/12,770톤 | 상급 093A(?)/7,000톤 | 아스튜트급(S121)/7,800톤 | 루비급(S604)/2,660톤 | ||
| 4 | 버지니아급(SSN-777)/7,900톤 | 아쿨라 I급-개량형(K-328)/12,770톤 | 상급 093A(?)/7,000톤 | 아스튜트급(S122)/7,800톤 | 루비급(S605)/2,660톤 | ||
| 5 | 버지니아급(SSN-778)/7,900톤 | 아쿨라 I급-개량형(K-154)/12,770톤 | 상급 093A(?)/7,000톤 | 아스튜트급(S123)/7,800톤 | 루비급(S606)/2,660톤 | ||
| 6 | 버지니아급(SSN-779)/7,900톤 | 아쿨라 II급(K-295)/13,400톤 | 상급 093A(?)/7,000톤 | 트라팔가급(S93)/5,300톤 | |||
| 7 | 버지니아급(SSN-780)/7,900톤 | 아쿨라 II급(K-157)/13,400톤 | |||||
| 8 | 버지니아급(SSN-781)/7,900톤 | 아쿨라 III급(K-335)/13,800톤 | |||||
| 9 | 버지니아급(SSN-782)/7,900톤 | 시에라 II급(K-336)/9,100톤 | |||||
| 10 | 버지니아급(SSN-783)/7,900톤 | 시에라 II급(K-534)/9,100톤 | |||||
| 11 | 버지니아급(SSN-784)/7,900톤 | 빅터급 III(K-138)/7,250톤 | |||||
| 12 | 버지니아급(SSN-785)/7,900톤 | 빅터급 III(K-448)/7,250톤 | |||||
| 13 | 버지니아급(SSN-786)/7,900톤 | ||||||
| 14 | 버지니아급(SSN-787)/7,900톤 | ||||||
| 15 | 버지니아급(SSN-788)/7,900톤 | ||||||
| 16 | 버지니아급(SSN-789)/7,900톤 | ||||||
| 17 | 버지니아급(SSN-790)/7,900톤 | ||||||
| 18 | 버지니아급(SSN-791)/7,900톤 | ||||||
| 19 | 버지니아급(SSN-792)/7,900톤 | ||||||
| 20 | 버지니아급(SSN-793)/7,900톤 | ||||||
| 21 | 버지니아급(SSN-794)/7,900톤 | ||||||
| 22 | 버지니아급(SSN-795)/7,900톤 | ||||||
| 23 | 시울프급(SSN-21)/12,139톤 | ||||||
| 24 | 시울프급(SSN-22)/12,139톤 | ||||||
| 25 | 시울프급(SSN-23)/12,139톤 | ||||||
| 26 | 로스앤젤레스급(SSN-725)/6,927톤 | ||||||
| 27 | 로스앤젤레스급(SSN-750)/6,927톤 | ||||||
| 28 | 로스앤젤레스급(SSN-751)/6,927톤 | ||||||
| 29 | 로스앤젤레스급(SSN-752)/6,927톤 | ||||||
| 30 | 로스앤젤레스급(SSN-753)/6,927톤 | ||||||
| 31 | 로스앤젤레스급(SSN-754)/6,927톤 | ||||||
| 32 | 로스앤젤레스급(SSN-756)/6,927톤 | ||||||
| 33 | 로스앤젤레스급(SSN-757)/6,927톤 | ||||||
| 34 | 로스앤젤레스급(SSN-758)/6,927톤 | ||||||
| 35 | 로스앤젤레스급(SSN-759)/6,927톤 | ||||||
| 36 | 로스앤젤레스급(SSN-760)/6,927톤 | ||||||
| 37 | 로스앤젤레스급(SSN-761)/6,927톤 | ||||||
| 38 | 로스앤젤레스급(SSN-762)/6,927톤 | ||||||
| 39 | 로스앤젤레스급(SSN-763)/6,927톤 | ||||||
| 40 | 로스앤젤레스급(SSN-764)/6,927톤 | ||||||
| 41 | 로스앤젤레스급(SSN-765)/6,927톤 | ||||||
| 42 | 로스앤젤레스급(SSN-766)/6,927톤 | ||||||
| 43 | 로스앤젤레스급(SSN-767)/6,927톤 | ||||||
| 44 | 로스앤젤레스급(SSN-768)/6,927톤 | ||||||
| 45 | 로스앤젤레스급(SSN-769)/6,927톤 | ||||||
| 46 | 로스앤젤레스급(SSN-770)/6,927톤 | ||||||
| 47 | 로스앤젤레스급(SSN-771)/6,927톤 | ||||||
| 48 | 로스앤젤레스급(SSN-772)/6,927톤 | ||||||
| 49 | 로스앤젤레스급(SSN-773)/6,927톤 | ||||||
3. 재래식 잠수함 보유 수량
3.1. 1,000톤급 이상 보유 수량
4. 관련 문서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oyal_Navy_ships*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Indian_Navy_ships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French_Navy_ships
5. 관련 항목
[1] SSGN 포함[2] 북한 신형 원자력 잠수함 참조[3] 북한의 1,000톤급 이상 잠수함은 대부분 퇴역했다는 소문이 있다.[4] 영국 해군은 포클랜드 전쟁 이후 디젤 잠수함들을 모두 퇴역시켰다.[5] https://en.wikipedia.org/wiki/French_Barracuda-class_submar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