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8구 Wahlkreis 18: Hamburg-Mitte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42,078명 (2025) | |||||
상위 주 | 함부르크 | |||||
하위 행정구역 | 미테구 일부[1.1], 노르트구 일부[1.2] | |||||
연방의원 | | 팔코 드로스만 |
1. 개요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미테구 일부[1.1]와 노르트구 일부[1.2]를 담당한다.현재 이 지역구 의원은 사민당의 팔코 드로스만이다. 비례대표 정당득표율 1위 역시 사민당이 차지했다. 놀라운 것은, 1965년 선거구가 생긴 이후 지금까지 사민당이 단 한번도 지역구와 비례대표에서 1위를 뺏겨본 일이 없다는 것이다. 그만큼 함부르크 사민당의 아성이라고 불릴만한 곳이다.
그러나 세부 지역별로 뜯어보면 분석이 그리 간단치 않다. 일단 함부르크에서 좌파의 힘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소문난 장크트파울리가 이곳에 포함된다. 이곳만 따지면 2025년 제21대에 정당득표율에서 좌파당이 38.6%로 1위, 녹색당 27.5%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좌파의 아성 몇곳을 빼고 미테구 전체를 놓고 보면, 시내와 가까운 하펜시티 노이슈타트, 장크트 게오르크, 호엔펠데, 바름베크 쥐트, 바름베크 노르트에서는 녹색당이 1위를 차지했고, 외곽의 함, 호른, 빌슈테트, 핀켄베르더, 둘스베르크에서는 사민당이 승리했고, 기민련은 울렌호르스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렇게 결과를 합산하면 아슬아슬하게 사민당이 1위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사민당의 득표율은 선거 때마다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선거에서 균열이 생길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기민련은 약 15%의 득표로 별 힘을 못쓰고 있고, AfD는 약 10% 득표로 함부르크 평균 수준의 득표를 하고 있다.
2. 역대 의원
- 요하네스 카스(Johannes Kahrs) (사민당): 1998년 제14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연속 6선을 했다.
- 팔코 드로스만 (사민당): 2021년 제20대부터 현재까지 2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8구 | 19구 | 20구 | 21구 | 22구 |
팔코 드로스만 | 린다 하이트만 | 틸 슈테펜 | 크리스토프 플로스 | 아이단 외조우즈 | |
23구 | |||||
메틴 학베르디 | |||||
비례 1 | 비례 2 | ||||
베른트 바우만 | 알렉산더 볼프 | ||||
비례 2 | 비례 3 | ||||
프란치스카 호퍼만 | 크리스토프 데 프리스 | ||||
비례 1 | |||||
카타리나 벡 | |||||
비례 1 | 비례 2 | ||||
얀 판 아켄 | 잔수 외즈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함부르크 미테구 함부르크 미테구 일부[1.1], 노르트구 일부[1.2]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팔코 드로스만 | 51,536 | 27.4% | 1위 | 41,803 | 22.2% | 1위 |
| |||||||
| 에밀리아 페스터 | 40,344 | 21.5% | 2위 | 38,169 | 20.3% | 2위 |
| |||||||
| 크리스토프 데 프리스 | 31,829 | 17.0% | 3위 | 29,588 | 15.7% | 4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 당선 | ||||||
| 마리누스 슈테마이어 | 31,014 | 16.5% | 4위 | 35,750 | 19.0% | 3위 |
| |||||||
| 니콜레 요르단 | 19,898 | 10.6% | 5위 | 19,813 | 10.5% | 5위 |
| |||||||
| 막스 하웁트만 | 6,539 | 3.5% | 6위 | 7,745 | 4.1%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프리데리케 데롱 | 4,688 | 2.5% | 7위 | 3,022 | 1.6% | 8위 | |
''' Volt ''' | |||||||
니칸트 마카어 | 1,467 | 0.8% | 8위 | 666 | 0.4% | 11위 | |
| |||||||
요아킴 그리즈바움 | 436 | 0.2% | 9위 | 129 | 0.1% | 13위 | |
''' MLPD ''' | |||||||
- | - | - | - | 8,514 | 4.5% | 6위 | |
| |||||||
- | - | - | - | 1,826 | 1.0% | 9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1,065 | 0.6% | 10위 | |
| |||||||
- | - | - | - | 242 | 0.1% | 12위 | |
''' 독일 연합 ''' | |||||||
계 | 유효표 | 187,751 | 188,332 | ||||
무효표 | 1,683 | 1,102 | |||||
총 투표수 | 189,434 | 189,434 | |||||
투표율 | 77.7% | 77.7% | |||||
결과 | 유지 | 유지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8구 | 19구 | 20구 | 21구 | 22구 |
팔코 드로스만 | 린다 하이트만 | 틸 슈테펜 | 도로테 마르틴 | 아이단 외조우스 | |
23구 | |||||
메틴 학베르디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베른트 바우만 | 크리스토프 플로스 | 프란치스카 호퍼만 | 크리스토프 데 프리스 | 미하엘 크루제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리아 슈뢰더 | 카타리나 벡 | 에밀리아 페스터 | 자클린 나스티치 | 닐스 아넨 | }}} }}}}}} |
<rowcolor=#000> 함부르크 미테구 함부르크 미테구 일부[1.1], 노르트구 일부[1.2]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팔코 드로스만 | 59,229 | 33.2% | 1위 | 51,170 | 28.7% | 1위 |
| |||||||
| 마누엘 무야 | 46,326 | 26.0% | 2위 | 49,791 | 27.9% | 2위 |
| |||||||
| 크리스토프 데 프리스 | 23,231 | 13.0% | 3위 | 19,982 | 11.2%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 당선 | ||||||
| 다비트 스토프 | 16,195 | 9.1% | 4위 | 15,593 | 8.7% | 5위 |
| |||||||
| 제임스 블룸 | 14,424 | 8.1% | 5위 | 18,723 | 10.5% | 4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 니콜레 요르단 | 8,664 | 4.9% | 6위 | 9,100 | 5.1% | 6위 |
| |||||||
아르네 일렌펠트 | 4,251 | 2.4% | 7위 | 2,494 | 1.4% | 7위 | |
| |||||||
데니스 좀머 | 2,940 | 1.6% | 8위 | 2,396 | 1.3% | 9위 | |
''' dieBasis ''' | |||||||
랄프 라이머 | 1,340 | 0.8% | 9위 | 974 | 0.5% | 10위 | |
| |||||||
제바스티안 볼리엔 | 704 | 0.4% | 10위 | 370 | 0.2% | 15위 | |
''' ÖDP ''' | |||||||
오딘 야노스케-키질닥 | 564 | 0.3% | 11위 | - | - | - | |
| |||||||
요아킴 그리즈바움 | 194 | 0.1% | 12위 | 70 | 0.0% | 21위 | |
''' MLPD ''' | |||||||
레나르트 슈바르츠바흐 | 136 | 0.1% | 13위 | 130 | 0.0% | 17위 | |
''' NPD ''' | |||||||
- | - | - | - | 2,486 | 1.4%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2,019 | 1.1% | 11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1,137 | 0.6% | 12위 | |
''' Volt ''' | |||||||
- | - | - | - | 905 | 0.5% | 13위 | |
| |||||||
- | - | - | - | 398 | 0.2% | 14위 | |
''' du. ''' | |||||||
- | - | - | - | 303 | 0.2% | 16위 | |
''' V-Partei ''' | |||||||
- | - | - | - | 275 | 0.2% | 17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112 | 0.1% | 19위 | |
''' DKP ''' | |||||||
- | - | - | - | 77 | 0.0% | 20위 | |
''' Bündnis21 ''' | |||||||
- | - | - | - | 50 | 0.0% | 22위 | |
''' LKR ''' | |||||||
계 | 유효표 | 178,198 | 178,555 | ||||
무효표 | 1,439 | 1,082 | |||||
총 투표수 | 179,637 | 179,637 | |||||
투표율 | 74.2% | 74.2% | |||||
결과 | 유지 | 유지 |
[1.1] 전체에서 빌헬름스부르크 제외[1.2] 울렌호르스트, 호엔펠데, 바름베크 쥐트, 바름베크 노르트, 둘스베르크[1.1] [1.2] [1.1] [1.2]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