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AL 한복 입은 남자 | |
| |
<colbgcolor=#101326><colcolor=#ffffff> 제작 | EMK뮤지컬컴퍼니 |
원작 | 소설 《한복 입은 남자》 |
연출/극작 | 권은아 |
작·작사 | |
작곡/음악감독 | 이성준 |
안무감독 | 문성우 |
공연장 | 초연: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공연 기간 | 공연 예정 초연: 2025.12.02 ~ 2026.03.08 |
관람 시간 | 170분 (인터미션: 20분) |
1. 개요
장영실 미스터리를 소재로 한 이상훈 작가의 장편 소설 한복 입은 남자를 뮤지컬로 만든 작품.역사와 상상력이 결합한 서사 속에 조선과 이탈리아, 현대와 과거를 넘나드는 시공간적 구조를 바탕으로 1막은 조선, 2막은 유럽을 무대로 삼아 이야기가 펼쳐진다.
2. 시놉시스
루벤스의 '한복 입은 남자'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제작 중인 방송국 PD 진석은 자료 조사를 하던 중 이탈리아 유학생 엘레나에게 오래된 비망록 한 권을 건네받는다.놀랍게도 그 안에서 진석은 다빈치의 비행기 도면과 닮은, 조선 시대의 하늘을 나는 장치 '비차'의 설계 흔적과 루벤스의 '한복 입은 남자'와 거의 동일한 스케치를 발견한다.
진석은 옛 한글과 고서를 연구하는 친구 강배에게 비망록 번역을 의뢰하고, 강배는 곧 비망록의 주인이 조선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임을 밝혀낸다. 두 사람은 루벤스의 그림과 장영실, 그리고 비차와 다빈치의 비행기 설계도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 나서고,
그들이 진실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또렷해지는 영실의 삶에 반하여, 그들의 삶은 무거운 진실 앞에 흔들리기 시작한다.
비망록에 담긴 장영실의 꿈, 그리고 그의 삶에 가려진 진실은 과연 무엇일까.
3. 줄거리
3.1. 1막
3.2. 2막
4. 넘버
5. 등장인물
- 영실: 노비의 신분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아 종3품 벼슬까지 오른, 밝고 낙관적인 조선의 천재 과학자
- 강배: 세상에 환멸을 느끼고 은둔한 재야의 학자,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던 중 진석을 도와 비망록의 진실을 파헤친다.
- 세종: 신분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발굴하며,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고 과학 기술 발전에 힘쓴 조선의 성군
- 진석:'한복 입은 남자'그림의 비밀을 파헤치던 중, 엘레나가 건넨 장영실의 비망록을 통해 숨겨진 역사의 진실을 밝혀내려는 집념의 방송국 PD
- 정화대장: 명나라 황제의 눈에 들어, 콜럼버스보다 먼저 세계 일주를 실현했던, 용기 있고 야성적이지만 정이 많은 대항해가
- 마 교수: 진석과 비망록의 등장으로 자신도 모르는 새 진실을 밝히는 데 동참하는 사학과 교수
- 이암: 세종을 압박하고 명나라에 아부하며, 아들과 정의공주를 혼인시키려는 특권의식으로 가득한 병조판서, 천한 노비 출신인 장영실을 눈엣가시처럼 여긴다.
- 교황: 장영실의 과학 지식이 자신의 권위를 위협하자 그를 사탄으로 몰아가는 인물, 신앙을 앞세워 자신의 이익을 정당화한다.
- 정의공주: 훈민정음 창제를 도운 세종의 둘째 딸. 명나라의 위협 속에서 세종의 뜻에 따라 남장을 하고 지내다, 장영실을 만나 마음을 품게 된다.
- 엘레나: 자신의 뿌리를 찾아 한국에 온 이탈리아인, 가문대대로 전해진 비망록의 진실을 파헤치려 한다.
- 만복: 영실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내놓을 수 있는 죽마고우이자 친형 같은 존재
- 토스카넬리: 이탈리아 피렌체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영실을 만나 뜻을 함께하며 그를 돕는다.
- 미령: 향원의 기생으로 살아가며 묵묵히 장영실을 돌봐주는 마음 여리고 순수한 여인
- 파올라: 유럽에서 장영실을 헌신적으로 보살피는 쾌활하고 강인한 여인
6. 캐스팅
6.1. 2025년 초연
- 장소: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공연 기간: 2025.12.02 ~ 2026.03.08
- 캐스팅
7. 평가
8. 기타
- 모든 주조연 배역이 1인 2역을 연기한다는 점에서 뮤지컬 프랑켄슈타인과 유사하다. 특히, 주연 배우 중 6명은 프랑켄슈타인 10주년 공연에 모두 함께 참여하연 적이 있으며, 작곡가도 동일하여 한복 입은 프랑켄슈타인이라는 별명이 생겼다.[1]
9. 둘러보기
이성준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4 | 프랑켄슈타인 | |
2017 | 벤허 | |
2019 | 영웅본색 | |
2021 | 메리셸리 | |
2022 | 아몬드 | |
종의 기원 | ||
2023 | 비밀의 화원 | |
2024 | 베르사유의 장미 | |
2025 | 한복 입은 남자 |
[1] 박은태, 전동석, 고은성, 카이, 신성록, 최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