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조선어학회 - 한글학회 1948년 문교부 - 1959년 문교부 - 1984년 문교부 - 1956년 북한 - 한불자전 · MR · 예일 · 1997년 국어원 시안 · ISO/TR 11941 김복문 · 한세 · 유만근 · 양병선 · 21세기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
아르메니아어 | ||
조지아어 | ||
그리스어 | ||
히브리어 | ||
힌디어 | IAST -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 |
벨라루스어 | BGN/PCGN - | |
불가리아어 | ||
러시아어 | BGN/PCGN -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 }}}}}}}}} |
1. 개요
한글학회에서 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총 두 개로, 1940년에 조선어학회 때 낸 〈외래어표기법 통일안〉 부록 2 '조선어음 나마자 표기법'과 1984년에 낸 〈우리말 로마자 적기〉가 있다.2. 조선어음 나마자 표기법(1940)
2.1. 총칙
조선어음을 나마자로 표기함에는 아래의 조선어음 나마자 대조표에 의하여 적음을 원칙으로 한다.2.1.1. 조선어음 나마자 대조표
2.1.1.1. 닿소리(자음)
<colbgcolor=#00a495><colcolor=#fff><rowcolor=#fff> | 받침인 때 | |||
<rowcolor=#fff> | 첫소리인 때 | 끝소리 | 닿소리 종속음 앞 | 홀소리 종속음 앞 |
ㄱ | g | g | g | g |
가게[廛] gage | 박[匏] bag | 박만 bagman | 박이 bagi | |
ㄲ | gg | g | g | gg |
꿈[夢] ggum | 밖[外] bag | 밖도 bagdo | 밖에 bagge | |
ㅋ | k | g | g | k |
칼[刀] kal | 부엌[厨] buŏg | 부억도 buŏgdo | 부엌에 buŏke | |
ㅂ | g | g | g | g |
발[足] bal | 입[口] ib | 입과 ibgwa | 입을 ibŭl | |
ㅃ | bb | - | - | - |
뿔[角] bbul | ||||
ㅍ | p | b | b | p |
팔[腕] pal | 앞[前] ab | 앞과 abgwa | 앞으로 apŭro | |
ㄷ | d | d | d | d |
다리[脚] dari | 곧[即] god | 곧다 godda | 곧아 goda | |
ㄸ | dd | - | - | - |
땀[汗] ddam | ||||
ㅌ | t | d | d | t |
티[塵] ti | 밭[田] bad | 밭만 badman | 밭에 bate | |
ㅈ | z | d | d | z |
자[尺] za | 낮[晝] nad | 낮과 nadgwa | 낮에 naze | |
ㅉ | zz | - | - | - |
쪽[藍] zzog | ||||
ㅊ | cz | d | d | cz |
차[茶] cza | 꽃[花] ggod | 꽃도 ggoddo | 꽃이 ggoczi | |
ㅅ | s | d | d | s |
소[牛] so | 옷[衣] od | 옷과 odgwa | 옷이 osi | |
ㅆ | ss | d | d | ss |
쌀[米] ssal | 있[有] id | 있고 idgo | 있어 issŏ | |
ㄴ | n | n | n | n |
나무[木] namu | 손 son | 손만 sonman | 손을 sonŭl | |
ㅁ | m | m | m | m |
말[馬] mal | 밤[夜] bam | 밤도 bamdo | 밤에 bame | |
ㄹ | r | l(세칙 제6) | l | r |
오리[鴨] ori | 달[月] dal | 달도 daldo | 달이 dari | |
ㅎ | h | 세칙 제4 | 세칙 제4 | 세칙 제4 |
호미[鋤] homi | ||||
ㅇ | 세칙 제3 | ng | ng | ng |
콩[豆] kong | 콩도 kongdo | 콩이 kongi | ||
ㄳ | - | g | g | gs |
넋[魂] nŏg | 넋도 nŏgdo | 넋이 nŏgsi | ||
ㅄ | - | b | b | bs |
값[價] gab | 값만 gabman | 값을 gabsŭl | ||
ㄵ | - | n | n | nz |
앉[坐] an | 앉고 an-ggo | 앉아 anza | ||
ㄶ | - | n | 세칙 제4 | nh |
끊[絶] ggŭn | 끊어 ggŭnhŏ | |||
ㄺ | - | g | g | lg |
흙[土] hŭg | 흙도 hŭgdo | 흙이 hŭlgi | ||
ㄻ | - | m | m | lm |
삶[烹] sam | 삶고 samggo | 삶아 salma | ||
ㄼ | - | l | l(세칙 제4) | lb |
여덟[八] yŏdŏl | 여덟만 yŏdŏlman | 여덟에 yŏdŏlbe | ||
ㄽ | - | l | l | lss |
돐[1][朞] dol | 돌도 dolddo | 돐에 dolsse | ||
ㄾ | - | l | l | lt |
핥[䑛] hal | 핥고 halggo | 핥아 halta[2] | ||
ㄿ | - | b | b | lp |
읊[詠] ŭb | 읊다 ŭbda | 읊어 ŭlpŏ | ||
ㅀ | - | l | 세칙 제4 | lh |
끓[沸] ggŭl[3] | 끓어 ggŭlhŏ[4] |
2.1.1.2. 홀소리(모음)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ㅏ | a | 아산(牙山) Asan | 신라(新羅) Sinla |
ㅓ | ŏ | 언양(彦陽) Ŏnyang | 새터[新基] Sĕtŏ |
ㅗ | o | 오산(烏山) Osan | 목포(木浦) Mogpo |
ㅜ | u | 우수영(右水營) Usuyŏng | 무주(茂朱) Muzu |
ㅡ | ŭ | 은진(恩津) Ŭnzin | 장흥(長興) Zanghŭng |
ㅣ | i | 인천(仁川) Inczŏn | 장기(長耆) Zang-gi |
yi(구개) | 승니(僧尼) sŭngnyi | 왕십리(徃十里) Wangsibnyi | |
ㅐ | ĕ | 애인(愛人) ĕin | 동래(東萊) Dongnĕ |
ㅔ | e | 에구(감탄어) egu | 휴게(休憩) hyuge |
ㅚ | oe | 외금강(外金剛) Oegŭmgang | 괴산(槐山) Goesan |
ㅟ | wi | 위원(渭原) Wiwŏn | 소귀[牛耳洞] Sogwi |
ㅢ | ŭi | 의주(義州) Ŭizu | 희천(熙川) Hŭiczŏn |
ㅘ | wa | 완주(完州) Wanzu | 옥과(玉果) Oggwa |
ㅝ | wŏ | 원산(元山) Wŏnsan | 영월(寧越) Yŏng-wŏl |
ㅙ | wĕ | 왜관(倭舘) Wĕgwan | 유쾌(愉快) yukwĕ |
ㅞ | we | 웬[何] wen | 금궤(金櫃) gŭmgwe |
ㅑ | ya | 양주(楊州) Yangzu | 춘향(春香) Czunhyang |
ㅕ | yŏ | 연백(延白) Yŏnbĕg | 강경(江景) Gang-gyŏng |
ㅛ | yo | 용산(龍山) Yongsan | 벌교(筏橋) Bŏlgyo |
ㅠ | u | 유성(儒城) Yusŏng | 법률(法律) bŏbnyul[5] |
ㅒ | yĕ | 얘야(呼兒語[6]) yĕya | 애걔(감탄어) ĕgyĕ |
ㅖ | ye | 예산(禮山) Yesan | 신계(新溪) Sin-gye |
2.2. 세칙
2.2.1. 제1항
장음의 표시는 따로 하지 아니한다. 다만 특별한 필요가 부득이 있는 때에는 그 음절의 끝 모음을 거듭 쓴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밤[栗] | baam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별[星] | byŏŏl | <colbgcolor=#00a495><colcolor=#fff>곰[熊] | goom |
굴(窟) | guul | 들[野] | dŭŭl | 일[事] | iil |
2.2.2. 제2항
다음의 경우는 두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둔다.1. 위 음절 끝 o(ㅗ)와 아래 음절 첫 e(ㅔ)의 사이. (oe와 구별하기 위함)
<colbgcolor=#00a495><colcolor=#fff>코에 | ko-e ("쾨"의 koe와 구별함) |
2. 위 음절 끝 u(ㅡ)와 아래 음절 첫 i(ㅣ)의 사이. (ui와 구별하기 위함)
<colbgcolor=#00a495><colcolor=#fff>그이 | gŭ-i ("긔"의 gŭi와 구별함) |
3. 위 음절 끝 ng(ㅇ)와 아래 음절 첫 g(ㄱ)의 사이, 또는 위 음절 끝 n(ㄴ)과 아래 음절 첫 g(ㄱ)의 사이. (서로 구별하기 위함)
<colbgcolor=#00a495><colcolor=#fff>평양 | Pyŏng-yang (Pyŏn-gyang이 아님) |
한강 | Han-gang (Hang-ang이 아님) |
4. 위 음절 끝 ng(ㅇ)와 아래 음절 첫 g(ㄱ)의 사이, 또는 위 음절 끝 n(ㄴ)과 아래 음절 첫 gg(ㄲ)의 사이. (서로 구별하기 위함)
<colbgcolor=#00a495><colcolor=#fff>강경 | Gang-gyŏng (Gan-ggyŏng이 아님) |
산끝 | san-ggŭd (sang-gŭd이 아님) |
2.2.3. 제3항
닿소리 ㅇ은 받침에서만 ng으로 적고, 첫소리에서는 표기하지 아니한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앙 | an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왱 | wĕng |
2.2.4. 제4항
위 음절의 받침 소리와 아래 음절의 첫소리가 만날 때 변음되는 경우는 위 음절의 받침은 대조표대로 적고, 아래 음절의 첫소리는 발음에 따라 적음을 원칙으로 한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극락(極樂) | gŭgna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신라(新羅) | Sinla |
동래(東萊) | Dongnĕ | 삼례(參禮) | Samnye |
물ㅅ약[水藥] | mullyag | 겹ㅅ이불[袷衾] | gyŏbnyibul |
검고[黑] | gŏmggo | 신다[履] | sindda |
[부기 1] ㅎ 받침은 그 다음에 오는 ㄱ, ㄷ, ㅂ, ㅈ과 합하여 각각 k, t, p, cz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그 아래에 오는 자음 글짜로 바꾸어 적되, 발음상 필요 없는 때에는 아주 빼어 버린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좋고 | zoko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좋다 | zota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좋지 | zoczi |
끊고 | ggŭnko | 끊다 | ggŭnta | 끊지 | ggŭnczi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놓네 | nonn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놓세 | noss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끊세 | ggŭnss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끊네 | ggŭnn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뚫네 | dduln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놓치다 | noczida |
[부기 2] ㄷ, ㅌ 받침 아래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따른 것은 zi나 czi로 적는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굳이 | guzi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여닫이 | yŏdazi |
밭이 | baczi | 핥이다 | halczida |
굳히다 | guczida | 묻히다 | muczida |
[부기 3] ㄼ 받침 가운데, 닿소리 앞의 "밟"[踏]과, "넓적, 넓죽"에서의 "ㄼ"만은 b(ㅂ)으로 적는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밟고 | babgo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밟다 | babda |
밟지 | babzi | 밟다듬이 | babdadŭmi |
넓적하다 | nŏbzŏghada | 넓죽하다 | nŏbzughada |
2.2.5. 제5항
복합 명사의 "사이 ㅅ"은 닿소리 앞에 있는 것은 그 닿소리와 같은 글짜로; "야, 여, 요, 유, 이"의 앞에 있는 것은 ㄴ으로 적는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문ㅅ간 | mun-gga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코ㅅ날 | konnal |
발ㅅ등 | balddŭng | 초ㅅ불 | czobbul |
밤ㅅ잠 | bamzzam | 이ㅅ솔 | issol |
<colbgcolor=#00a495><colcolor=#fff>갓ㅅ양 | gadnyan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담ㅅ요 | damnyo |
콩ㅅ엿 | kongnyŏd | 편ㅅ윷 | pyŏnnyud |
흙ㅅ일 | hŭgnyil |
단 "야, 여, 요, 유, 이"의 앞에 있을 때, 위 음절 끝이 홀소리인 경우는 발을 따라 nn으로 적고, ㄹ 받침인 경우는 l로 적는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동네ㅅ양반 | dongnennyangba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채ㅅ열 | czĕnnyŏl |
뒤ㅅ요량 | dwinnyorayng | 뒤ㅅ윷 | dwinnyud |
대ㅅ잎 | dĕnnib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물ㅅ약 | mullya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불ㅅ여우 | bullyŏu |
길ㅅ요강 | gillyogang | 놀ㅅ윷 | nollyud |
들ㅅ일 | dŭllyil |
2.2.6. 제6항
끝소리 ㄹ의 말과 첫소리 "아어오우으"의 말이 복합될 때는 그 ㄹ을 r로 적는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울안 | ura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살얼음 | sarŏrŭm |
물오리 | murori | 술웃국 | surudgug |
들음식 | dŭrŭmsig |
2.2.7. 제7항
특별한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적당히 처리할 수 있으되, 항상 본안의 주지를 중심으로 함을 요한다.2.3. 비고
본안은 주로 고유명사의 표기를 목적으로 하되, 일반 어음의 경우도 고려한 것임.3. 우리말 로마자 적기(1984)
3.1. 기본 원칙
1. 우리말의 로마자 적기는 우리말의 표준 발음을 따른다.2. 한 음소는 같은 기호로 적는다.
3. 한 형태소는 한글맞춤법에 따라[7] 그 원형을 밝힌다. 다만, 홀이름씨[8]는 예외로 한다.
4. 로마자 밖의 구별 부호[9]는 쓰지 않는다.
3.2. 우리말 음소의 로마자 적기
3.2.1. 홀소리[10]
홑홀소리[11][A]<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ㅣ/ | i | ||
/ㅔ/ | e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ㅚ/ | oe |
/ㅐ/ | ae | ||
/ㅡ/ | eu | /ㅜ/ | u |
/ㅓ/ | eo | /ㅗ/ | o |
/ㅏ/ | a |
겹홀소리[13][A]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ㅑ/ | ya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ㅘ/ | wa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ㅢ/ | eui |
/ㅕ/ | yeo | /ㅙ/ | wae | ||
/ㅛ/ | yo | /ㅝ/ | weo | ||
/ㅠ/ | yu | /ㅞ/ | we | ||
/ㅒ/ | yae | /ㅟ/ | wi | ||
/ㅖ/ | ye |
3.2.2. 닿소리[15]
터짐소리[16]<colbgcolor=#00a495><colcolor=#fff> /ㄱ/ | 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ㄲ/ | g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ㅋ/ | k |
/ㄷ/ | d | /ㄸ/ | dd | /ㅌ/ | t |
/ㅂ/ | b | /ㅃ/ | bb | /ㅍ/ | p |
붙갈이소리[17]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ㅈ/ | j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ㅉ/ | jj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ㅊ/ | ch |
갈이소리[18]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ㅅ/ | s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ㅆ/ | ss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ㅎ/ | h |
콧소리[19]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ㄴ/ | 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ㅁ/ | m |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ㅇ/ | ng |
흐름소리[20]
<colbgcolor=#00a495><colcolor=#fff> /ㄹ/ | l |
3.3. 형태소의 원형 밝혀 적기
3.3.1. 소리가 바뀌지 않는 경우(음운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B]
<colbgcolor=#00a495><colcolor=#fff>목돈 | mogdo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먹다 | meogda |
맏아들 | madadeul | 잡고 | jabgo |
받아라 | badala |
3.3.2. 소리가 바뀌는 경우(→3.6.2)
<colbgcolor=#00a495><colcolor=#fff>곁방 | gyeotbang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맏며느리 | madmyeoneuli |
낯빛 | nachbich | 칼날 | kalnal |
깎낫 | ggaggnas | 홑몸 | hotmom |
밝히다 | balghida | 옆막이 | yeopmagi |
좋다 | johda |
3.4. 홀이름씨 적기
홀이름씨는 원칙적으로 분석하지 않는다.[22][B]<colbgcolor=#00a495><colcolor=#fff>남산 | Namsa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독립문 | Dongnimmun |
독도 | Dogdo | 안압지 | Anabji |
불국사 | Bulgugsa | 속리산 | Songnisan |
을지로 | Euljjilo | 종로 | Jongno |
다만, 다음과 같은 말은 띄어 적는다.
(1) 성과 이름은 띄어쓴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김 철수 | Gim Cheolsu |
강 복동 | Gang Bogdong |
(2) 긴 말은 알맞게(필요에 따라) 띄어쓴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대한 항공 공사 | Daehan Hang-gong Gongsa |
3.5. 붙임표(-)
1. 한 음소를 두 글자로 적었을 경우에, 두 가지로 읽힐 우려가 있을 때는 붙임표를 써서 구별한다.<colbgcolor=#00a495><colcolor=#fff>국그릇 | gug-geuleus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낙동강 | Nagdong-gang |
밥벌이 | bab-beoli | 해운대 | Hae-undae |
체온 | che-on(비교: 천 cheon) | ||
그이 | geu-i(비교: 의사 euisa) | ||
사은 | sa-eun(비교: (밤)새운 sae-un) |
2. 행정구역 단위를 나타내는 뒷가지[24]는 그 앞에 '-'를 두고, 그 원형을 밝힌다.
<colbgcolor=#00a495><colcolor=#fff>경기도 | Gyeong-gi-do | <colbgcolor=#00a495><colcolor=#fff>팔당리 | Palddang-li |
성북구 | Seongbug-gu | 종로 5가 | Jongno 5-ga |
그 밖에 | -gun, -si, -dong 따위 |
3. 두 형태소 사이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바뀔 때[25](→3.6.2.(6))
<colbgcolor=#00a495><colcolor=#fff>굳이 | gud-i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밭이 | bat-i |
4. 사잇소리현상이 일어날 때(→3.6.2.(7))[26]
<colbgcolor=#00a495><colcolor=#fff>냇가 | nae-ga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등불 | deung-bul |
집일 | jib-il | 콧노래 | ko-nolae |
물약 | mul-yag |
5. 음절 경계를 두어야 할 자리(→3.6.2.(8))[27]
<colbgcolor=#00a495><colcolor=#fff>옷안 | os-an | <colbgcolor=#00a495><colcolor=#fff>부엌안 | bueok-an |
3.6. 로마자 읽기
[28]3.6.1. 국어의 음소들이 여러 변이음을 가질 경우에는, 그것을 적는 로마자도 같은 변이음을 가진다.
([ ] 안은 음성을 국제음성기호로 표기한 것)(1) /ㄱ, ㄷ, ㅂ, ㅈ/(→안울림과 울림으로)
<colbgcolor=#00a495><colcolor=#fff>바가지 | bagaji [bɑgɑʤi] |
감기 | gamgi [gɑ:mɡi] |
바보 | babo [bɑ:bo] |
다듬이 | dadeumi [dɑdïmi] |
진지 | jinji [dʒi:ndʒi] |
(2) /ㄹ/(→[l, r])
<colbgcolor=#00a495><colcolor=#fff>흐리다 | heulida [hïrida] |
흘러 | heulleo [hïllə] |
(3) /ㅅ/(→[s, ʃ])
<colbgcolor=#00a495><colcolor=#fff>사실 | sasil [sɑ:ʃil] |
쉽다 | swibda [ʃɥi:bdɑ] |
3.6.2. 소리 변동의 규칙(음운 규칙)은 로마자 적기에도 적용된다.
(1) 겹받침 줄이기[29]<colbgcolor=#00a495><colcolor=#fff>값과 | gabsgwa → gabgwa |
(2) ㅎ(h)과 ㄱ, ㄷ, ㅂ, ㅈ(g, d, b, j)이 어울리면 거센소리로 바뀐다.[30]
<colbgcolor=#00a495><colcolor=#fff>좋다 | johda → jota |
밝히다 | balghida → balkida |
(3) 일곱끝소리되기[31]
<colbgcolor=#00a495><colcolor=#fff>꽃동산 | ggochdongsan → ggoddongsan |
(4) /ㄴ/의 /ㄹ/ 닮기[32]
<colbgcolor=#00a495><colcolor=#fff>칼날 | kalnal → kallal |
(5) 콧소리되기[33]
<colbgcolor=#00a495><colcolor=#fff>먹는다 | meogneunda → meongneunda |
받네 | badne → banne |
젖니 | jeojni → jeonni |
(6) 입천장소리되기[34]
<colbgcolor=#00a495><colcolor=#fff>굳이 | gud-i → guji |
밭이 | bat-i → bachi |
(7) 사잇소리
<colbgcolor=#00a495><colcolor=#fff>냇가 | nae-ga → naegga |
등불 | deung-bul → deungbbul |
콧노래 | ko-nolae → konnolae |
집일 | jib-il → jimnil |
물약 | mul-yag → mullyag |
(8) 음절 경계
<colbgcolor=#00a495><colcolor=#fff>옷안 | os-an → odan |
부엌안 | bueok-an → bueogan |
[1] 1988년 '표준어 규정'을 세우면서 '돌'이 '돐'의 뜻을 흡수해 단수 표준어가 되었다. 이에 현재는 '곬'이나 '옰' 같은 말에 적용되는 예로 생각해야 한다.[2] 원문에는 'holta'로 적혀 있지만, 오기로 추정된다.[3] 원문에는 'ggul'로 적혀 있지만, 오기로 추정된다.[4] 현행 표준 발음과 달리 'ㅎ'이 살아 있어, 이에 주의해야 한다.[5] 원문에는 'bŭbnyul'로 적혀 있지만, 오기로 추정된다.[6] 아이를 부르는 말[7] 한글맞춤법에서 어법에 맞도록 적지 않고 소리대로 적을 때 — 규칙을 도출하기 어려운 경우 — 한글맞춤법과 같이 소리대로 적는다는 뜻이다.[8] 고유명사[9] 여기서는 붙임표를 제외한 다른 부호, 즉 아포스트로피나 다이어크리틱을 가리킨다.[10] 모음[11] 단모음[A] 현행 표준 발음법에서 단모음으로 규정한 'ㅟ'를 외솔 최현배의 《우리말본》에 따라 이중모음으로 처리했다.[13] 이중모음[A] [15] 자음[16] 파열음[17] 파찰음[18] 마찰음[19] 비음[20] 유음[B] 파열음에 따른 된소리되기는 해당하지 않는다.[22] 전자법인 이 표기법에서 고유명사에 한해 전사법을 쓴다.[B] [24] 접미사[25] 입천장소리되기(구개음화)[26] 사이시옷을 's'로 적지 않는다.[27] 연음시키지 않는 때[28] 전자법으로 적어; 로마자를 바탕으로 우리말 발음 규칙을 적용해 읽는 방법을 제시했다.[29] 자음군단순화[30] 거센소리되기(격음화)[31] 음절의 끝소리규칙[32] 유음화[33] 비음화[34] 구개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