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22:57:51

한국프로야구/1995년 포스트시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BO 리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KBO 포스트시즌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1995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1995 KBO 플레이오프 1995 KBO 한국시리즈

1. 개요2. 플레이오프3. 한국시리즈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1995년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10월 3일부터 10월 22일까지 열렸으며 1위 OB 베어스, 2위 LG 트윈스, 3위 롯데 자이언츠가 참여하였다. 두엘롯만의 시즌.

참고로 당시 규정상 4위인 해태 타이거즈는 3위와 3.5게임차 이상 차이가 나서 포스트시즌에 참여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준플레이오프를 생략하고 롯데가 부전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 준플레이오프 #==
1995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파일:해태 타이거즈 심볼(1982~1995).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1993~1995).svg
해태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O 준플레이오프/199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준플레이오프/199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준플레이오프/199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플레이오프

1995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1993~1995).svg 파일:LG 트윈스 심볼(1990~2005).svg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O 플레이오프/199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플레이오프/199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플레이오프/199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한국시리즈

199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1993~1995).svg 파일:OB 베어스 화이트 심볼.svg
롯데 자이언츠 OB 베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95년 한국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5년 한국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5년 한국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플레이오프 6경기와 한국시리즈 7경기 등 총 13경기만 열렸는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으로 쓰는 사직 야구장을 홈으로 쓰는 롯데 자이언츠가 출전한 시리즈였기 때문에 서울과 부산 딱 두 곳에서만 경기가 열렸다. 다만 당시에는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에 중립 구장 경기 규정이 적용된 탓에 롯데가 부산에서 치른 홈경기는 고작 4경기에 불과했다. 만약 중립구장 경기 규정 없이 시리즈가 열렸다면 부산에서 6경기가 열렸을 것이다.
  • 당시로서는 관중 수용 규모가 가장 컸던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사직 야구장에서 모든 경기가 열렸고 당대 최고 인기 구단 간의 대결이었기에 대부분의 경기가 매진 사례를 이뤘다. 불과 13경기의 포스트시즌 경기였지만 무려 37만 9978명의 구름 관중이 몰렸다. 그래서 2009년 이전까지는 이 기록이 역대 포스트시즌 최다 관중 동원 기록으로 남았다.
  • LG 트윈스롯데 자이언츠가 역대 KBO 포스트시즌에서 맞붙었던 유일한 엘 꼴라시코 사례다.
  • 수도권 지역 무선호출기 사업자였던 나래이동통신(015 나래텔)이 후원한 포스트시즌이었다.
  • 야구에 만약이라는 것은 없지만 이 해 포스트시즌에 흥행 관련 진기록 2개가 나올 뻔 했다. 물론 현실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 프로야구 최고의 인기 구단이었던 LG-롯데-해태가 사상 최초로 포스트시즌에 동반 진출할 뻔했다. 그러나 3위 롯데와 4위 해태의 승차가 3.5경기 이상으로 벌어지면서 해태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 잠실 라이벌 관계인 OB 베어스LG 트윈스가 나란히 정규시즌 1·2위를 하면서 사상 첫 더그아웃 시리즈 형태의 한국시리즈 개최 가능성이 점쳐졌다. 그러나 2위 LG가 진격의 3위 롯데에 2승 4패로 패퇴하는 바람에 최초의 Only 잠실 한국시리즈는 다음으로 미루게 됐다.[1]

5. 관련 문서


[1] 다만 같은 도시를 연고로 하는 팀끼리의 한국시리즈는 훗날 성사가 됐다. 서울을 연고로 하는 두산 베어스키움 히어로즈가 맞붙었던 2019년 한국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