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 {{{#002D56,#8d704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8d704f | |||
역사(임원) | 학부 | 재단 | |
대학원 | 상징 | ||
학풍(사회 진출) | 학사제도 | ||
출신 인물 | |||
입학 | 이야깃거리 | 사건 사고 | |
교통 | 행사(역동전) | HIMUN | |
외대어학원 | FLEX | ||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
미네르바대학 | |||||||||
LD(Language&Diplomacy)학부 | LT(Language&Trade)학부 | KFL학부 | AI융합대학(서울) | 자유전공학부(서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타 | 폐지된 단과대학 | |||||||
융합전공 | 법과대학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2D56> |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韓國外國語大學校 LD學部 HUFS Division of Language & Diplomacy | }}} | ||
| |||||
출범 | 2014년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개설 | ||||
위치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관 105-1 | ||||
학장 | 김현우 | ||||
FM | 세계LD | ||||
링크 | LD학부 홈페이지 LD학부 학생회 |
1. 개요
일명 '외교사관학교'로 출범하였다.
2. 역사
2014년 원래 있던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하고 그 TO를 끌어와서 만들어졌다. 자유전공학부가 폐과 과정에서 겪은 수난사와 LD학부가 창설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외대교지 기사 참조. 이 때문에 초기에는 사회과학대학, 특히 자유전공학부와의 갈등이 다소 있었다. LD학부의 신입생들은 LD학부에 대해 완전히 신설 학과로 인식하고 들어온 반면, 폐과된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은 자기 과의 TO로 개설된 LD학부에 대해 자신들의 후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또 LD학부 신설로 자유전공학부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자유전공학부 선배들이 LD학부 신입생들을 미워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거리감을 가진 신입생들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생각보다 양 학생회 간 반목이 커지지 않았고, 결국은 LD학부 쪽에서 자유전공학부 측을 정식 선배로 계승하는 것까지는 아니어도 정신적 선배 격으로 인정하고, 자유전공학부에서도 LD학부에 여러 가지 도움을 주는 등 서로 양보하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마무리되었다.[1]영어대학 EICC학과와도 마찰이 조금 있었는데, 이는 LD학부 홍보 시 LD학부 졸업생에게 자교 통번역대학원 1차 시험을 면제해 주는 등 혜택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EICC학과(구 영어통번역학과)는 매년 통번역대학원에 가장 많은 학생들을 보내는 학과였던 만큼, 이에 대해서 반발이 컸으나 다른 학과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해 결국 학교의 정책에 승복했다. 하지만 2025년 현재는 LD, LT 학부 졸업생에게 주어지던 자교 통번역대학원 1차 면제 혜택이 사라진 상태라 한 때 있었던 해프닝 정도가 되었다.
3. 세부 전공
3.1. LD전공
3.2. 사회과학전공
4. 입학생 특전
LT학부와 더불어 신입생은 최초합 시 대학원 입학 특전[2] 등의 특전이 있다.5. 교육 및 커리큘럼 특징
외교관, 국제기구 진출 등 국제 관계 전문가 양성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과이며, "외교사관학교'를 지향하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Honor School, 소르본 대학교의 Grandes Ecoles처럼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고급 전문 지식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학부 커리큘럼은 4개로 나뉘어 있는데
트랙 1은 외교부, 국가정보원, 국제 기구 관련 시험 등 국제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며,
트랙 2는 LT학부를 이중전공함으로써 다국적 기업이나 국제기구 진출을 목표로 하고,
트랙 3은 통번역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과정이 있으며,
트랙 4는 로스쿨 과정을 염두에 둔 학생들을 위한 커리큘럼이 있다.
공공외교 역량강화 사업 선정 학과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의 후원을 받아 지속적으로 전문가 초빙 특강 및 세미나 등 높은 수준의 교육 혜택을 받고 있다.
6.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졸업을 위해서는 졸업자격, 졸업시험, 전공필수를 모두 충족해야 한다. 졸업자격의 경우 국립외교원 1차 시험 응시 또는 5급 공채 시험 혹은 그와 동등한 수준의 국가고시를 응시하고 영어 공인 시험 성적과 제2외국어 공인 시험 성적을 충족해야 마련할 수 있다. 기준점수는 아래와 같다.- 영어
- 제2외국어
- HSK 5급 180점
- JLPT N2 100점
- DELF B1
- DELE B1
- Goethe-Zertifikat B1
- TORFL 기본단계
- SNULT 50점
- FLEX 650점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졸업시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 기타
학생 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 2019년(6기생)의 경우 신입생 정원이 정시+수시 다 합쳐도 40명 미만이다. (사실 1년에 40~50명 정도 선발하는 외교관 선발규모에 잘 맞췄다고 볼 수 있다. 35명이라 하더라도 입학 인원이 누적되면 꽤 큰 인원이기 때문이다.입학생 특전을 도입하고 홍보팀 등의 부서에서 전국 고교에 활발히 홍보를 한 덕분인지, 초기에 우여곡절을 겪으며 우려 속에 만들어진 학과치고 교내에 제법 잘 정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외대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의 입결을 보이고 있다.
LT학부와 전공 교류가 가능하다. 일례로 LD 학생들은 외국어 수업을 하나 듣는 게 필수인데, 스페인어/아랍어/프랑스어는 LD에서 들어야 하고 중국어는 LT에서 들어야 한다. 타과생이 LD/LT 전공수업을 듣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3] 두 학과 학생들은 관련 서류만 내면 상대방 학과의 전공수업을 들을 수 있다.
한동안 별다른 아웃풋이 없었기에 낚시과라며 까이기도 했지만 2020년 외교관후보자시험에서 LD학부는 외대 전체 1차 합격자 19명 중 8명을, 외대 전체 최종 합격자 8명 중 3명(사회과학전공 소속 2명, LD전공 소속 1명)을 배출했다. 또한 로스쿨 합격자, KOICA 합격자 등을 배출하여 현재 이러한 오명은 완전히 벗게 되었다.[4] 2021년 외교관후보자시험에서도 LD학부 출신 합격자 1명이 나왔다. 2022년, 2023년 외교관후보자시험에서도 LD학부 출신 합격자 2명이 배출되는 등 학부 설립 목적에 맞게 현재까지 매년 꾸준히 외교관 후보자 시험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김진아 교수가 외교부 2차관에 임용되었다.
[1] 다만 이 때문에 2021-2022년까지 LD학부는 과방을 가지지 못했고, 전용 학습실인 면학실이 사실상 과방 역할을 해왔다. 현재 면학실은 해당 건물이 너무 노후화되어 철거 중으로 폐쇄되었고, 과방은 국제학사 3층에 과방이 있다.[2] 평점평균 3.7 이상일 경우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국외대 지역전문대학원 1차 필기시험 면제, 평점평균 4.0 이상일 경우 대학원 2학기 장학금 지급.[3] 아예 전과를 하거나, 이중전공/부전공으로 가야 하는데(2018년부터 가능해짐) LD/LT 위상이 위상이다보니 이게 쉽지가 않다. LD/LT로는 전과가 아예 불가능하고, 이중전공의 경우 영어로 면접을 봐야 한다. 그마저도 기준에 미달하면 티오가 있어도 뽑지 않기도.[4] 3-4년은 기본적으로 잡고 준비하는 것이 각종 국가고시이기 때문에, 이러한 시험들의 난이도를 생각해 보면 절대 늦게 아웃풋이 나온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