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8:35:09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의 계보
파일:한국독립당 당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8px; word-break:keep-all"
상해 한국독립당
1930년
만주 한국독립당
1930년
재건 한국독립당
1935년
중경 한국독립당
1940년
번외: 한국독립당(1963년)
}}}}}}}}} ||

일제강점기
(1910 ~ 194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1D1D1D,#e2e2e2
대한제국
의열단 조선혁명당 만주 한국독립당 상해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상해 한국독립당
신한독립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민족혁명당 재건 조선혁명당 재건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중경 한국독립당
광복 이후
}}}}}}}}}}}}}}} ||

1. 개요2. 해외 독립운동 정당3. 대한민국의 정당
3.1. 1963년에 창당된 정당3.2. 2020년에 등록된 창당준비위원회3.3. 2022년에 창당된 정당
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우익 민족주의 정당. 일제강점기에 민족주의 독립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것이 기원이기에, 명칭은 '당'이지만 사실상 독립운동 조직으로 기능했다.[1]

다른 당들에 비해 역사가 복잡한데, 같은 해에 상하이와 만주라는 다른 두 지역에서 같은 이름의 정당이 탄생했고, 합당과 탈당 등 일련의 사건을 거쳐 상하이 쪽 한국독립당이 재건되었으며, 그로부터 몇 해 뒤에는 상하이와 만주의 한국독립당이 하나의 이름으로 다시 합쳐졌다. 해방 후에도 같은 이름의 당이 두 번 등장하는데, 이 문서에서는 당들이 만들어진 순서에 따라 서술한다.

2. 해외 독립운동 정당

2.1. 상해 한국독립당(193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임시정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임시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임시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30년 1월 25일에 이동녕, 안창호, 김구 등 26인이 독립투쟁전선 통일과 지방파벌 청산이란 목적 하에 상하이에서 결성한 당. 설립할 당시 조소앙삼균주의를 당의 정의 및 강령으로 채택했고, 덕분에 한국독립당은 주의와 정강을 갖춘 정당으로서 반일적 민족운동과 무력적 파괴운동을 투쟁방식으로 하는 혁명적 정당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한 이들 중 대부분이 임시정부에서 요직을 맡고 있었는데, 당시의 임시정부는 성과가 미비하여 해체를 하냐 마냐 하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었다. 이 당은 서로 대립하는 인사들을 민족주의 통일이라는 하나의 목표 아래 결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한국독립당은 설립 당시에는 조직, 선전, 훈련 등의 반일운동을 광범위하게 벌이기로 결정했으나, 실제로는 당세 확장을 위한 조직 활동과 기관지 발행을 통한 선전 활동에 치중했다. 1932년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공원 의거로 인해 일제의 검색이 강화됨에 따라 상하이를 떠나 항저우로 근거지를 옮겼고, 그 이후에는 당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무부, 내무부, 총무부 등의 부서를 설치했다. 또한 김철, 조소앙 등의 주도 하에 기관지 <진광>을 창간하고 각종 선언서와 유인물을 배포하는 등 선전 활동을 계속했다.

한국독립당의 외곽 단체로는 상해한인청년당, 상해한인여자청년동맹, 상해한인소년동맹 등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상해한인청년당이 기관지 발행 등의 선전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수행했다.
◇ 당의
우리는 오천년 독립자주하야 오든 국가를 이족(異族)일본에게 빼앗기고 지금 정치의 유린과 경제의 파멸과 문화의 말살 아래서 사멸에 직면 하야 민족적으로 자존을 득하기 불능하고 세계적으로 공영을 도키말유(末有)한지라.
이에 본당은 혁명적 수단으로써 원수 일본의 모든 침탈세력을 박멸하야 국토와 주권을 완전광복하고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기초로 한 신민주국을 건설하여 내로는 국민 각개의 균등생활을 확보하며 외로는 족여족, 국여국의 평등을 실현하고 나아가 세계일가의 진로로 향함.
※ "1929년 당시의 당의와 당강은 1940년 한국독립당이 출범하면서 조소앙에 의해 씌여진 것으로 보이는 한국독립당 창립경과 속에 한문으로 번역되어 전해진다. 원래는 위에서 처럼 우리말로 되었던 것임이 분명하다. 이를 조소앙이 한국독립당의 당의 해석 등에서 원문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에 따라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앞의 문단 숫자는 원래 없는 것이지만 역시 후일 조소앙이 분류한 바에 따라 설명의 편의상 붙인 것이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3, p.396.

위의 당의 전문은 이후의 재건한국당(1935) 및 통합한독당(1940)에도 그대로 변동 없이 계승된다. 결국 삼균주의의 중심 내용은 1920년대 말에 이미 한국독립당의 당의로 채택되어 민족진영 전체의 합의된 이념으로 정립된 것이다.

동시에 이때 7개조의 당강을 채택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당강
  1. 대중에 대하여 혁명의식을 환기하고 민족적 혁명역량을 총집중할 것
  2. 엄밀한 조직 하에 민족적 반항과 무력적 파괴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것
  3. 세계 피압박민족의 혁명단체와 연락을 취할 것
  4. 보통선거제를 실시하여 국민참정권을 평등하게 하고, 기본 권리를 보장할 것
  5. 토지와 대생산기관을 국유하여 국민의 생활권을 평등하게 할 것
  6. 생활상의 기본지식과 필요기능을 수득하기 위해 충분한 의무교육을 공비로써 실시하여 국민의 수학권을 평등하게 할 것
  7. 민족자결과 국제평등을 실현할 것
  8. 세계일가의 조성에 노력할 것
출처: 〈도산 안창호의 민족혁명론〉, 2022, 박만규.

2.2. 만주 한국독립당(193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1930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30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30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20년대 초 만주의 무장 독립운동 세력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로 나뉘어 있었다. 1920년대 중후반 민족유일당 운동의 영향으로 만주 지역에서도 3부 통합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통합 방법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하나의 단체로 완전히 통합하지 못하고 북만주 지역의 혁신의회(1928)와 남만주 지역의 국민부(1929) 둘로 나뉘게 되었다. 그 둘 중 김좌진이 주도하고 있었던 혁신의회는 1년 뒤인 1929년에 한족총연합회로 개편되었다.

1930년에 김좌진이 암살당한 뒤, 지청천이 남은 이들을 수습하여 한족총연합회를 한국독립당으로 개편했다. 1933년 한국독립당은 활동 근거지를 만주에서 중국 본토로 옮기고 한중연합군을 구성하여 쏠쏠한 전과를 올렸으나 중국공산당의 압력으로 얼마 안 가 해산되고 말았다.

한국독립당은 1934년 한국혁명당과 합당하여 신한독립당을 창당했고, 신한독립당은 1935년 5당 합당에 참여하여 민족혁명당을 창당했으나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해 얼마 안 가 조소앙의 재건 한국독립당이 출범하면서 신한독립당 계열도 같이 탈당했다. 이후 지청천이 1937년에 탈당하여 조선혁명당을 창당했고, 조선혁명당은 이후 1940년에 한국국민당 및 한국독립당과 합당하여 한국독립당을 창당했다.

2.3. 재건 한국독립당(193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193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3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3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중경 한국독립당(194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1940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40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40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한민국의 정당

3.1. 1963년에 창당된 정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1963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63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1963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020년에 등록된 창당준비위원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2020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2020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2020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2022년에 창당된 정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독립당(2022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2022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독립당(2022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21세기한독당'이라는 군소정당이 등장했다. 당명 그대로 자신들이 한국독립당을 계승했다고 주장했으나 사실상 연관성도 없을 뿐더러 이 시점에서 한국독립당은 일반 대중에게 완전히 잊힌 상태였기에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결국 제15대 총선에서 정당 득표율 2%에 한참 못 미치는 성적을 받았고 당시 정당법에 따라 등록 취소되어 창당 3주 만에 해산되었다.

5. 관련 문서


[1] 이는 반대 진영의 조선공산당 역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