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00297A><colcolor=#fff>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ing (KMAC) | ||||
| <bgcolor=#fff,#1c1d1f> | ||||
| 설립일 | 1989년 12월 21일 ([age(1989-12-21)]주년) | |||
| 대표이사 | 한수희 | |||
| 관계사 | 한국능률협회 | |||
| 기관 분류 | 중견기업 | |||
| 업종명 | 경영 컨설팅업 | |||
| 슬로건 | Innovative Knowledge Platformer | |||
| 주소 | ||||
| [[CCMM빌딩| CCMM빌딩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01 (여의도동, 8층) | ||||
| 링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377><colcolor=#fff> 매출액 | 1,070억 7,284만원 (2024년 기준) | }}}}}}}}} | |
1. 개요
한국능률협회컨설팅(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ing)은 대한민국의 경영컨설팅 전문 기관이다. "KMAC"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약칭이다. 국민일보,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등이 있는 여의도 CCMM빌딩에 위치해 있다.1989년에 설립되었으며, 한국능률협회의 컨설팅 사업 부문이 독립법인화되어 출범하였다. 공공 및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경영전략, 조직/인사, ESG, 디지털 전환, 성과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나라 컨설팅 회사 중 공공 부문 자문 수행 실적이 가장 많다.
또한 기업 진단, 전문교육, 리서치 조사, 인증/시상 사업도 하고 있다. 국내 산업계의 경영혁신 및 역량 향상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디지털 기반 경영컨설팅 기업으로의 전환에 성공해 DX, AI 솔루션 제공 등의 사업영역을 구축했다.
관계사로는 KMA미디어, KMA플러스, KMA리서치 등이 있다.
| 기업 소개영상: "KMAC Makes Advanced Change" |
2. 주요 연혁
- 1989년 12월 21일: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설립
- 1990년대: 제조업 중심의 품질경영 확대와 산업 혁신의 Tool 개발, 조사 및 발표
- 1992: 국내 최초 CS경영방법론 도입
- 1994: GE 워크아웃 타운 미팅 국내 최초 도입
- 1995: 노동부 교육훈련기관 선정
- 1997: 국내 최초 6Sigma 경영혁신 도입/보급
- 2000년대: 공공기관 경영평가, BSC, 고객만족도 조사 등 공공컨설팅 강화 및 인증/시상, 리서치 등 Analytics 기반 서비스 강화
- 2002: 국가산업발전 공로 대통령 표창 수상
- 2005: 정부 혁신 주관연구기관 선정(38개 부처)
- 2007:
- 2008: 노동부 우수훈련기관 선정
- 2010년대: 빅데이터 기반 리서치, 혁신아카데미, 교육·진단 솔루션 확대
- 2010: 서울시 우수교육유공단체상 수상
- 2015: 기획재정부 장관상 수상
- 2016: 미래창조과학부 PSM 산학 연계 및 인증지원사업 주관기관 선정
- 2017: 일자리 창출 전략 수행기관 선정
- 2018: 공공기관 고객만족도조사 (PCSI) 수석 주관사 선정 (15년 연속)
- 2020년대: ESG 전략, AI 기반 컨설팅, 디지털 전환(DX) 서비스 강화
- 2020: DX 컨설팅 본격 추진 (KT컨택센터 MOU)
- 2021:
- ESG사업 본격화 (서스틴베스트 MOU)
- ESG 플러스 포럼/K-ESG 이니셔티브 발족
- 플랫폼 비즈니스/빅데이터/AI 등 신산업 분야 사업 선도(VAIV/KT/KIAT와 MOU 체결)
-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장 수상 (2019~2021 3년 연속)
- 2022: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위한 산업안전 경영 플랫폼 체계 구축 (법무법인 태평양 MOU)
- B2B 리서치사업 고도화 (드라마앤컴퍼니 MOU)
- 2023: 글로벌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 (인도네시아 PTPN III, 베트남 외상대학교 MOU)
- 2024:
3. 사업 영역
3.1. 경영컨설팅
- Management Innovation
- 경영전략
- 기업 미션 및 비전체계 수립
- 중장기 경영전략 및 기능 전략 수립
- 미래 경영 로드맵 수립
- 재무전략 수립
- 사업전략
- 기업 성장 전략
- 신규사업 발굴 및 타당성 분석/사업성과 평가
- 인사관리
- 조직진단, 조직설계 및 적정인력산정
- 인사전략 수립 및 인사제도 개선, 조직문화 개선
-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 직무급제 및 임금체계 설계
- 조직성과관리 및 내부평가 위탁운영, 인사평가 등
- 혁신성과
- DX/ESG
- 디지털전략/디지털테크
- 디지털 전환 수준 진단
-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
- 디지털 서비스 과제 도출 및 혁신
-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및 활성화
- 데이터 활용도 제고
- 가명정보·마이데이터 활용 컨설팅
- 디지털 플랫폼 정부 대응 컨설팅
- 디지털 사업 성과 관리 체계 구축
- 디지털 사업 성과 확산 컨설팅
- 디지털 서비스 구축(공공/민간)
- MLOps 플랫폼 구축
- 생성형AI 솔루션 개발
- AI기반 탄소배출량 산정 솔루션 개발
- 탄소배출량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 제조 데이터 플랫폼 구축
- 클라우드 컨설팅
- 블록체인/사이버보안 컨설팅
- ERP 진단 컨설팅 및 전환 구축
- AI/빅데이터
- AI 도입 전략 수립 및 비즈니스 모델 발굴
- AI 모델 및 알고리즘 개발
- AI PoC(Proof of Concept) 분석
- AI 데이터 구축 및 활용 컨설팅
- AI 신뢰성 제고 컨설팅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Business Analytics)
- 데이터 품질관리/표준화/카탈로그 작성
-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
-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 (ISMP) 수립
- 기업 생성형 AI 구축 컨설팅
- 스마트/PI
- 스마트 팩토리 수준 진단 및 전략 수립
- 신 공장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고도화
- 프로세스 수준진단/PI 추진전략 및 로드맵 수립
- RPA 컨설팅 (Robotic Process Automation)
- 품질 경영 체계 구축/품질 혁신 활동 전개
- 원가혁신 컨설팅
- 산업안전경영/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컨설팅
- 로봇 제조 혁신 추진 및 프로세스 구축
- 로봇 제조 시스템 전환체계 수립
- 디지털 ESG
- 전사/협력사 ESG 통합 전략 체계 구축 (ESG Way)
- 공공기관 및 지자체 ESG 컨설팅
- 공급망 ESG 컨설팅
- ESG 영역별 컨설팅 : 기후변화/인권/산업안전 등
- ESG 평가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컨설팅
- 맞춤형 ESG 경영 내재화 교육
- 에너지/기후
- 배출권거래제/목표관리제 대응 컨설팅
- Scope3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스템 구축
- 에너지 신사업 전략 수립
- 신재생에너지 타당성/사업모델 도출/사업화 방안
- 탄소 정보 이니셔티브 대응
- 기업 및 협력업체 RE100/탄소중립 지원
- 온실가스 감축 (Net Zero) 전략 컨설팅
- 금융사 탄소 배출량 산정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내재배출량 산정
- 양자협력 국외 감축사업/EIPP/KSP/ODA 등
- 원자력 R&D 기획/원자력 기반 예비 타당성 조사
- 에너지/기후변화/탄소중립 정책 자문
- KMAC AI Solution
- AI Studio: 기업·기관에서 AI를 손쉽게 업무에 적용하고 결과를 해석하여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용자 기반의 모니터링 솔루션
- 공공복지솔루션 AWARE: AI 기술을 활용하여 복지 현장의 역량을 강화하고 AI와 연계된 위험 알림 시스템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
- Green Matrix: 에너지기후 컨설팅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발된 솔루션으로 내부 시스템과 데이터를 연계하여 탄소발자국, 자원소비, 폐기물 관리 등의 지표를 추적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26년 CBAM 전면 시행을 대비하기 위한 사전 준비).
- Safe-On: 중대재해처벌법과 ISO45001의 기준에 따라 설계된 솔루션으로, 기업 및 기관의 안전·보건 의무 확대와 환경영향 평가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All-In-One 솔루션
- Government Administration
- 정부정책사업
- 디지털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 지원
- 디지털 및 스마트화 지원
- 산업 구조전환 대응 컨설팅
- 중소/창업/벤처 및 소상공인 역량 강화
- 중소/창업/벤처 및 소상공인 해외시장 개척
- 기업 맞춤형 역량강화 컨설팅
-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상생협력 컨설팅
- 일터혁신/재택·원격근무 지원 컨설팅
- 지방자치
- 지역 경쟁력 진단 및 개선 컨설팅
- 지역혁신 종합 전략체계 수립 및 신성장 동력 발굴
- 지방공기업/출자·출연기관 종합경영 진단 및 개선
- 관광진흥 및 활성화 전략 수립
-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
- 민간위탁 사무 성과평가
- 정부부처 및 지자체 투자사업 평가
- 지자체 내부 성과평가 아웃소싱
- 대학경영
- 대학설립계획 수립/대학 중장기 발전전략
- 대학 특성화 전략
- 미래형 학사제도 개발/학과구조 개선계획 수립
- 대학 인사제도 개선/역량기반 교육과정 고도화
- 일터혁신
- HR Design
3.2. 리서치 조사
- 고객만족도 조사(CS), 종업원 만족도 조사(ES)
- 브랜드 진단, 시장 및 소비자 조사
- 공공부문 정책평가 및 수요조사
3.3. 교육 및 아카데미 운영
-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기획 및 운영
- 경영혁신, 리더십,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HR 등 관련 과정 제공
- 학회 운영: 학회 기반으로 진행되는 경영 연구 및 학술 세미나 개최로 경영 인사이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 한국공공경영학회
- 한국경영공학회
- 기업 대상 컨퍼런스 운영
- ASIA CSCON: 3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고객중심 경영혁신 컨퍼런스이다. 매년 2,500여 명의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고객중심 경영의 최신 트렌드와 혁신 사례를 공유한다.
- KCCM: 대한민국 채널 & 커뮤니케이션 컨퍼런스(KCCM Conference)는 콜센터/컨택센터 등의 비대면채널 전략 방향에 대한 이슈를 제시하고 관련한 기술 트렌드 및 선진사례를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이다.
- 대한민국 공공 컨퍼런스: 2005년 청와대 혁신수석실과의 공동 기획으로 시작되었다. 매년 1,000명 이상의 정책 전문가, 공공 기관장, 임직원들이 참여하여 정부 정책 방향과 공공부문의 혁신 방안을 모색한다.
- 지방정부 컨퍼런스: 지방의 경쟁력 강화와 혁신을 위한 전문 컨퍼런스이다. 경영전략, 성과관리, 조직진단, 경영평가, 공공 ESG 경영, 공공데이터 활용 등 지방정부와 공공기관의 핵심 이슈를 다룬다.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인사이트와 선진 사례 공유를 통해 지방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 DX 컨퍼런스: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기업과 조직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최하며 한국경영공학회가 주관하는 선도적인 지식 공유 플랫폼이다.
- 해외연수
- KMAC은 미국 인사관리협회(SHRM)의 국내 독점 파트너사이며, 국내·외 HR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바탕으로 SHRM 25 Annual Conference를 포함한 특별 프로그램 운영과 맞춤 컨설팅을 진행한다. SHRM-한국대표단
3.4. 진단 및 인증/시상
- 조직역량 진단, HR 진단, 학습조직 진단
- 1992년도 KCSI 첫 시행을 시작으로 다양한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한국의 경영대상
- KCSI (Kor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1992년부터 시상되었다.
- K-BPI (Korea Brand Power Index), 한국산업의 브랜드 파워: 1999년부터 시상되었다.
- KMAC (Korea's Most Admired Companies),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2005년부터 시상되었다.
- KNPS (Korean Net Promoter Score), 고객이 가장 추천하는 기업: 2007년부터 시상되었다.
- KSQI (Korean Service Quality Index), 한국산업의 서비스품질지수: 고객접점을 조사대상으로 하는 국내 유일의 제도로, 대표적인 비대면 채널인 콜센터를 평가하는 '콜센터' 부문과 대면채널을 평가하는 '고객접점' 부문으로 구성된다. 콜센터부문은 2004년, 고객접점 부문은 2010년부터 시상되었다.
- KBRI (Korea Brand Recommendation Index),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2016년부터 시상되었다.
- KCPI (Korean Consumer Protection Index), 한국의 소비자보호지수: 2021년부터 시상되었다.
| | | | |
| 한국의 경영대상 | KCSI | K-BPI | KMAC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
| | | | | |
| KNPS | KSQI_고객접점부문 | KSQI_콜센터부문 | KBRI | KCPI |
3.5. BPO운영
-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기업·기관의 중요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위탁하는 서비스. 주로 공공기관에서 많이 활용된다.
- 기능·기술(Functional) 아웃소싱: 기업·기관이 특정 기능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할 경우 해당 기능을 위탁하는 서비스. 주로 교육, 기업문화, 전시 및 체험 등에서 많이 요구하는 서비스다.
- 인력 아웃소싱: 기업·기관이 특정 프로젝트나 업무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채용하거나 파견하는 서비스. 급격히 변동하는 시장 상황, 기업·기관의 역량에 따라 적합한 인력을 보충하기 어려운 시기에 KMAC의 인재풀(Pool)에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인력 채용에 수반되는 역량 강화 교육, 인력 관리, 관계 관리, 노무, 급여/복지 등 모든 업무를 위탁 수행할 수 있다.
3.6. 글로벌 사업
- 컨설팅: ODA, KSP, EIPP 사업에 대한 정책자문, 성과평가 및 전략 수립, 사업수행(Project Management Consultancy)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ESG/에너지기후/디지털/스마트·PI 등 다양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해당국가의 산업 성장과 경제발전을 위한 직접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 인증제도: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브랜드 경쟁력과 제품 및 서비스 품질 만족도 등 각종 인증 제도를 운용한다. 대표적으로 베트남산업의 고객만족도 (Vietname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가 있다.